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 제도의 종합위험도 결정 체계 개선을 위한 고찰
Discussion for Improvement of Decision System of Total Risk in Off-site Risk Assessment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3, 2018년, pp.217 - 226  

최우수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류태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곽솔림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임형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정진희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이지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김정곤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백종배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  윤준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류지성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Despite the positive effects of Off-site risk assessment (ORA) system such as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some problems have been constantly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have occurr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ORA system for the past th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외영향평가 제도의 종합위험도 부여 체계를 분석하여 개별 취급설비의 위험도 산정 시 인구수 산정의 불확실성, 환경수용체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분석 방법 부재, 영향범위를 산정 불가한 유해화학물질, 종합위험도 판단 기준의 구체성 미흡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이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한 종합위험도 의사결정 체계는 지난 3년간 장외영향평가서를 평가하면서 축적된 취급사업장별 종합위험도 주요 요인들의 조합에 대한 경험치가 반영되어 현실성 있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3년간 장외영향평가 제도 시행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합리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체계적인 종합위험도 결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틸이소시아네이트 가스 누출사고의 영향은? 인도 보팔의 메틸이소시아네이트 가스 누출사고와 같은 대형 화학사고는 전세계적으로 화학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고 이후 서구를 중심으로 화학사고 예방 및 대비를 위한 다양한 제도가 도입되었다.1) 외국의 화학사고 관리제도는 영국의 토지이용계획(Land Use Planning, LUP)과 미국의 위해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 RMP)이 대표적이다.
LUP는 무엇인가? 1) 외국의 화학사고 관리제도는 영국의 토지이용계획(Land Use Planning, LUP)과 미국의 위해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 RMP)이 대표적이다. LUP는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이나 설비 등을 신규 설치 혹은 변경하는 경우 사고에 대한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여 입지를 제한하는 제도이다. 장외영향평가가 포함된 미국의 RMP는 사업장 외부주민과 환경을 화학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험성평가와 예방프로그램, 비상대응프로그램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미국의 공정안전관리제도와 비슷한 영국의 법안은? 미국의 공정안전관리제도는 미국 노동부 산업안전보건국에 의해 199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서, 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설계, 설치, 운전 및 정비 기준을 제도화하고, 비상조치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영국의 안전보고서는 중대사고위험관리법령(COMAH, Control of Major Accident Hazards)을 도입하여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입증, 위험성평가에 따른 정보제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정 수량 이상 취급하는 사업장의 경우 5년마다 제출하며, 앞서 제시한 LUP에 따라 사전에 입지에 대한 적합성을 승인 받아야 제출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Drogaris G. Learning from major accidents involving dangerous substances. Safety Sci. 1993; 16(2): 89-113. 

  2. Lee J, Choi 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in view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ire Sci Eng. 2015; 29(5): 73-78. 

  3. Lee D, Lee T, Shin C.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chemical accident. Fire Sci Eng. 2016; 30(5): 137-143. 

  4. Lee D, Kim S, Yun J, Shin G, Yoo B.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ransportation plan for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 vehicles.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 17(6): 151-157. 

  5. Lee I, Hwang M, Shin Y, Woo I. A study on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of optimal operation by risk management of petroleum chemical plant. J Risk Manage. 2017; 28(1): 1-45. 

  6. Lee D, Lee T, Shin C. Study of the improvement of hazardous chemical management for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Fire Sci Eng. 2017; 31(1): 74-80. 

  7. Lee D, Lee T, Shin C.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chemical Accident. Fire Sci Eng. 2016; 30(5): 137-143. 

  8. Chungsik Y, Seunghon H, Jihoon P, Sunju K, Sangah L, Kwonseob L,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chemical management contents of laws pertain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the Employment and Labor. J Environ Health Sci. 2014; 40(5): 331-345. 

  9. Ministry of Environment. Regulation on preparation of off-site risk assessment report. Notification 2018-7 2018. 

  10. Kim J, Ryu J, Ryu T, Kwak S, Lim H, Choi W, et al. Suggestions for increasing utilization of KORA for supporting off-site risk assessment system. J Environ Health Sci. 2018; 44(2). 

  11. Suh Y, Park J, Gan S, Cho S, Han S. Improvement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 policies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measures to support the industry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7. 

  12. Park J, Suh Y, Gan S, Lee S. Improvement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 policies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measures to support the industry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13. Kim K, Chun Y, Hwang Y, Lee I, Kwak I. Establishment of the appropriate risk standard through the risk assessment of accident scenario. J Korean Soc Environ Eng. 2017; 39(2): 74-81. 

  14. Lee J, Kim S, Yang W, Yoon J, Ryu J, Kim J, et al. Investigation of the guidance levels for protecting populations from chemical exposure and the estimation of the level of concern using acute toxicity data. J Environ Health Sci. 2018; 44(1): 44-54. 

  15. Ministry of Environment. Chemical Control Act. 2017. 

  16.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Based resource document of risk based inspection: API-580. New York: 2001. 

  17.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Risk-based inspection-Basic resource document: API-581. New York: 2000. 

  18.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Available: https://www.aiha.org/get-involved/AIHAGuidelineFoundation/EmergencyResponsePlanningGuidelines/Pages/default.aspx]. 

  19. Cook WA. A compendium of world-wid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Akron, Ohio: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1987. 

  20. Paustenbach DJ.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pharmacokinetics, and unusual work schedules. In Cralley LJ, Cralley LV, (Eds). Patty's Industrial Hygiene and Toxicology.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1985. p. 111-277. 

  21. Dourson ML, Stara JF. Regulatory history and experimental support of uncertainty (safety) factors.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1983; 3(3): 224-238. 

  22. McMichael AJ, Spirtas R, Kupper LL. An epidemiologic study of mortality within a cohort of rubber workers, 1964-72. J Occup Environ Med. 1974; 16(7): 458-464. 

  23. ECHA. Guidance on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hemical safety assessment. Helsinki, Finland: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2010-G-19-EN 2012. 

  24.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2017. 

  25. Health and Safety Executive. Reducing risks, protecting people. 2010. 

  26.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Notification of safe distance from outside wall of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y to protection object. Notification 2014-251 2014. 

  27. Lee B, Park C, Song H.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azardous properties of the oxidizing solids. Fire Sci Eng. 2009; 23(5): 9-16. 

  28. Eckhoff RK. Dust explosions in the process industries Burlington: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003. 

  29. Kang S. Protection of dust explosion. Fire Sci Eng. 1991; 5(2): 4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