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유역 밭경지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6, 2018년, pp.535 - 542  

이슬기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장정렬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최경숙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VFSMOD-W 모형을 활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새만금 유역 내 초생대 실측치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으며,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모의시나리오는 밭경지 규모 1 ha, 5 ha, 10 ha로 밭의 폭과 길이 비는 1 : 1를 적용하였으며, 밭의 경사는 7%, 15%를 고려하였다. 또한 강우조건은 50 mm, 100 mm, 150 mm, 200 mm 일강우량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에 대해 2.9~13.5%, 2.9~12.1%로 각각 나타났으며, 유사저감효과는 33.8~97.0%, 27.1~85.9%로 각각 나타나 유출저감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유출 및 유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밭규모, 경사 및 강우량 인자에 따라 초생대 효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 유역내 밭경지 규모 10 ha 미만, 경사 15% 이내의 조건에서 밭면적 10% 규모로 초생대를 조성할 경우 유사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intend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through VFSMOD-W model application.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the field data an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u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현장조건 속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한 초생대 유사저감효과를 모의해 보고자 VFSMOD-W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초생대 기법 적용 시 유사저감에 기여하는 현장 인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현장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밭경지 특성에 따른 초생대 유사저감 효과를 규명함으로,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밭경지 비점오염관리의 일환으로 초생대 기법의 적용 시 밭경지 유출 및 유사저감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새만금 유역의 토양 및 밭경지 특성을 반영한 모의시나리오를 구성하고, VFSMOD-W모형을 이용하여 초생대의 유출 및 유사모의를 실시하였다.
  •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 초생대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새만금 유역내 밭경지 특성을 바탕으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유출곡선 CN값은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작물재배 특성을 고려하여 NRCS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줄작물, 곡물류, 콩과식물 등을 재배하는 수직경작지에서 배수등급이 양호하고, 수문학적 토양그룹이 B인 경우의 CN 범위를 파악 하여 최대습윤조건인 AMC-Ⅲ 상태값으로 선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현장조건 속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한 초생대 유사저감효과를 모의해 보고자 VFSMOD-W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초생대 기법 적용 시 유사저감에 기여하는 현장 인자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현장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밭경지 특성에 따른 초생대 유사저감 효과를 규명함으로,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새만금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수질 관리가 요구된다. 새만금 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들은 만경강과 동진강을 통해 새만금호로 흘러가 새만금호의 수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무엇을 이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VFSMOD-W 모형을 활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새만금 유역 내 초생대 실측치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으며,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VFSMOD-W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무슨 정보를 활용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VFSMOD-W 모형을 활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새만금 유역 내 초생대 실측치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으며,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모의시나리오는 밭경지 규모 1 ha, 5 ha, 10 ha로 밭의 폭과 길이 비는 1 : 1를 적용하였으며, 밭의 경사는 7%, 15%를 고려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u-Zreig, M. (2001). "Factors affecting sediment trapping in vegetated filter strips." Hydrological Process, Vol. 15, pp. 1477-1488. 

  2. Choi, K. S., and Jang, J. Y. (2014). "Selection of approp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for reducing NPS pollution of uplan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10, pp. 973-983. 

  3. Choi, K. S., Lee, S. G., and Jang, J. R. (2016). "Vegetative filter strip (VFS) applications for runoff and pollution management in the Semangeum area of Korea."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Vol. 65, pp. 168-174. 

  4. Dillaha, T. A., Sherranrd, J., Lee, H. D., Mostaghimei, S., Shanholtz, V. O. (2010). "Evalu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s as a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feed lots." Journal of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Vol. 60, No. 7, pp. 1231-1238. 

  5. Donigian, A. S., and J. T. Love, (2003). "Sediment calibration procedures and guidelines for watershed modeling." National TMDL Science and Policy, pp. 728-747 

  6. Humberto, B. C., Gantzer, C. J., Anderson, S. H., Alberts, E. E., and Thompson, A. L. (2004). "Grass barrier and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iveness in reducing runoff, sediment, nitrogen, and phosphorus los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 68, No. 5, pp. 1670-1678. 

  7. Kim, B. K., Lee, C. W., and Jung, Y. H. (2014). "Watershed management practices in rural and urban of Saemangeum non-point sources."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Jthink 2014-PR-01. 

  8. Lee, S. G., Jang, J. Y., and Choi, K. S. (2015). "Estimation of application cost and utilization of turf grass VFS for reduction of uplands NPS pol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7 No. 2, pp. 75-83. 

  9. Munoz-Carpena, R., Parsons, J. E., and Gilliam, J. W. (1999). "Modeling hydrology and sediment transport in vegetative filter strips." Journal of Hydrology, Vol. 214, pp. 111-129. 

  10.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11. Park, Y. S., and Hyun, G. W. (2014). "Optimiz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 using VFSMOD-W model and genetic-algorith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0, No. 2, pp. 159-165. 

  12. Park, Y. S., Kim, J. G., Kim, N. W., Park, J. H., Jang, W. S., Choi, J. D., and Lim, K. J.(2008). "Improvement of sediment trapping efficiency module in SWAT using VFSMOD-W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4 No. 4, pp. 473-479. 

  13. Raman a rayanan, T. S., Williams, J. R., Dugas, W. A., Hauck, L. M. and Mcfarland, A. M. S. (1997). "Using APEX to identify alternative practices for animal waste management." ASAE International Meeting, Minneapolis, MN. Paper No. 97-2209. 

  14. Seo, J. H. (2013).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trapping efficiency using VFSMOD in the vegetative filter strip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1-82. 

  15. Seo, J. H., and Choi, K. S. (2013).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s effects of VFS system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pland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5 No. 4, pp.123-131. 

  16. Shin, M. H., Lim, K. J., Jang, J. R., Choi, Y. H., Park, W. J., Won, C. H., and Choi, J. D. (2012). "Analysis of reduction of NPS pollution loads using the small sediment trap at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4, No. 2, pp. 27-35. 

  17. Thomas L., de Braekeleer, C., Fautsch, V., Iserentant, A., Rentmeesters, G., Lutts, S., and Bielders, C. L. (2014). "Can vegetative filter strips efficiently trap trace elements during water erosion events A flume experiment with contaminated sediments." Journal of Ecological Engineering, Vol. 68, pp. 60-64. 

  18. Thomas, L., Francois, S., Lutts, S., Munoz-Carpena, R., and Bielders, C. L. (2014) "Impact of plant growth and morphology and of sediment concentration on sediment gefficiency of vegetative filter strips: Flume experiments and VFSMOD modeling." Journal of Hydrology, Vol. 511, pp. 800-8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