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합영양 배양에서 Chlorella protothecoides의 GABA를 포함한 아미노산 함량 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Amino Acids Including GABA of Chlorella protothecoides under Mixtrophic Culture 원문보기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Journal of marin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v.10 no.1, 2018년, pp.18 - 25  

정유정 (주식회사 바이오이즈) ,  김성학 (주식회사 바이오이즈) ,  민희경 (주식회사 바이오이즈) ,  김성천 (주식회사 바이오이즈)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ella i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igh in protein with balanced essential amino acid profiles, vitamins and minerals.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broadly distributed in nature and fulfills multi-phys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effect such as a health-promoting f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목적하는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양방식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비교적 쉽게 배양이 가능한 C. protothecoides 의 혼합영양 배양방식을 통하여 GABA 및 아미노산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GABA 함량을 통해 고부가가치 기능성 미세 조류로써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rotothecoides 의 혼합영양 배양방식을 통하여 GABA 및 아미노산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GABA 함량을 통해 고부가가치 기능성 미세 조류로써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는 어느 분야로 이용성이 확대되고 있는가? 미세조류는 미래 식량자원, 에너지원으로 매우 중요하며, 기초과학, 대체에너지, 식품·의약품 원료물질, 사료 및 첨가제 등 이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4, 21]. 또한, 미세조류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같은 종이라도 배양조건에 따라 유용 성분 함량과 생리활성에 차이를 보인다 [11, 24].
γ-aminobutyric acid란 어떤 물질인가? 건강 물질로 알려진 γ-aminobutyric acid (GABA)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질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로부터 glutamate decarboxylase (GAD) 촉매로 탈탄산되어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물질이다. 또한, GABA는 포유동물의 뇌나 척수의 중추 신경계통에 내에 널리 분포되어있는 신경 전달 물질 억제제로, 뇌혈류 개선, 뇌세포 대사기능 촉진, 혈압 감소, 신경안정, 우울증 완화, 중풍·치매 완화, 암세포 억제, 진통 치료에 쓰이고 있어 차세대 의약품 및 건강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1, 25, 26, 27].
미세조류에는 어떠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는가? 또한, 미세조류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같은 종이라도 배양조건에 따라 유용 성분 함량과 생리활성에 차이를 보인다 [11, 24]. 간 기능 개선, 항암, 항산화, 면역기능, 생체내의 중금속 배출, 혈압강하와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어, 식·의약품, 건강식품, 화장품 원료 등으로 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15, 17, 18, 22, 29]. 클로렐라는 영양학적으로 고함량 단백질 식품으로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식물성단백질, 필수아미노산, 필수지방산, 복합당질,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소, 엽록소, 핵산, β-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류틴 등 항산화제, 식물성 영양성분, 스테롤, γ-리놀렌산 등 식물성 영양소를 고루 함유하고 있다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eghate, E. and Ponery, A. S. 2002. GABA in the endocinepancreas: cellular localization and function in normal and diabetic rats, Tissue Cell. 34, 1-6. 

  2. Boonburapong, B., Laloknam, S. and Incharoensakdi, A. 2016. Accumula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in the halotolerant cyanobacterium Aphanothece halophytica under salt and acid stress. J. Appl. Phycol. 228(1), 141-148 

  3. Bouche, N and Fromm, H. 2004. GABA in plants: Just a metabolite? Trends Plant Sci. 9:110-115. 

  4. Borowitzka M. A. 2013. High-value products from microalgae-their development and commercialisation. J. Appl. Phycol. 25, 743-756. 

  5. Bown, A. W. and Shelp, B. J. 1997. The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 -aminobutyric acid. Plant Physiol. 115, 1-5. 

  6. Brown, M. R. and Jeffrey, S. W. 1992. Biochemical composition of microalgae from the green algal classes Chlorophyceae and Prasinophyceae. 1. Amino acids, sugars and pigments. J. Exp. Mar. Biol. Ecol. 161(1), 91-113. 

  7. Cha, J. Y., Kim, J. W. Park, B. K. Jin, H. J. Kim, S. Y. and Cho. Y. S.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hlorella sp. CMS-1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its hot water extract. J. Life Sci. 18, 1723-1727. 

  8. Chang, J. S., Lee, B. S. and Kim, Y. G.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15-319 

  9. Chen, H., Zheng, Y., Zhan, J., He, C. and Wang, Q. 2017. Comparative metabolic profiling of the lipid-producing green microalga Chlorella reveals that nitrogen and carbon metabolic pathways contribute to lipid metabolism. Biotechnol. Biofuels. 10, 153 

  10. Cho, S. H., Kwon, O. S., Kwon, H. B., Kim, S. Y., Kim, W. S., Kim, C. K., Park, S. S., Bae, J. H., Lee, C. J., Chang, S. H., Jeong, H. S. and Choi, J. W. 2007. Concepts in Biochemistry, pp. 597-600, third, ed. Worldsci. Korea. 

  11. Dhakal, R, Bajpai, V. K. and Baek, K. H. 2012. Production of GABA ( ${\gamma}$ -aminobutyric acid) by microorganisms: a review. Braz. J. Microbiol. 43, 1230-1241. 

  12. Endo, H., Nakajima, K., Chino, R. and Shirota, M. 1974. Growth characteristics and cellular components of Chlorella regularis, heterotrophic fast growing strain. Agr. Biol. Chem. 38(1), 9-18. 

  13. Heredia-Arroyo, T., Wei, W. and Hu B. 2010. Oil accumulation via heterotrophic/mixotrophic Chlorella protothecoides. Appl. Biochem. Biotechnol. 162(7), 1978-1995. 

  14. Ge, S, Pradhan, D. A., Ming G. L. and Song, H. 2007. GABA sets the tempo for activity-dependent adult neurogenesis. Trends Neurosci. 30, 1-8. 

  15. Guccione, A., Biondi, N., Sampietro, G., Rodolfi, L., Bassi, N. and Tredici, M. R. 2014. Chlorella for protein and biofuels: from strain selection to outdoor cultivation in a green wall panel photobioreactor. Biotechnol. Biofuels. 7(1), 84. 

  16. Guzman, S., Gato, A. and Calleja., J. M. 2001.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marine microalgae Chlorella stigmatophora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Phytother. Res. 15, 224-230. 

  17. Guzman, S., Gato, A., Lamela, M., Freire-Garabal M. and Calleja. J. M. 2003.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om Chlorella stigmatophora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Phytother. Res. 17, 665-670. 

  18. Hasegawa, T., Matsuguchi, T., Noda, K,, Tanaka, K., Kumamoto, S., Shoyama, Y. and Yoshikai, Y. 2002. Toll-like receptor 2 is at least partly involved in the antitumor activity of glycoprotein from Chlorella vulgaris. Int. Immunopharmacol. 2, 579-589. 

  19. Huo, S., Wang, Z., Zhu, S., Zhou, W., Dong, R. and Yuan, Z. 2012. Cultivation of Chlorella zofingiensis in bench-scale outdoor ponds by regulation of pH using dairy wastewater in winter, South China. Bioresour. Technol. 121, 76-82. 

  20. Lane, T. R. and Stiller, M. 1970. Glutamic acid decarboxylation in Chlorella. Plant Physiol. 45, 558-562 

  21. Leu, S. and Boussiba S. 2014. Advances in the production of high-value products by microalgae. Ind. Biotechnol. 10, 169-183. 

  22. Merchant, R. E., Andre, C. A. and Sica, D. A. 2002. Nutritional supplementation with Chlorella pyrenoidosa for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J. Med. Food. 5, 141-152. 

  23. Miao, X. and Wu, Q. 2006. Biodiesel production from heterotrophic microalgal oil. Bioresour. Technol. 97(6), 841-846. 

  24. Miranda, M. S., Sato, S. and Mancini-Filho, J.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cultered on special condition. Boll. Chim. Farm. 140, 165-168. 

  25. Mody, I., De Koninck, Y., Otis, T. S. and Soltesz, I. 1994. Brid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s Neurosci. 17, 517-525. 

  26. Oh, C. H. and Oh, S. H. 2004.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J. Med. Food. 7, 19-23. 

  27. Ohmori, M., Yano, T., Okamoto, J., Tsushida, T., Murai, T. and Higuchi, M. 1987. Effect of anaerobically treated tea (Gabaron tea)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Nippon Nogei Kagaku Kaishi. 61, 1449-1451. 

  28. Safi, C., Zebib, B., Merah, O., Pontalier, P. Y. and Vaca-Garcia, C. 2014. Morphology, composition, produ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s of Chlorella vulgaris: A review. Ren. Sustain. Energy Rev. 35, 265-278. 

  29. Shibata. S., Natori, Y., Nishihara, T., Tomisaka, K., Matsumoto, K., Sansawa, H. and Nguyen, V. C. 2003. Antioxidant and anti-cataract effects of Chlorella on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J. Nutr. Sci. Vitaminol. 49, 334-339. 

  30. Shimada, M., Hasegawa, T., Nishimura, C., Kan, H., Kanno, T., Nakamura, T. and Matsubayashi, T. 2009. Anti-hypertensive effect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rich Chlorella on high-normal blood pressure and borderline hypertension in placebo-controlled double blind study. Clin. Exp. Hypertens. 31(4):342-54. 

  31. Snedden, W. A. and Fromm, H. 1998. Calmodulin, calmodulin related proteins and plant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Trends. Plant Sci. 3, 299-304. 

  32. Won, S. Y., Kim, J., Lee, M. and Oh, K. 2013. The effect of GABA-enriched chlorella intake and voluntary wheel running on blood pressure, running distance and antioxidant enzym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Exerc. Sci. 22(1), 34-42. 

  33. Xu, H., Miao, X. and Wu, Q. 2006. High quality biodiesel production from a microalga Chlorella protothecoides by heterotrophic growth in fermenters. J. Biotechnol. 126(4), 499-5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