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의 재난관련 대비-대응 사업의 실태와 과제
Status and Issues on Disaster Prepara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2, 2018년, pp.63 - 73  

조유향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정영해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張弘千惠 (덕도문리대학 보건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의 재난대응 관련사업의 실태와 향후 방향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5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2017년 9월 1개월 동안 방문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 보건소는 재난대비 대응에 있어서 시 군 구의 협조기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구급지원, 감염병 위기관리 및 방역실시, 을지훈련참여, 재난훈련 및 연수 등이 활동의 전부로 수동적인 활동이었으며, 보건소 자체 프로그램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보건소가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재난발생 시 보건활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위해서는 보건기관 자체의 총괄보건 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재난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필요한 매뉴얼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총괄보건활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건소를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만 생각하는 시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시각의 변화가 쉽지는 않겠지만 관 학 협력으로 일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재난 시에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것은 의료지원이나 감염병위기 관리에 국한되지 않는다. 주민의 생활지원은 물론 건강관리 및 영양지원, 정신보건의료, 대피소 환경관리 및 봉사자 관리 등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보건소의 인력별 역할 및 기능에 따라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isaster preparation and response programs and the status of disaster preparation in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In 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in September 2017 using 5 open questions to the persons who are in charge of disaster respon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소의 재난 관련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 보건소의 재난관련 프로그램을 보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소의 재난대비-대응관련 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보건소의 재난대비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생물테러 모의훈련 사업은 국내·외 생물테러에 대한 위험이높아짐에 따라 사전대비와 대응 훈련을 통하여유사시 신속, 정확한 현장 대응능력을 배양하고자한 것이다.
  • 생물테러 모의훈련 사업은 국내·외 생물테러에 대한 위험이높아짐에 따라 사전대비와 대응 훈련을 통하여유사시 신속, 정확한 현장 대응능력을 배양하고자한 것이다. 즉, 지역사회 내 병의원 등 유관기관간의 위기대응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장 대처능력을함양하고, 생물테러 상황 발생 시 인명피해 최소화하며 주민들의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생물테러 모의훈련은 지자체 내의 보건소들이 합동으로 감염병 발생 시의 대응방안을교육, 훈련하는 프로그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중보건위기란 무엇인가?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2015∼2019[7]에 따르면 감염병 관련 주요 대책으로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역량 강화를 제시하고 있으며, 예방과 대비, 대응, 복구 과정에서 적용할 대책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즉, 공중보건위기(public health crisis)는 ‘국민의 관심과 여론의 수준이 높아져 해당 보건 문제 대응을 위하여 보다 많은 인력과 자원을 필요로 하는 상황’으로 정의하며, 그 종류에는 ① 자연재해와 기후/기상 변동과 변화, ② 대규모 사상 폭발, 사고, ③ 화학물질 응급 상황, ④ 방사선 응급 상황, ⑤ 생물테러,⑥ 감염병의 집단 발병 등이 있다.
재난관리의 과정에는 무엇이 있는가? 재난관리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과정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6]. 재난의 발생요인을 제거하고 억제하는 등의 완화와 예방(prevention), 예방이나 완화가 불가능한 위험에 대한 대비(preparation),재난 발생 시 개시되는 대응(response), 마지막으로 지역사회를 재난 이전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복구 과정(recovery)이다. PPRR로 구성된 총체적 재난 관리 모형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각국에서 기본적인 모형으로 채택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재난관리계획의 특징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외래, 재발 감염병인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나 신종인플루엔자,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Syndrome), 수인성 감염병인 콜레라, 세균성이질등 감염병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도록 되어 있다[6]. 한편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재난관리계획에는 재난발생 시 보건의료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은 지역 보건소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8]. 이에 따라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재난현장에서는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기관과 협조하여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HO (2013). Emergency Response Framework. The author. 

  2. Jakeway, LaRosa, Cary & Schoen(2008).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in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A position paper of the association of state and territorial directors of nursing, Public Health Nursing, 25(4): 353-361. 

  3. Lee IS.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1995), - Disaster law and 98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The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0,11(1): 289-316.?(Korean) 

  4. 飯島勝失. 災害時 高齡者診療今後의 課題: 東 日本大震災로부터 學배운 것, 日老醫誌, 2012, 49:164-170. 

  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6 Yearbook of disaster, Http://www.safekorea.go.kr, 2017?(Korean) 

  6. National Earthquake Hazards Reduction Program.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retrieved on 2017/3/8 from https://training.fema.gov/emiweb/earthquake/ neh0101220.htm. 

  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National safety management master plan; 2015-2019. 2015?(Korean) 

  8. Ministry Health and Welfare. Emergency medical care guidelines for major casualties. 2015.?(Korean) 

  9. Ministry Health and Welfare.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Manual. 2016.?(Korean) 

  10. Lee YR, Lee MH.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in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6, 22(1): 96-109.?(Korean) 

  11. Uhm DC, Park YI, Oh HJ.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6, 22(2): 240-249?(Korean) 

  12. Tener Goodwin Veenema. Handbook for disaster nursing and emergency preparedness, Korea, Elsevier and Jungdam Media Publishing, 2016, pp.14-20.?(Korean) 

  13. 광산구보건소(2017). 2017년도 보건소 사업계획서, 내부자료 

  14. 공주시보건소(2017).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예방 종합대책, 내부자료 

  15. 공주시 안전관리과(2017). 2017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시행계획, 내부자료 

  16. 목포시보건소(2017). 목포시보건소 내부 자료. 

  17. 서울시 중구보건소(2017). 국가 재난의료 지원 교육계획, 소방서 안전체험교실 자료 

  18. 함평군보건소(2017). 2017년 함평군보건소 사업계획서 

  19. Park JR. The disaster welfare and community response in Japan, The J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 7(1):199-208.?(Korean) 

  20. 宮崎美砂子. 災害發生時 保健活動體制와 對應에 關해서, -總括保健士의 役割.機能에 焦點을 맞추어-, 2017. 

  21. National Civil defence and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Institute. Course and schedule, (http://www.ndti.go.kr/). 2017.02.27. 

  22. Ministry Health and Welfare. 2016 Health and welfare white report, 2017.?(Korean) 

  23. 질병관리본부. 신종감염병 대유행시 질병관리 본부 비상인력 운영계획 연구, 2014, pp.1-185 

  24. Park SJ. Collaborative network for the infreguent emergency management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ase of controlling MERS-,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7 (Korean) 

  25. 福岡縣北筑後保健所管內. 災害時保健活動메뉴얼, 平成 27年 2月 

  26. 福岡縣保健醫療介護部. 災害時健康管理支援메뉴얼, 平成29年 3月 

  27. 宮崎美砂子. 大災害時 市町村保健師公衆衛生 看護活動, 保健醫療科學, 2013, (4):414-420. 

  28. 福岡縣北筑後保健福祉環境事務所. 平成29年7月 九州北部豪雨災害時活動, -被災自治體管轄保 健所立場-, 平成29年度 福岡縣災害時 健康管理支援報告會,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