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상예방, 재난과 보건분야 준비와 대응
Injury Prevention, Disaster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and Response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3, 2018년, pp.308 - 314  

정애숙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jury is a serious problem that not only causes death but also significantly degrad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causes loss of socioeconomic opportunities and costs. Damage occurs as a result of an accident. Among them, natural disasters and artificial disasters take lives of many peopl...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여기에서는 보건 측면에서 손상에 대한 개념적인 내용과 예방전략 개발 방법론을 살펴보고 재난에 대비하는 미국의 보건영역에서의 대응방법을 사례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손상방지 및 재난예방에 대응하기 위한 보건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적 혹은 인공적 재난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손상은 각종 사고의 결과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자연적 혹은 인공적 재난은 단시간에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가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는 등 대규모의 손상을 야기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재난이나 재난으로 인한 손상의 문제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보건분야에서 외면되어 왔다.
재난의 의미는 무엇인가? 재난(災難, disaster)은 날씨 등의 자연현상의 변화, 또는 인위적인 사고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의 피해를 말한다. 재난 가운데 자연 현상과 관련된 천재지변을 재해(災害) 또는 재앙(災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재해발생 시 인명손실을 줄이기 위한 대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재난 중 지진, 허리케인, 눈보라, 산불 등 많은 자연재해는 예측이 가능하고 각종 재해에 취약한 지역에서는 미리 건강위협에 대비하고 재해발생 시 인명손실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산업설비나 원자력발전소 등이 세워져있는 도시는발생 가능한 사고에 대한 긴급 재난대책을 세워야 한다. 위험한 물질을 싣고 운반하던 비행기나 기차, 트럭 등의 충돌사고는 예측하지 못한 지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기 더욱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juries and violence, the fact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cited 2018 Jul 19].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4288/9789241599375_ eng.pdf?sequence1. 

  2. Cho WH, Jeong WJ, Lim SJ, Lee SM, Jeon BC, Kim SH, et al. Socioeconomic costs of injury in Korea.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3. Wikipedia. Disaster [Internet]. San Francisco (CA): Wikipedia foundation; 2017 [cited 2018 Aug 27]. Available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9E%AC%EB%82%9C. 

  4. Schneider MJ.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4th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4. 

  5. Lafamme L, Svanstrom L, Schelp L. Safety promotion research. Stockholm: Karolinska Institutet,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s, Division of Social Medicine; 1994. 

  6. Jeong AS, Kwon SH, Kim NI, Kim MS, Kim SI, Kim SE, et al. Invitation to public health: public health. Seoul: Medical Scholarship; 2015. 

  7. Runyan CW. Introduction: back to the future: revisiting Haddon's conceptualization of injury epidemiology and prevention. Epidemiol Rev 2003;25(1):60-64. DOI: https://doi.org/10.1093/epirev/mxg005. 

  8.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2013 [cited 2015 May 5]. Available from: http://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