$\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장 남성 근로자를 위한 금연 힐링캠프의 효과
Effectiveness of a Smoking Cessation Healing Camp for Male Workers in a Workplace Sett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297 - 306  

리메일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이정숙 (영남이공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근로자의 금연을 돕기 위한 금연 힐링캠프의 참여가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28명의 남성 근로자들이 1박 2일동안 진행된 금연 힐링캠프 실험처치에 배정되었다. 중재의 효과검증은 금연 힐링캠프 직후에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남성 근로자의 금연 준비도(t=-2.64, p=.013)와 금연 자기효능감(t=2.42, p=.02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니코틴 의존도(t=2.55, p=.017)와 우울(t=2.85, p=.008)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업장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힐링캠프는 남성 근로자들에게 금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 금연준비도와 금연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남성 근로자의 금연을 도왔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moking cessation healing camp for male workers. A singl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An experimental group (n=28) allocated into a smoking cessation healing camp which was provided for two days and one night. Effective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금연 자기효능감은 흡연 유혹상황에서 흡연충동을 이겨내고 금연을 할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중독과 정신건강센터[12]에서 개발한 ‘금연치료를 위한 상담자 메뉴얼’과 국가금연지원센터에서 흡연자의 금연 자기효능감을 사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 다큐멘터리 감상 직후 흡연의 신체적·사회적·정신적 위험성에 대해서 토의하였다.
  • 근로자를 위한 금연 힐링캠프는 직장생활로 인해 정기적인 금연클리닉 방문이 어려운 근로자를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금연 힐링캠프를 통해 근로자들은 흡연의 유해성과 금연행위 습관화를 위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개별 및 집단 금연상담을 통해 금연행위 이행을 위한 자기효능감과 금연 동기를 향상시킴으로써 건강한 직장생활과 활기찬 사업장 문화 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본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금연 힐링캠프는 임상심리상담사와 간호사들이 개별 및 집단상담을 수행하였다(Table 1 참고).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의 금연을 위한 금연 힐링캠프 참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근로자들의 단기간의 금연 힐링캠프 참여가 근로자의 금연 준비도, 금연 자기효능감, 니코틴 의존도,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중독과 정신건강센터[12]에서 개발한 ‘금연치료를 위한 상담자 메뉴얼’과 국가금연지원센터에서 흡연자의 금연준비도를 사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업장 건강증진사업의 장점은 무엇인가? 한국은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10'에서 근로자 건강증진 사업을 근로자 건강을 위한 주요 사업 영역으로 채택한 이후 사업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신체활동, 금연, 영양, 절주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장 건강증진사업은 근로자 개인에게는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기업차원에서는 적은 비용을 사업장 건강증진사업에 투입함으로써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1].
금연캠프와 달리 현재 시행되는 금연 프로그램의 한계는 무엇인가? 금연캠프의 장점은 금연을 강제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일상에서 벗어난 장소에서 개별 상담과 다양한 집단 활동, 금연프로그램 참가자들간의 상호작용 등을 통해 금연동기를 강화하여 금연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부각되고 있다. 특히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공기관의 금연클리닉 혹은 금연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정기적인 방문을 요구하고 있어 근로자들이 사업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시간중에 금연클리닉 혹은 금연프로그램을 이용하기에 시간적·공간적 접근성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금연캠프를 통한 단기간의 집중적인 중재는 근로자의 시간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근로자의 금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근로자의 건강위험 문제와 기업 생산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국내 흡연자를 대상으로 흡연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을 추정한 결과, 연간 약 2조 9천억원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며, 이 중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비용은 약 2조 1,19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2]. Burton 등[3]의 연구에 의하면 근로자가 흡연, 음주 등의 건강위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 기업의 생산성이 1.9% 감소하였고, 근로자들의 건강위험 문제가 감소하였을 경우 근로자들의 결근율이 2%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한국은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10'에서 근로자 건강증진 사업을 근로자 건강을 위한 주요 사업 영역으로 채택한 이후 사업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신체활동, 금연, 영양, 절주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 Ammendolia, P. Cote, C. Cancelliere, D. Cassidy, J. Hartvigsen & E. Boyle. (2016). Healthy and productive workers: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sign a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wellness program to improve presenteeism. BMC Public Health, 16(1), 1190. DOI : 10.1186/s12889-016-3843-x 

  2. S. E. Park, H. R. Song, C. H. Kim & S. K. Ko. (2008). Economic burden of smoking in Korea 200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8(4), 219-227. 

  3. W. N. Burton, C. Y. Chen, D. J. Conti, A. B. Schultz & D. W. Edingtion. (2006).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risk change and presenteeism change.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48(3), 252-263. DOI : 10.1097/01.jom.0000201563.18108.af 

  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2014 Employees' health examination report. http://www.moel.go.kr/info/publicdata/majorpublish/maj orPublishView.do?bbs_seq1483056274971 

  5. M. Eriksen, J. Mackay & H. Ross. (2012). The tobacco atlas (4th ed.). American Cancer Society, Atlanta, Georgia, and World Lung Foundation, New York. 

  6. W. Park, G. Yun & G Lee. (2011). Final report of 3th Korea Work condition surve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7.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8. K. Cahill, M. Moher & T Lancasster. (2008). Workplace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CD003440. DOI : 10.1002/14651858.CD003440.pub3 

  9.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2008 Update Panel, Liaisons, and Staff (2008).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5(2), 158-176. DOI : 10.1016/j.amepre.2008.04.009 

  10. K. S. Paek & Y. S. Kwon. (2010).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s health camp among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05-112. 

  1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DOI: 10.3758/BRM.41.4.1149 

  12. Canada Centre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 (2011). Counsellors' manual for commercial tobacco cessation treatment. https://www.nicotinedependenceclinic.com/English/CAN ADAPTT/Indigenous%20Tools%20and%20Strategies/6e.%20Counsellors'%20Guide%20to%20Commercial%20Tob acco%20Cessation%20Treatment.pdf 

  13. T. F. Heatherton, L. T. Kozlowski, R. C. Frecker & K. O. Fagerstrom. (1991).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9), 1119-1127. 

  14. H. K. Ahn, H. J. Lee, D. S. Jung, S. Y. Lee, S. W. Kim & J. H. Kang. (200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questionnaire for nicotine dependen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8), 999-1008. 

  15. L. S. Radloff. (1977).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 : 10.1177/014662167700100306 

  16. K. K. Chon & M. K. Rhee.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17. Y. S. Kim & E. Y. Do. (2017). Influencing factors on the nicotine dependence of shif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6), 132-141. DOI : 10.5392/JKCA.2017.17.06.132 

  18. J. H. Lim. (2015).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worker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9. P. Rosenbaum & R. O'Shea. (1992). Large-scale study of freedom from smoking clinics-factors in quitting. Journal of Public Health Reports, 107(2), 150-155. 

  20. T. M. Song & J. Y. Lee. (2013) A multilevel mode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smoking cessation success r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1), 53-64. 

  21. S. O. Jang, E. J. Kim, G. A. Seomun, S. J. Lee & C. S. Park. (2006). Comparison of influential variables for smoking temptation between adolescent and adult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3), 561-570. 

  22. T. M. Song, J. Y. Lee & J. Y. An. (2010). Changes in smoking practices and the process of nicotine dependenc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123-129. 

  23. K. S. Yun & S. H. Cho. (2017). Effects of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4(1), 37-46. DOI : 10.5953/JMJH.2017.24.1.37 

  24. W. F. Velicer, C. C. DiClemente, J. S. Rossi & J. O. Prochaska. (1990). Relapse situations and self-efficacy: An integrative model. Addictive Behaviors, 15(3), 271-283. 

  25. J. H. Kong & Y. M. Ha. (2013).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including telephone counseling and text messaging using stages of change for outpatients after a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3(4), 557-567. DOI : 10.4040/jkan.2013.43.4.557 

  26. A. Bandur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79-113, New York : NY:W.H. Freeman & Company. 

  27. Y. S. Ha & Y. H. Choi. (2005). The effectiveness of a autonomous regulation improvem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daily smoking, perceived motivation, cotinine in saliva, and autonomous regulation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who smoke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6169-6179. DOI : 10.5762/KAIS.2015.16.9.6169 

  28. Y. M. Ha, K. S. Park, H. O. Choi & S. K. Yang. (2016). Self-efficacy and preparation of smoking cessation in service and sales woman smokers working in department stor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3), 168-176. DOI : 10.5807/kjohn.2016.25.3.168 

  29. J. O. Prochaska & C. C. DiClemente. (1994). The transtheoretical approach: Crossing traditional boundaries of therapy.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Co. 

  30. H. J. Kwon, Y. J. Kim & H. S. Kim. (2016).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mount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Wellness, 11(3), 297-305. 

  31. T. Y. Lee & S. M. Choi. (2015). Convergence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cholesterol level on serum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269-276. DOI: 10.14400/JDC.2015.13.5.269 

  32. B. E. Cohen, P. Panguluri, B. NA & M. A. Whooley. (2010). Psychological risk factor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Psychiatry Research, 175(1-2), 133-137. DOI : 10.1016/j.psychres.2009.02.004 

  33. S. M. Park, M. A. Han, J. Park, S. Y. Ryu, S. W. Choi, H. H. Shin & M. H. Joo. (2016). Associations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2), 111-118. DOI : 10.15384/kjhp.2016.16.2.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