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돌봄시간 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및 시간부족감
Differences in Time Satisfaction and Time Deficit to the Type of Parental Time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3, 2018년, pp.1 - 19  

김세리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강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type of parental time, (2) to investigate the family's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parental time types. (3),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ime satisfaction and time deficit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ental time of mothers with presch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반적 비참여형의 특성은? 이 중 연구대상 가운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군집은 ‘전반적 비참여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놀이 중심형’, ‘기타 돌봄 중심형’, ‘신체 돌봄 중심형’ 순으로 분포가 나타났다. ‘전반적 비참여형’은 신체적 돌보기, 가르치기, 책 읽어주기 및 놀아주기, 간호하기, 기타 돌보기로 구분되는 자녀돌봄의 세부 행위 전반에서 낮은 참여 시간을 보였으며 하루를 24시간으로 보았을 때 자녀돌봄시간에 투자하는 개인 시간의 분포가 낮은 특성을 보인다. ‘전반적 비참여형’ 다음으로 높은 분포를 보인 유형은 ‘놀이 중심형’이다.
맞벌이 가정이나 소득이 높을수록 ‘놀이 중심형’이나 ‘기타돌봄 중심형’에 속하기보다는 ‘전반적 비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진 이유는? 이는 한국의 노동시장의 구조와 함께 해석해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맞벌이 가정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은 남편이 55시간, 부인 44시간으로 OECD 국가들 가운데 근로시간이 매우 높은 국가에 해당한다. 또한 월평균 소득이 높은 경우 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들 또한 평균 근로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맞벌이 가정이나 소득이 높은 경우 자녀와 함께 보낼 시간이 적고, 자녀와 공유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녀를 직접적으로 돌보는 데에 투자하는 시간의 전반적 부족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해 기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 돌봄 중심형’보다 ‘기타 돌봄 중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먼저, ‘기타 돌봄 중심형’을 구분하는 요인으로 아동의 연령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 돌봄 중심형’보다 ‘기타 돌봄 중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는데, 이는 영아기에는 부모가 신체를 돌보는 행위의 비중이 비교적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에 반해, 유아기에 이르면서 자조 능력이 발달되기 때문에 전체 자녀돌봄시간 중 신체돌봄이 차지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아교육 기관 이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등하원 관리 및 기관 참여를 하는 비중이 높아지게 되면서 ‘신체 돌봄 중심형’보다 ‘기타 돌봄 중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고은주, 김진욱 (2016). 자녀연령과 계층적 요인이 영유아 자녀 직접돌봄시간 유형에 미치는 영향: 퍼지셋 이념형 분석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36(4), 35-62. doi:10.15709/hswr.2016.36.4.35 

  2. 김소영 (2016). 미취학자녀를 둔 부부의 무급노동시간 변화와 관련요인: 1999년-2014년 생활시간 조사자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소영, 진미정 (2015).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 남성의 주말 시간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 사용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2), 71-88. 

  4. 김은설, 유해미, 최은영, 최효미, 배윤진, 양미선 등 (2015).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kor/bbs/bbs_download.jsp?idx 20061&filenamereport031466480523916.pdf&downloadh&codereport03&idx20061에서 2018년 3월 2일 인출 

  5. 김외숙 (2012).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6(3), 133-152. 

  6. 박은정, 이성림 (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7. 손애리 (2000). 사례연구: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개발 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8. 유희정, 이미화, 백혜리, 민현주, 이순영, 강민정 외 (2009). 2009년 전국 보육?교육실태조사: 보육시설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http://www.mohw.go.kr/re- act/modules/download.jsp?BOARD_ID5741&CONT_SEQ306856&FILE_SEQ156946에서 2018년 3월 2일 인출 

  9. 장영애 (1997). 아동 및 가정의 특성에 따른 취학전 아동 가정의 가정환경자극 분석: 도시와 농촌 가정을 대상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4), 15-30. 

  10. 주은선, 김사현, 김민성 (2014).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0(2), 367-400. 

  11. 진미정, 이윤주 (2010). 어머니의취업에따른 영유아기 아동의 생활시간양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6), 43-56. 

  12. 차성란 (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지하는 시간부족 및 피곤함에 대한 연구. 자연과학, 16(1), 145-159. 

  13.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5. 7). 2015년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kostat.go.kr/portal/korea/ 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46959에서 2018년 3월 2일 인출 

  14. 통계청 (2016. 11). 일자리 행정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3/1/index.board?bmode read&aSeq364774에서 2018년 3월 2일 인출 

  15. 통계청 (2018. 3). 출산 및 육아휴직 현황.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 cd1504에서 2018년 3월 23일 인출 

  16. Ahmeduzzaman, M., & Roopnarien, J. L. (1992). Sociodemographic factors, functioning style, social support, and fathers' involvement with preschoolers in African-American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3), 699-707. doi:10.2307/353255 

  17. Bailey, W. T. (1993). Fathers' knowledge of development and involvement with preschool childre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7(3), 1032-1034. doi:10.2466/pms.1993.77.3.1032 

  18. Booth, C. L., Clarke-Stewart, K. A., Vandell, D. L., McCartney, K., & Owen, M. T. (2002). Child-care usage and mother-infant "quality tim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16-26. doi:10.1111/j.1741-3737.2002.00016.x 

  19.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doi:10.1086/228943 

  20. Coverman, S. (1985). Explaining husbands'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The Social Quarterly, 26(1), 81-97. doi:10.1111/j.1533-8525.1985.tb00217.x 

  21. Craig, L. (2006). Does father care mean fathers share? A comparison of how mothers and fathers in intact families spend time with children. Gender & Society, 20(2), 259-281. doi:10.1177/ 0891243205285212 

  22. Del Bono, E, D., Francesconi, M., Kelly, Y., & Sacker, A. (2016). Early maternal time investment and early child outcomes. Economic Journal, 126(596), 96-135. doi:10.1111/ecoj.12342 

  23. Dowsett, C. J., Huston, A. C., Imes, A, E., & Gennetian, L. (2008). Structural and process features in three types of child care of children from high and low income famil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3(1), 69-93. doi:10.1016/j.ecresq.2007.06.003 

  24. Esping-Andersen, G. (2009). The incomplete revolution: Adapting welfare states to women's new roles. Cambridge: Polity Press. 

  25. Hsin, A., & Felfe, C. (2014). When does time matter?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time with parents and child development. Demography, 51(5), 1867-1894. doi:10.1007/s13524-014-0334-5 

  26. Huston, A. C., & Rosenkrantz Aronson, S. (2005). Mothers' time with infant and time in employment as predictors of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arl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6(2), 467-482. doi:10.1111/j.1467-8624.2005.00857.x 

  27. Kelly, J. F., & Barnard, K. E. (2000). Assessment of parent-child interaction: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In J. P. Shonkoff & S. J. Meisels (Ed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258-28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Kelly, W. E., & Johnson, J. L. (2005). Time use efficiency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Education, 125(3), 511-515. 

  29. Marsiglio, W. (1991). Paternal engagement activities with minor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973-986. doi:10.2307/353001 

  30. Milkie, M. A., Mattingly, M. J., Nomaguchi, K. M., Bianchi, S. M., & Robinson, J. P. (2004). The time squeeze: Parental statuses and feelings about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3), 739-761. doi:10.1111/j.0022-2445.2004.00050.x 

  31. Schneider, B. (1993). Parents, their children, and schools: An introduction. In B. Schneider & J. S. Coleman (Eds.), Parents, their children, and schools (pp.1-12). New York: Westview Press. 

  32. Schwartz, C. R., & Mare, R. D. (2005). Trends in educational assortative marriage from 1940 to 2003. Demography, 42(4), 621-646. doi:10.1353/dem.2005.0036 

  33. Sullivan, O. (2010). Changing differences by educational attainment in fathers'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Sociology, 44(4), 716-733. doi:10.1177/0038038510369351 

  34. Sullivan, O, & Gershuny, J. (2013). Domestic outsourcing and multitasking: How much do they really contribute? Social Science Research, 42(5), 1311-1324. doi:10.1016/j.ssresearch.2013.05.004 

  35. Tamis-LeMonda, C., Shannon, J., Cabrera, N., & Lamb, M. (2004). Fathers and mothers at play with their 2- and 3-year-olds: Contributions to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5(6), 1806-1820. doi:10.1111/j.1467-8624.2004.00818.x 

  36. Weiss, H. B., Mayer, E., Kreider, H., Vaughan, M., Dearing E., Hencke, R., & Pinto, K. (2003). Making it work: Low-income working mother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0(4), 879-901. doi:10.3102/000283120400048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