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초 정맥주사를 통해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을 투약한 성인 환자의 일혈 발생과 위험요인
Factors Related to Extravasation of Non-chemotherapy Vesicant Drugs in Peripheral Vein Catheter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2, 2018년, pp.11 - 20  

이종민 (서울아산병원) ,  이주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 간호학연구소) ,  장연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 간호학연구소) ,  김연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intravenous extravasation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in adults. Method : Thi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203 adult patients admitted to the general ward who received non-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정맥주사와 관련된 합병증인 일혈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여 대상자들에게 적절하고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말초 정맥관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정맥주사와 관련된 합병증인 일혈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여 대상자들에게 적절하고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말초 정맥관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말초 정맥관을 통하여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일혈 발생률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전향적 관찰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 중 일혈 발생은 43.
  • 본 연구는 말초 정맥관을 통하여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일혈발생률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전향적 관찰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향적으로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과 일혈 발생에 대해서 관찰한 조사연구이며, 이는 말초 정맥관 합병증에 대한 위험요인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서의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과 일혈 발생과의 연구를 비교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말초 정맥관을 통하여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일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일혈 발생률은 43.3%였다. Kassne (2000)는 소아,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제를 투약한 연구에서 일혈이 0.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초 정맥주사를 통해 비항암제 발포성 약물을 투약한 성인 환자의 일혈 발생 실태를 확인하고,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혈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러나 카테터를 통하여 수액과 약물 치료를 하게 되면 뜻하지 않게 말초 정맥관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며, 말초 정맥관 관련 주요 합병증으로 정맥염, 침윤과 일혈 등이 있다. 그 중 일혈은 혈관 외 합병증으로 혈관 벽에 가해지는 과정에 의해 유발되며, 미국 정맥주입 간호사회(Infusion Nurses Society, INS)에서는 일혈에 대해서 발포성 약물이 혈관 경로이외 피부주위의 축적이나 누출이 있는 경우를 일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Doellman et al., 2009; Dougherty, Lister, & West-Oram, 2015; INS, 2016).
말초 정맥관 카테터를 이용한 정맥주입요벅은 무엇인가? 말초 정맥관 카테터를 통한 정맥주입요법은 의료현장에서 환자에게 약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필수적이고 가장 흔하게 쓰는 치료방법이다(O’Grady et al., 2011).
말초 정맥관 카테터를 통한 정맥주입요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11). 그러나 카테터를 통하여 수액과 약물 치료를 하게 되면 뜻하지 않게 말초 정맥관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며, 말초 정맥관 관련 주요 합병증으로 정맥염, 침윤과 일혈 등이 있다. 그 중 일혈은 혈관 외 합병증으로 혈관 벽에 가해지는 과정에 의해 유발되며, 미국 정맥주입 간호사회(Infusion Nurses Society, INS)에서는 일혈에 대해서 발포성 약물이 혈관 경로이외 피부주위의 축적이나 누출이 있는 경우를 일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Doell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med, A., & Keeffe, E. B. (2006). Liver chemistry and function tests. In M. Friderman, L. S. Friderman, & L. S. Brandt(9th ed.). Sleisenger and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pp 1575-1587). Philadelphia, PA: Saunders. 

  2. Doellman, D., Hadaway, L., Bowe-Geddes, L. A., Franklin, M., LeDonne, J., Papke-O'Donnell, L., . . . Stranz, M. (2009).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 update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Infusion Nursing, 32(4), 203-211. 

  3. Dougherty, L. (2008). IV therap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17(14), 896-901. 

  4. Dougherty, L. (2010). Extravasation: prevention, recognition and management. Nursing Standard, 24(52), 48-55. 

  5. Dougherty, L., Lister, S., & West-Oram, A. (2015). The Royal Marsden manual of clinical nursing procedures(9th ed.).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6. Fernandez-Garcia, C., Mata-Peon, E., & Avanzas-Fernandez, S. (2017). Related factors with extravasation of non-cytostatic agents in peripheral vein catheters. Enfermeria Clinica, 27(2), 71-78. 

  7. Goutos, I., Cogswell, L. K., & Giele, H. (2014). Extravasation injuries: a review. Journal of Hand Surgery, 39(8), 808-818. 

  8. Gu, M. O., Cho, M. S., Cho, Y. A., Eun, Y., Jeong, J. S., Jung, I. S., . . . Yun, H. S. (2013). Adapt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1), 128-142. 

  9. Hadaway, L. (2007).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Preventing a complication of IV catheterization. Journal of American Nursing, 107(10), 64-72. 

  10. Hadaway, L. (2012). Short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and infections. Journal of Infusion Nursing, 35(4), 230-240. 

  11. Harrold, K., Gould, D., & Drey, N. (2015). The management of cytotoxic chemotherapy extravas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o evaluate the evidence underpinning contemporary practice. Journal of European Cancer Care, 24(6), 771-800. 

  12. Infusion Nurses Society. (2016). Infusion nursing standards of practice.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9, S1-138. 

  13. Kassne, E. (2000). Evaluation and treatment of chemotherapy extravasation injuries.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17(3), 135-148. 

  14. Kim, K. A. (2009).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6(2), 163-168. 

  15. Martin, S. M. (2013). Extravasation management of nonchemotherapeutic medications. Journal of Infusion Nursing, 36(6), 392-396. 

  16. O'Grady, N. P., Alexander, M., Burns, L. A., Dellinger, E. P., Garland, J., Heard, S. O., . . . Saint, S. (2011).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39(4), S1-34. 

  17. Perez Fidalgo, J. A., Garcia Fabregat, L., Cervantes, A., Margulies, A., Vidall, C., & Roila, F. (2012). Management of chemotherapy extravasation: ESMO-EO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Oncology Nurse, 16(5), 528-534. 

  18. Sauerland, C., Engelking, C., Wickham, R., & Corbi, D. (2006). Vesicant extravasation part I: mechanisms, pathogenesis, and nursing care to reduce risk. Oncology Nursing Forum, 33(6), 1134-1141. 

  19. Schulmeister, L. (2011). Vesicant chemotherapy extravasation management.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9), S6-12. 

  20. Taylor, J. T. (2015). Implementing an evidence-based practice project in the prevention of peripheral intravenous site infiltrations in children. Journal of Infusion Nursing, 38(6), 430-435. 

  21. Wengstrom Y., & Margulies A. (2008). European oncology nursing society extravasation guideline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2(4), 357-361. 

  22. Woody, G., & Davis, B. A. (2013). Increasing nurse competence in peripheral intravenous therapy. Journal of Infusion Nursing, 36(6), 413-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