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및 중국산 비자 열매의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effective compounds in Korean and Chinese Torreya s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3, 2018년, pp.274 - 279  

김샛별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병우 (블루바이오소재개발센터) ,  현숙경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및 중국산 비자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H_2O$와 MeOH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ONOO^-$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GC-MS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동정하였고 그 함량을 분석하였다. 한국산과 중국산 비자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비교에서는 한국의 전남산 비자 $H_2O$ 추출물이 제주산, 중국산 비자 $H_2O$ 추출물보다 2배 이상 높게 나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MeOH 추출물에서는 한국의 전남산 비자가 제주산 비자보다 3배 이상, 중국산 비자보다 8배 높게 나왔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한국의 전남산 비자 $H_2O$와 MeOH 추출물 모두 제주산과 중국산 비자 보다 2배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산 비자보다 한국산 비자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라디칼$ONOO^-$ 소거 활성 효과에서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한국산 비자 $H_2O$와 MeOH 추출물이 아주 좋은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ONOO^-$ 소거 활성에서 한국산 MeOH 추출물 모두 대조구인 $\text\tiny{L}$-penicillamine 보다 좋은 강력한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C-MS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동정한 결과, 한국산 비자에서는 총 8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중국산 비자에서는 총 5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모든 비자의 가장 높은 피크인 methyl linoleate와 methyl oleate의 피크 면적이 한국산과 중국산의 함량과 그 비율이 서로 반대임을 알 수 있었다. 동정된 화합물 중에서 7종의 성분을 정량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산과 중국산 모두 2-monopalmitin 함량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1,2-heptanediol과 dimethyl suberate는 중국산 비자에서만 검출되었고 제주산과 전남산 비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Dimethyl azelate는 중국산 비자에서 한국산 비자 보다 높게 검출되었고 제주산 비자에서는 소량, 전남산 비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산과 중국산 비자의 뚜렷한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비자가 산지별 그리고 용매별에 따라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자원으로 판단되며,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기능성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and Chinese Torreya seeds, thei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and ONOO-scavenging activities were compared using their water and methanol extracts. The effe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quantitativel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O와 MeOH 추출물을 사용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그리고 ONOO−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GCMS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동정하였고 그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비자가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기능성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자나무는 무엇인가? 비자나무(Torreya nucifera)는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일본에 자생하는 주목과(Taxaceae)의 상록교목으로 비자나무의 성숙된 종자에서 종피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을 비자(비자나무의 익은 열매)라 하며, 식욕 증진, 소화 촉진, 변비 및 치질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며 구충제로 이용되어 왔다(Ha, 2008; Xiao과 Dang, 2014). T.
비자나무의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에서 어떤 효능이 보고 되었는가? T. nucifera의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 항증식, 항염증, 간 보호와 신경 보호 효과에 대해 보고되어져 있다(Chen 등, 2010; Jeon 등, 2009; Oh 등, 2013). 중의학에서 생약재로 사용되는 비자(Torreya grandis)는 우리나라의 비자와 동일한 속에 속하는 식물이나 서로 다른 종이다(Lee, 1993).
비자는 중의학에서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가? nucifera의 약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 항증식, 항염증, 간 보호와 신경 보호 효과에 대해 보고되어져 있다(Chen 등, 2010; Jeon 등, 2009; Oh 등, 2013). 중의학에서 생약재로 사용되는 비자(Torreya grandis)는 우리나라의 비자와 동일한 속에 속하는 식물이나 서로 다른 종이다(Lee, 1993). 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45. pp. 21-2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005) 

  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2 (1958) 

  3. Chen ZL, Chen Z, Hou L, Xu Z, Zheng H. The preventive effect of the oil from the seed of Torreya grandis cv. merrillii on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ts. Zhong Yao Cai. 23: 551-553 (2000) 

  4. Chen BQ, Cui XY, Zhao X, Zhang YH, Piao HS, Kim JH, Lee BC, Pyo HB, Yun YP. Antioxidative and acu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orreya grandis. Fitoterapia 77: 262-267 (2006) 

  5. Chen SP, Dong M, Kita K, Shi QW, Cong B, Guo WZ, Sugaya S, Sugita K, Suzuki N. Anti-proliferative and apoptosis-inducible activity of labdane and abietane diterpenoids from the pulp of Torreya nucifera in HeLa cells. Mol. Med. Rep. 3: 673-678 (2010) 

  6. Choi JS, Chung HY, Kang SS, Jung MJ, Kim JW, No JK, Jung HA.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s scavengers of peroxynitrite. Phytother. Res. 16: 232-235 (2002) 

  7. Choi JH, Lee EY, Kim JS, Choi GB, Jung SG, Ham YS, Seo DC, Heo JS.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cultivars and parts of Ulsan pea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43-48 (2006) 

  8. Choi SJ, Lee YS, Kim JK, Lim S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2010) 

  9. Ha JY. The review and all the problem to solve on the Naeuiwonjabon: A preceding study on the Dongeuibogam. Uisahak 17: 23- 36 (2008) 

  10. Hasegawa U, Moriyama M, Uyama H, Vlies AJ. Catechol-bearing block copolymer micelle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Polymer 66: 1-7 (2015) 

  11. He Z, Zhu H, Li W, Zeng M, Wu S, Chen S, Qin F, Chen J. Chemical components of cold pressed kernel oils from different Torreya grandis cultivars. Food Chem. 209: 196-202 (2016) 

  12. Jeon HS, Lee YS, Kim NW. The antioxdative activities of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 (2009) 

  13. Kooy NW, Royall JA, Ischiropoulos H, Beckman JS. Peroxynitrite 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 123. Free Radical. Bio. Med. 16: 149-156 (1994) 

  14. Lee JJ, Lee HJ. Comparisons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Crataegi Fructrus. Korean J. Food Preserv. 19: 569-576 (2012) 

  15. Lee YG. Illustrated flora of Korea. 5th ed. p. 56. Hyangmoonsa, Seoul, Korea (1993) 

  16. Lim DK, Choi U, Shin DH.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3-89 (1996) 

  17. Lin KT, Xue JY, Sun FF, Wong PY. Reactive oxygen species participate in peroxynitrite-induced apoptosis in HL-60 cells. Biochem. Bioph. Res. Co. 230: 115-119 (1997) 

  18.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19. Oh J, Rho HS, Yang Y, Yoon JY, Lee J, Hong YD, Kim HC, Choi SS, Kim TW, Shin SS, Cho JY.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is a direct target of the anti-inflammatory compound amentoflavone derived from Torreya nucifera. Mediat. Inflamm. 2013: 761506 (2013) 

  20. Seres AB, Ducza E, Bathori M, Hunyadi A, Beni Z, Dekany M, Hajagos-Toth J, Verli J, Gaspar R. Androgenic effect of honeybee drone milk in castrated rats: Roles of methyl palmitate and methyl oleate. J. Ethnopharmacol. 153: 446-453 (2014) 

  21. Sharawy MH, El-Agamy DS, Shalaby AA, Ammar EM. Protective effects of methyl palmitate against silica-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rats. Int. Immunopharmacol. 16: 191-198 (2013) 

  22. Shi H, Wang H, Wang M, Li X. Antioxidant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orreya grandis cv. Merrillii seed. Nat. Prod. Commun. 4: 1565-1570 (2009) 

  23. Villano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ia-Parrilla MC.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71: 230-235 (2007) 

  24. Virag L, Szabo E, Gergely P, Szabo C. Peroxynitrite induced cytotoxicity: mechanism and opportunities for intervention. Toxicol. Lett. 140-141: 113-124 (2003) 

  25. Xiao Y, Dang Z. Research on the citation of herbal in Dongeui-bogam. Zhonghua Yi Shi Za Zhi 44: 227-231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