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에 따른 고구마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품질 특성
Acrylamid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chips using different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3, 2018년, pp.308 - 315  

노준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  이채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  황몽요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  이주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  남상식 (바이오에너지 작물연구소)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자칩을 대신할 고구마칩용으로 적합한 품종을 선별하기 위해 고구마 육색이 크림색인 신율미와 신천미, 주황색인 주황미와 신황미, 자색인 연자미와 신자미 및 새롭게 육종한 대유미, 다호미, 건황미, 풍원미로 고구마 칩을 제조하여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구마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연자미(1.07 mg/kg)을 제외하고는 0.48 mg/kg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p<0.05). 색도는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생고구마와 거의 유사하였다. 고구마 칩의 기계적 텍스처 특성치인 경도는 주황미가 482.7 g, 신황미가 490.2 g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대유미는 1332.1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깨짐과 부서짐성에서도 주황미와 신황미가 가장 낮은 값 대유미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관능평가 결과 칩의 품질은 경도, 부서짐성과 바삭함 뿐만 아니라 맛과 향미에도 영향을 받았다. 풍원미 칩 품질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건황미와 다호미 순이었다(p<0.05). 위의 결과로부터 고구마 칩 제조에는 주황색의 풍원미, 건황미, 다호미가 적합한 품종으로 확인되었고, 자색은 신자미, 크림색은 대유미가 칩의 용도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고구마칩의 품질이나 산화안정성도 주황미와 신황미가 가장 낮아 칩과 같은 튀김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lect suitable cultivars to produce sweet potato (SP) chips instead of potato chips, ten Korean cultivars, Sinjami, Yeunjami, Sinhwangmi, Juhwangmi, Sincheonmi, Sinyulmi, Gunhwangmi, Dahomi, Daeyumi, and Pungwonmi were used. The acrylamide conten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on sta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감자 칩은 텍스처와 색이 가장 중요한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특히 텍스처는 경도가 유지되며 바삭거림을 갖는 특징이 있다(Segnini 등, 1999). 감자 칩 대체용 고구마 칩을 제조하기 위해 수확 직후 고구마를 이용한 칩의 관능평가를 관능적 특성의 차이 검사와 선호도 검사로 시행하였다. 차이검사에서 고구마 칩의 관능적 특성은 조사 항목 모두에서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
  • 감자칩을 대신할 고구마칩용으로 적합한 품종을 선별하기 위해 고구마 육색이 크림색인 신율미와 신천미, 주황색인 주황미와 신황미, 자색인 연자미와 신자미 및 새롭게 육종한 대유미, 다호미, 건황미, 풍원미로 고구마 칩을 제조하여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구마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연자미(1.
  • 고구마 칩은 텍스처 특성치 중 경도(hardness), 부서짐성(brittleness)과 깨짐성(fracturability)을 텍스처분석기(TA-XT plus, Stable Micro Systems Ltd., Surrey,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인 고구마 칩은 1회의 압착시험으로 실린더 모양의 프로브(Φ30 mm)를 이용하여 변형은 60%, 예비측정, 측정 후 속도는 모두 1.
  • 관능평가원은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15명을 선정하였고 고구마 칩의 관능평가 방법과 용어를 설명한 후, 2회 반복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고구마 칩의 관능평가는 9점 척도법으로 차이조사와 선호도 조사로 실시하였고, 차이조사는 1점이 가장 약하고 9점이 가장 강한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색, 향미, 단맛, 고소한 맛, 경도, 부서짐성, 깨짐성을 평가하였다. 선호도 조사는 1점이 가장 나쁘고 9점이 가장 좋은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외관, 냄새, 맛, 텍스처, 전반적인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 고구마 칩의 제조를 위해 고구마를 수세하여 껍질을 벗기고 색이 변색되지 않게 슬라이스 하기 직전까지 찬물에 담가 두었고, 슬라이서를 사용하여 1.37 mm 두께로 일정하게 고구마를 절단하였다. 대두유 1,000 g을 가열하여 160°C로 맞춘 후, 슬라이스 된 고구마 200 g을 한번에 넣고 2분간 튀겨 고구마 칩을 제조하였다.
  • 고구마 칩의 산가와 과산화물값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고한 식품공전(MFDS, 2017)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고구마칩을 상온의 항온기에 5일간 보관하여 0일과 5일의 산화도 측정하였다. 산가를 측정하기 위해 저장 중의 고구마 칩을 갈아 5g을 칭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에테르와 에탄올을 2:1의 비율로 100mL를 만들어 혼합하였다.
  • 과산화물값을 측정하기 위해 고구마 칩 시료를 갈아 5 g을 칭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었고, 아세트산과 클로로폼을 3:2로 총 25 mL을 넣어 유지를 녹였다. 포화 아이오딘산포타슘 용액 1 mL을 넣고 섞은 다음 어두운 곳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고구마 칩 추출액을 감압 여과하였다.
  • 고구마 품종 별로 제조한 고구마 칩의 관능평가를 위한 전남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IRB 승인 번호는 1040198-180112-HR-002-02이다. 관능평가원은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15명을 선정하였고 고구마 칩의 관능평가 방법과 용어를 설명한 후, 2회 반복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고구마 칩의 관능평가는 9점 척도법으로 차이조사와 선호도 조사로 실시하였고, 차이조사는 1점이 가장 약하고 9점이 가장 강한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색, 향미, 단맛, 고소한 맛, 경도, 부서짐성, 깨짐성을 평가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재배되는 고구마 중 10가지 품종을 선정하여 고구마 칩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과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저장 중의 텍스처와 산화안정성 변화를 비교하여 고구마 칩으로의 가공 적성을 비교하였다.
  • 대두유 1,000 g을 가열하여 160°C로 맞춘 후, 슬라이스 된 고구마 200 g을 한번에 넣고 2분간 튀겨 고구마 칩을 제조하였다.
  • 고구마 칩의 관능평가는 9점 척도법으로 차이조사와 선호도 조사로 실시하였고, 차이조사는 1점이 가장 약하고 9점이 가장 강한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색, 향미, 단맛, 고소한 맛, 경도, 부서짐성, 깨짐성을 평가하였다. 선호도 조사는 1점이 가장 나쁘고 9점이 가장 좋은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외관, 냄새, 맛, 텍스처, 전반적인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를 평가한 후에는 물로 입을 헹구어 평가한 시료가 다음 시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 선호도 조사는 1점이 가장 나쁘고 9점이 가장 좋은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외관, 냄새, 맛, 텍스처, 전반적인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를 평가한 후에는 물로 입을 헹구어 평가한 시료가 다음 시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시료는 무작위 3자리 숫자로 번호를 붙이고 흰 접시에 제시하였다.
  • 시료인 고구마 칩은 1회의 압착시험으로 실린더 모양의 프로브(Φ30 mm)를 이용하여 변형은 60%, 예비측정, 측정 후 속도는 모두 1.00 mm/sec의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 저장 기간 동안 고구마 칩의 외관 관찰은 제조된 고구마 칩을 백색의 용지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올린 후, 책상에서 20 cm 높이에서 카메라(E05, Can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저장 실험을 위해 고구마 칩을 25°C의 항온기(laboratory refrigerator, Dahan Labtech Co., Ltd., Namyangju, Korea)에서 5일간 저장하여 고구마 칩의 색과 산화안정성을 비교하였다.
  • 저장기간 중의 고구마 칩의 색도는 색도계(Spectra magicTMNX,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Hunter의 L (lightness) 값, a (+redness/-greenness) 값 및 b (+yellowness/-blueness) 값을 4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색차 값인 ΔE 값은 L=98.
  • 콩기름으로 160°C에서 2분간 유탕 처리한 고구마 칩은 1시간 동안 기름을 뺀 후 아크릴아마이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고구마 칩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측정 결과는 Table 1과 같았다.

대상 데이터

  • LC/MS/MS 분석을 위해 주입한 시료의 양은 10 μL, 유속은 0.2 mL/min, 칼럼은 Unisom UK C18 (2×150 mm, 3 μm)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30°C, 이동상은 0.1% 아세트산, 0.5% 메탄올이며, 이온원(ion source)은 ESI+aglient 제트흐름, 충돌 가스는 질소, 가스 온도는 350°C, 가스 흐름은 7 L/min, 모세관 전압은 4000 V였다.
  • 실험에 사용한 고구마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Muan, Korea)에서 2017년 10월에 수확된 것으로 큐어링 처리를 하기 전에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고구마는 육색이 자색인 신자미와 연자미, 주황색인 신황미와 주황미, 크림색인 신율미와 신천미와 최근 개발된 품종으로 건황미, 다호미, 대유미, 풍원미를 사용하였다.
  • 제조한 고구마 칩은 Fig. 1에서와 같이 튀긴 후에 모양이 평평하게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인 시험 결과의 유의성을 위해 시료 수를 10개 이상 사용하였다. 텍스처 분석기를 이용하여 고구마 칩의 경도(hardness), 부서짐성(brittleness)과 부서질 때까지 프로브가 이동한 거리인 깨짐성(fracturability)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았다.
  • 고구마는 육색이 자색인 신자미와 연자미, 주황색인 신황미와 주황미, 크림색인 신율미와 신천미와 최근 개발된 품종으로 건황미, 다호미, 대유미, 풍원미를 사용하였다. 튀김 기름은 콩기름(Samyang Corporation, Seongnam, Kore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1)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모든 실험의 결과는 SPSS 12.0K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ANOVA test를 통하여 통계처리하였고, Duncan’s multiple-range test로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고구마 칩의 산가와 과산화물값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고한 식품공전(MFDS, 2017)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고구마칩을 상온의 항온기에 5일간 보관하여 0일과 5일의 산화도 측정하였다.
  •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07년에 고시한 ‘식품 등 중 기준규격미설정 물질의 시험방법 제정’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MFDS, 200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마란? 고구마는(Ipomoea batatas)는 메꽃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작물 중의 하나로 환경영향을 적게 받아 재배가 용이하고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많은 경제성이 높은 작물이다(Park 등, 2011; Yoon 등, 2017). 고구마는 탄수화물 공급원인 작물이며, 쌀, 보리 등의 곡류와 함께 우리나라의 주요 식량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공 제품을 제조하는 데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측면에서 고구마가 감자를 대체할 수 있는 이유는? 햄버거나 샌드위치와 함께 먹는 프렌치프라이나 감자 칩은 고온에서 유탕 처리하여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이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Kim 등, 2004; Kim 등, 2009b; Lee 등, 2016; Mestdagh 등, 2008; Park 등, 2003; Tareke 등, 2002; Vinci 등, 2012). 감자와 달리 고구마는 같은 방법으로 가공하여도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가능성이 낮아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낮춘 가공 제품으로 고구마 칩이나 고구마프라이 등으로 감자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고구마는 튀겼을 때 물성이 감자와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새롭게 개발된 품종의 고구마로 고구마 칩이나 고구마 프라이 생산이 가능한지, 가장 적합한 품종은 무엇인지, 시판되는 감자 칩과 유사한 맛과 품질을 갖고 있는지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소비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마의 식품 외 용도는 무엇인가? 이들 고구마는 식용뿐 아니라 녹말 소재로 당면과 냉면을 제조하고, 과육은 페이스트와 분말 형태의 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증류주인 소주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바이오 에너지로 에탄올 생산, 함유된 베타아밀레이스 효소, 의약품 등의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Bae 등, 2012; Park 등, 2011). 고구마는 녹말 외에 식이섬유,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과 수지인 얄라핀도 함유하고 있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안토사이아닌, 카로테노이드 같은 색소 성분과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화합물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측면에서도 가치를 갖고 있다(Akpapunam과 Abiante, 1991; Lee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kpapunam MA, Abiante DA. Process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sweet potato chips. Plant Food Hum. Nutr. 41: 291-297 (1991) 

  2. Anese M, Suman M, Nicoli MC. Acrylamide removal from heated foods. Food Chem. 119: 791-794 (2010) 

  3. Bae JO, Lee KJ, Park JS, Choi DS. Preparation of sweet potato Doenjang using colored sweet potato. Korean J. Food Nutr. 25: 529-537 (2012) 

  4. Bagdonaite K, Derler K, Murkovic M. Determination of acrylamide during roasting of coffee. J. Agr. Food Chem. 56: 6081-6086 (2008) 

  5. Bechoff A, Dhuique-Mayer C, Dornier M, Tomlins KI, Boulanger R, Dufour D, Westby A. Relationship between the kinetics of ${\beta}$ -carotene degradation and formation of norisoprenoids in the storage of dried sweet potato chips. Food Chem. 121: 348-357 (2010) 

  6. Bechoff A, Westby A, Menya G, Tomlins KI. Effect of pretreatments for retaining total carotenoids in dried and stored orange-fleshed-sweet potato chips. J. Food Quality 34: 259-267 (2011) 

  7. Cheon SH, Hwang SJ, Eun JB.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ffed snacks (Ppeongtuigi) with purple sweet potato flours using different puff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8-33 (2012) 

  8. Hamlet CG, Sadd PA, Liang L.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s of free asparagine and saccharides present in commercial cereal flour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generation of acrylamide during cooking. J. Agr. Food Chem. 56: 6145-6153 (2008) 

  9. Han JM, Choi JH, Choi YS, Han DJ, Kim HY, Lee MA, Chung HK, Kim CJ. Effects of frying time and temperature on formation of acrylamide and sensory evaluation in French fr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71-475 (2009) 

  10. Jang GY, Li M, Lee SH, Woo KS, Sin HM, Kim HS.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selection of optimum species for sweet potato chips. Korean J. Food Nutr. 26: 565-572 (2013) 

  11. Klaunig JE. Acrylamide carcinogenicity. J. Agr. Food Chem. 56: 5984-5988 (2008) 

  12. Kim JM, Choi JH, Choi YS, Han DJ, Kim HY, Lee MA, Chung HK, Kim CJ. Effects of frying time and temperature on formation of acrylamide and sensory evaluation in French fr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71-475 (2009a) 

  13. Kim MK, Oh MH, Youn SH, Kim CT, Sung DE, Ham JS, Choi D, Oh S. Acrylamide concentration in domestic foods. J. Food Hyg. Safety 24: 238-246 (2009b) 

  14. Kim HY, Park JY, Kim CT, Chung SY, Sho YS, Lee JO, Oh S. Factors affecting acrylamide formation in French fr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57-862 (2004) 

  15. Lee JS, Ahn YS, Chung MN, Kim, HS, Jeong KH, Bang JK, Song YS. Shim HK, Han SK, Suh SJ. A new sweetpotato cultivar for use of bioethanol 'Daeyumi'. Korean J. Breed Sci. 42:674-678 (2010) 

  16. Lee HU, Chung MN, Lee JS, Song YS, Han SK, Kim JM, Ahn SH, Nam SS, Kim HS, Suh SJ, Park KG. A new sweetpotato variety 'Dahomi' for table use. Korean J. Breed Sci. 47: 324-329 (2015) 

  17. Lee J, Oh M, Chang YH, Lee Y, Jin YI, Chang DC, Kin SH, Jeong Y, Kim M. Reduction of acrylamide formation in potato chips fermented by Bacillus sp..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460-465 (2016) 

  18. Lee LS, Rhim JW, Kim SJ, Chung BC. Study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52-359 (1996) 

  19. Lolos M, Oreopoulou V, Tzia C. Oxidative stability of potato chips: effect of frying oil type, temperature and antioxidants. J. Sci. Food Agr. 79: 1524-1528 (1999) 

  20. Mestdagh F, Castelein P, Peteghem CV, Meulenaer BD. Importance of oil degradation components in the formation of acrylamide in fried foodstuffs. J. Agr. Food Chem. 56: 6141-6144 (2008)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Food Code,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1.jsp. Accessed Nov. 13 2017.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Official announcement of testing methods for food, etc materials without standard specifications http://www.mfds.go.kr/index.do?mid686&seq2110&cmdv. Accessed Dec. 11, 2007. 

  23. Mu TH, Tan SS, Xue YL. The amino acid composition, solubility and emulsifying properties of sweet potato protein. Food Chem. 112: 1002-1005 (2009) 

  24. Mucci LA, Wilson KM. Acrylamide intake through diet and human cancer. J. Agr. Food Chem. 56: 6013-6019 (2008) 

  25.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developing varieties. http://www.nics.go.kr/api/breed.do?m100000128&homepageSeCodenics. Accessed Dec. 20, 2017. 

  26. Oh HE, Hong J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fresh sweet potato. Korean J. Food Cook. Sci. 24: 501-510 (2008) 

  27. Palazoolu TK, Gokmen V. Reduction of acrylamide level in French fries by employing a temperature program during frying. J. Agr. Food Chem. 56: 6162-6166 (2008) 

  28. Park JY, Kim CT, Kim HY, Keum EH, Lee MS, Chung SY, Sho YS, Lee JO, Oh S.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foo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bnol. 36: 872-878 (2004) 

  29. Park JY, Kim HY, Lee JO, Chung SY, So YS, Kim CM, Oh S. Preliminary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heat-treated foo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48-751 (2003) 

  30. Park SJ, Kim JM, Kin JE, Jeong SH, Park KH, Shin M.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powders from eight Korean varieties. Korean J. Food Cook. Sci. 27: 19-29 (2011) 

  31. Ravli Y, Silva P, Moreira RG. Two-stage frying process for highquality sweet-potato chips. J. Food Eng. 118: 31-40 (2013) 

  32. Rhim JW, Lee JW.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s in purple- fleshed sweet potato pigment concentrates and a Japanese plum juice based beve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38-243 (2002) 

  33. Segnini S, Dejmek P, Oste R.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and sensory analysis of texture and color of potato chips. J. Texture Stud. 30: 677-690 (1999) 

  34. Tareke E, Rydberg P, Karlsson P, Eriksson S, Tornqvist. Analysis of acrylamide, a carcinogen formed in heated foodstuffs. J. Agr. Food Chem. 51: 4998-5006 (2002) 

  35. Vinci RM, Mestdagh F, Meulenaer BD. Acrylamide formation in fried potato products -Present and future, a critical review on mitigation strategies. Food Chem. 133: 1138-1154 (2012) 

  36. Yeo S, Yim S, Jin YI, Jin YI, Chang DC, Chang YH, Lee Y, Jeong Y, Kim M. Comparison of reduced acrylamide formation in chips fermented with different cultivar potatoes by Bacillus subti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744-750 (2017) 

  37. Yoon H, Jeong O, No J, Kim W, Shin M. Development of sweet potato shaped rice madeira cakes using sweet potato paste with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Food Cook Sci. 33: 78-86 (2017) 

  38. Zamora R, Hidalgo FJ. Contribution of lipid oxidation products to acrylamide formation in model systems. J. Agr. Food Chem. 56: 6075-6080 (2008) 

  39. Zyzak DV, Sanders RA, Stojanovic M, Tallmadge DH, Eberhart BL, Ewald DK, Gruber DC, Morsch TR, Strothers MA, Rizzi GP, Villagran MD. Acrylamide formation mechanism in heated foods. J. Agr. Food Chem. 51: 4782-478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