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생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of Medical Students Trends Analysi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0 no.2, 2018년, pp.91 - 102  

이애화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medical students' major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y analyzing 184 academic articles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ents from 2007 to 2017. Results showed many papers dealing with medical students'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student counse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에서 최근 의학교육 동향은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을 분석기준으로 의과대학생과 관련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이 어떻게 접근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약 10년간 의과대학생 관련 국내 논문들에서 나타난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주제를 의학교육 평가 인증기준을 참조하여 분석하고, 이와 함께 의예과와 의과대학(의학과 및 의학전문대학원생 포함) 학생 특성 관련 연구주제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며, 아울러 이들 의과대학생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학습자중심교육, 교육성과 및 질 관리를 강조하는 의학교육을 보다 발전하는데 필요한 후속연구들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 앞으로 2019년부터 적용되는 ASK2019 평가인증(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은 의학교육의 국제적 수준으로의 도약과 지속적인 교육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학교육의 주체인 의과대학생이 미래사회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의학교육을 받으며 지속적인 의학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탐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의학교육 동향을 주도하는 키워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그 중 하나가 학습자중심교육이며, 이는 국내・외 의학교육을 포함한 대학교육의 핵심 동향이기도 하다[13,14]. 학습자중심교육은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 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학습하는 교육이며[15], 학습자의 참여와 활동 강조, 학습자의 자율성 및 책임 강화,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과 존중,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성찰 등을 그 특징으로 한다[16,17]. 이러한 학습자중심교육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과대학에서의 학습자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학습평가체제를 구축 및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생의 학습자 특성에 대한 이해는 어느 부분에 도움이 될 수 있는가? 의과대학생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학습자의 언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학습성과에 대한 사전지식과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양식, 자아개념, 내・외적 동기, 귀인양식, 통제소재, 인지 및 초인지 전략 등을 파악하여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습평가, 학생상담 및 행정지원의 효과성 및 적합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8,19]. 의과대학생에 대한 학습자 특성 분석을 시도한 국내 선행연구의 예를 들면, 우선, 의학전문대학원생이 의과대학생들에 비해 심층적 학습접근, 학습 모니터링, 학습조직화,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를 분석한 Yune 등[20]의 연구가 있다.
의학교육은 어떤 교육인가? 의학교육은 기본적인 의학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기술 등을 강조하는 학생역량과 학습성과를 강조하고 있다[1]. 이에 의과대학들은 대학의 교육철학과 이념, 목표 등을 반영한 학습성과를 개발하고 지속적인 질 관리를 통해 학습자, 교수자 및 대학운영 전반의 환류를 강조하고 있다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S, Park JH, Yoo NJ, Lee SJ. Development of an outcome-based medical curriculum: a case report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Korean Med Educ Rev. 2013;15(1):39-45. 

  2. Park KH, Kim S, Rhee JA, Hur Y, Lee YH, Park JH. The perceptual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education and achievement level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in medical schools. Korean J Med Educ. 2014;26(2):125-36. 

  3. Park JH.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of student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from an outcome-based education perspective. Korean Med Educ Rev. 2013;15(3):112-9. 

  4. Im SJ. Assessment in outcome-based education. Korean Med Educ Rev. 2013;15(1):25-30. 

  5. Kim SH, Yang EB, Ahn DS, Jeon WT, Lyu CJ. The present conditions of clinical clerkship management in Korea. Korean J Med Educ. 2009;21(4):373-83. 

  6. Hong SH. Application to the dilemma discussion program: ethics and character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Korean Med Educ Rev. 2009;11(2):3-14. 

  7. Park JY. Leg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 goal, future direction and approach method. Korean J Med Law. 2017;25(1):27-48. 

  8. Choi SH. The student internship experience. Korean Med Educ Rev. 2015;17(1):26-32. 

  9. Lee SH, Jeon WT, Yang EB. A peer tutoring program introduction and effects analysis in medical college. Korean Med Educ Rev. 2012;14(2):86-94. 

  10. Han HH, Kim S. Trends of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Korean J Med Educ. 2009;21(1):35-41. 

  11. Yune SJ. Park K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search process for enhancing humanities competence of medical students. J Korean Data Anal Soc. 2017;19(6):3275-86. 

  12. Park WK. Student research in basic medical education: why do we say student research? Korean Med Educ Rev. 2015;17(2):57-9. 

  13. So Y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ception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Asian J Educ. 2015;16(1):113-35. 

  14. Ross JG, Bruderle E. Effects of active, student-centered teach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comfort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e Educ. 2018;43(1):2-3. 

  15. Kwon NW. Characteristics and theory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J Learn Cent Curric Instr. 2001;1(1):29-40. 

  16. Lea SJ, Stephenson D, Troy J.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cent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Stud High Educ. 2003;28(3):321-34. 

  17. Wright GB. Student-center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t J Teach Learn High Educ. 2011;23(1):92-7. 

  18. Kang EC. Introduction in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Paju: Education & Science; 2011. 41 p. 

  19. Lee JK, Kim JY, Kim HJ. Learning counselling. Seoul: Hakjisa; 2013. 39 p. 

  20. Yune S. Lee S, Kang S, Jeong H. Differences of the students' learning dispositio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J Korean Educ. 2007;34(3):3-27. 

  21. Ryue SH, Lee HB. Korean medical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Korean J Med Educ. 2012;24(2):103-15. 

  22. Kim 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udent generation and considerations for medical education. Korean Med Educ Rev. 2012;14(2):59-63. 

  23. Chang S, Koh EH, Park I. Tendency and task of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J Educ Methodol. 2013;25(3):603-21. 

  24. Kim S. Curr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by analysis of journals of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04;16(2):109-17. 

  25. Lee YH, Lee YM, Kwon H. Trends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12;24(4):287-99. 

  26. Yoo HH, Shin S. Trends of research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by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J Med Educ. 2015;27(4):247-54. 

  27.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Internet].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cited 2018 Jun 16]. Available from: http://www.kimee.or.kr/medical-education/purpose. 

  28. Chae SJ. A study on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focus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n Med Educ Rev. 2008;10(2):9-17. 

  29. Ahn S, Kim M, Ahn D.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of pre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2010;22(1):7-13. 

  30. Kim MJ, Park KH, Yoo HH, Park IB, Yim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dical student stress scale in Korea. Korean J Med Educ. 2014;26(3):197-208. 

  31. Namkung J, Kim JH. The developing and valid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scale. Korean Soc Creat Educ. 2010;10(1):85-1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