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Differences in Time Use Satisfaction by Time Allocation Types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1, 2015년, pp.163 - 180  

김외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time allocation,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ime allocation typ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time use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time use of the elderly.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하루 24시간을 포괄하는 필수생활시간, 의무생활시간, 여가시간을 축으로 시간배분을 유형화하고, 유형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며,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대한 연구는 노인의 일상생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동시에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 노인을 대상으로 시간배분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를 분석한 연구(채화영 등, 2011)도 있으나 시간배분 유형의 분류기준에 필수생활시간을 포함하지 않았고, 시간사용만족도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유형별 특성변수로 처리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수 생활시간을 포함한 하루 24시간을 기초로 시간배분을 유형화한 후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시간배분을 유형화하고,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분석대상자를 비농가노인에 한정하였으므로 농가노인의 시간배분 유형, 농가와 비농가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의 차이 등을 파악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이상과 같이 노인의 시간배분은 성별, 연령,학력, 취업여부, 소득, 배우자 유무, 주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촌 지역 노인들의 차이를 고려하여 비농가 노인만을 대상으로 관련 변수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시간배분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2007), 김주현(2007)과 채화영 등(2011)의 연구가 있으나 시간배분을 유형화함에 있어서 생산적 활동 또는 일, 가족, 여가의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유형화가 이루어져 노인의 하루 24시간의 시간배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루 24시간을 포괄하는 필수생활시간, 의무생활시간, 여가시간을 토대로 노인의 시간배분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하루생활의 구성은? 인간의 하루생활은 개인의 생리적 에너지를 재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생활시간과 수입 노동 및 가사노동, 학습 등으로 이루어진 의무생활시간, 그리고 필수활동과 의무활동을 제외하고 남는 여가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김외숙ㆍ이기영, 2015). 각 활동영역별 시간배분은 성별, 취업 여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생애발달주기에 따른 차이는 특히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오늘날의 노인으로서 겪게되는 시간배분의 차이의 예는? 이러한 변화는 일상생활의 변화를 야기하고 이는 시간배분의 차이로 나타나게 된다. 즉 체력저하 및 질병 등 건강문제로 개인유지시간이 증가할 수 있고, 은퇴로 인한 사회적 역할 변화로 유급노동시간이 감소하는 대신 여가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시간배분을 파악하는 것은 이들의 전반적인 삶을 조망하고, 생활영역별 시간배분의 과소 문제, 여가활용문제 등 일상생활 문제를 파악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적, 국가적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시간의 특성은? 시간은 모든 인간이 공통으로 하루 24시간의 한정된 양을 가진 자원으로 특정 활동에 시간을 배분하면 다른 활동에 배분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받게 되는 제로섬(zero-sum)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시간을 어떻게 배분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개인의 생활양식과 사회의 전반적인 생활문화를 이해하는 기초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인자.김혜연(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9. 

  2. 김미은(2014).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과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의 관련성 연구 :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0-2012)를 이용하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선아(2013). 성인의 수면시관과 고혈압 및 당뇨병과의 관련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외숙(2012).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33-152. 

  5. 김외숙(2014). 중.고령 남성의 가사노동참여 결정요인. 2014년 대한가정학회 제67차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45. 

  6.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2 개정판).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7. 김외숙.이기영.이연숙.조희금.한영선.김하늬.김주희.윤용옥(2010). 식사, 가사노동, 여가를 중심으로 한 가족공유시간 분석. 2010 년도 통계청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8. 김외숙.한영선.이기영.이연숙.조희금.이승미.윤용옥(2012). 성인의 가족공유시간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65-186. 

  9. 김은경.김응렬(2002). 노인의 생활시간 구조 분석. 한국학연구, 17, 145-175. 

  10. 김정석(2011). 준고령층 부부의 식사관련행위. 한국인구학회, 33(3), 123-142. 

  11. 김주현(2007).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27(4), 739-754. 

  12. 김진욱(2006a).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 :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 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5, 133-158. 

  13. 김진욱(2006b).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14. 김주희(2012).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미석.이유리(2003).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 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16. 박미희.변금선(2013). 생애과정 전환기의 생활시간 배분에 관한 연구 :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5(3), 29-52. 

  17. 박민자.손문금(2005). 고령 여성과 남성의 일상생활 :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1, 121-145. 

  18. 박민정(2014).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수미(2007). 한국고령자의 생활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 : 일, 무급가족노동, 여가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72(1), 5-30. 

  20. 박잎새(2008).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전신 비만, 복부비만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신숙(2011a).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11-325. 

  22. 이신숙(2011b).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35-58. 

  23. 이영주(2012). 청소년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만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윤정.정순희(2004).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소비패턴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1), 101-116. 

  25. 이윤희.배연정.이지민.이정재.서교 (2012). 생활시간 분석을 통한 고령 농가의 정주활동구조 연구. 농촌계획, 18(4), 91-101. 

  26. 이주현.박수현.유은영.정민예.조덕연 (201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 85-98. 

  27. 양영순(2007). 여성노인의 시간사용과 가정에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39-445. 

  28. 정경희(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56-70. 

  29. 정경희.윤지은(2010). 한국노인의 생산활동 참여실태 및 경제적 가치. 보건복지포럼, 48-57. 

  30. 조희금.이승미.김외숙.이기영.이연숙.한영선(2011).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시간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1), 1-28. 

  31.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32. 채화영.김주희.이기영(2011).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2), 129-146. 

  33. 최문영(2012).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연관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한지수(2004). 부부의 시간사용유형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Burr, J. A., Mutchler, J. E., & Caro, F. G.(2007). Productive activity cluster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intersecting forms and time commitments. Journal of Gerontology, 62(4), 267-275. 

  36. Gauthier, A. H., & Smeeding, T. M.(2000a). Patterns of time use of people age 55 to 64 years old : some cross-national comparisons. Syracuse : Center for Policy Research, Syracuse University. 

  37. Gauthier, A. H., & Smeeding, T. M.(2000b). Time use at older ages : cross-national differences. Research on Aging, 25(3), 247- 274. 

  38. Gauthier, A. H. & Smeeding, T. M.(2001). Historical trends in the patters of time use of older adults. Paper commissioned by the OECD. On-line : http://www.oecd.org/els/public-pensions/2430978.pdf. 

  39. Hamermesh, D. S.(2007). Time to eat : Household production under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Journal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9(4), 852-863. 

  40.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me Use Research(IATUR). http://www.iatur.org/ 

  41. Khare, A. & Inman, J. J.(2006). Habitual behavior in american eating patterns : The role of meal occa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4), 567-575. 

  42. Krantz-Kent, R. & Stewart, J.(2007). How do older americans spend their time? Monthly Labour Review, 2007(May), 8-26. 

  43. Okamura, H., Tsuda, Y., Mar, K. H., Horiuchi, T. & Matsuishi, K.(2010). Short sleeping time and psychobiological responses to acute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78(3), 209-214. 

  44. Speicher, B.(2008). Sleeping time and the twenty-four-hour day time budget constraint : Tools in forensic economic analysis. Journal of Legal Economics, 15(1), 87-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