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엽분과 질석을 포함한 준불연 단열복합보드의 개발
Development of Semi-Incombustible Composite Insulating Board Containing Pine Leaf Powder and Vermiculit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3, 2018년, pp.27 - 34  

정창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유석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송엽분과 질석을 주 원료로 하여 건축용 및 선박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준불연 단열복합보드를 개발하고 불연성능, 준불연성능, 보드 전체의 열관류율을 평가하였다. 가연성 물질인 송엽분과 유연바인더의 비율에 따라 보드의 화재저항성능이 결정되었으며, 가연물질이 불포함된 보드의 경우 불연성능을 확보하였다. 송엽분 6%를 첨가한 보드는 준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송엽분이 포함되거나 가연성의 바인더가 첨가될 경우 준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래스울과 폴리우레탄 뿜칠을 단열층으로 하고 개발된 불연/준불연 보드를 이용하여 1차 마감한 복합벽체는 200 mm 두께에서 국내법규 상의 건축물 단열기준을 상회하여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mi-Incombustible Composite Insulation Board (SICIB) that can be applied to building construction and ships was developed. The SICIBs comprised of pine leaf powder, vermiculite. The incombustibility, semi-incombustibility, and U-factor of the developed SICIBs were measured. The incombustibility o...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참고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71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제시된 외벽의 열관류율 기준은 Table4와 같다. 단열재층과 개발 보드를 결합한 단열복합보드의 열관류율은 건축용 ‧ 선박용 모두 중부지역 공동주택의 벽체 열관류율 기준인 0.21 W/m2 K를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열관류율은 단일한 소재의 성질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복합적인 구성물의 단열 성능을 평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단일 보드를 조합하여, 건축용, 선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열복합보드 형태의 시험체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박용 보드 역시 건축용 보드의 성능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 또한, 알루미늄판 마감은 소재의 열전도율이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보호하는 마감보드의 성능을 준불연 이상으로 강화하는 것을 개발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LPG 탱크의 극저온과 외부의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재료의 수축/팽창에 저항할 수 있는 유연성 바탕보드를 개발, 마감보드와 폴리우레탄 단열재 사이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송엽분과 질석을 주 원료로 하여 건축용 및 선박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준불연 단열복합보드를 개발하고 각 요소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개발품 설계안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질석과 송엽분을 이용하여 건축물 외벽용 그리고 선박(LPG 탱크 단열) 용의 준불연성능을 가지는 단열 복합보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보드는 가연성 단열층과 준불연성능을 부여하는 마감층의 복합체로 구성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선박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단열복합보드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최종 마감보드의 준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정 송엽분 비율을 확인하여, 화재저항성능을 가진 단열복합보드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주요 연구결과로 제시될 수 있다.
  • 그러나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이기 때문에 가열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주변으로 열을 잘 전달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에 활용되던 시공방법 및 자재와는 차별된 준불연 단열복합보드(Semi-Incombustible Composite Insulation Board, SICIB)를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질석과 송엽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준불연 단열복합보드를 개발하여 건축 및 선박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에 활용되던 시공방법 및 자재와는 차별된 준불연 단열복합보드(Semi-Incombustible Composite Insulation Board, SICIB)를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질석과 송엽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준불연 단열복합보드를 개발하여 건축 및 선박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질석은 일반적으로 단열재로 사용되는 재료인데, 무기질 광석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불연성능을 갖고 있다.

가설 설정

  • 이에 따라 목재의 열전도율을 0.14 W/mK 내외로 가정하고 단열재 두께를 200 mm로 산정하였다.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상 중부지방 공동주택 외기직면의 단열재 요구 두께는 155 mm로, 실제 시험체의 제작 두께는 이보다 두꺼워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엽분이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유기단열재의 상단에 질석을주 원료로 한 보드를 적용할 경우, 알루미늄박에 비하여 열전도율은 낮으면서도 화재에 대한 저항성능을 확보한 보호층을 구성할 수 있다. 송엽분은 소나무의 잎을 채취 ‧ 분쇄하여 만든 것으로 가연성이지만 천연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 화학물질에 비해 연소 시 유독가스를 적게 배출한다. 또한, 송엽분은 건강에 유익한 피톤치드를 배출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실내측에 사용되었을 때 재실자에게 관능적, 건강상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다(5).
가연성 유기단열재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사건들의 공통적인 원인은 건축물과 선박의 보온에 사용되는 가연성 유기단열재이다. 이러한 유기단열재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며, 연소 시 유독성의 물질을 다량 배출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건축 및 선박 산업분야에서는 화재에 매우 취약한 유기단열재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종 유기단열재의 표면을 화재에 강한 소재로 코팅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우리나라는 가연성 마감재 사용 증가에 따른 화재로 인한 건축물의 취약성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건설산업에서는 가연성 마감재 사용 증가에 따른 화재로 인한 건축물의 취약성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2015년도에 6층 이상의 건물에 적용되는 외벽 마감에는 불연/준불연 마감재를 사용하도록 관련법규가 개정되었다(건축물의 피난 ‧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2015.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J. C. Lee, Y. C. Song, S. H. Lee, B. Y. Min and K. H. Kim, "The Fire Resistance of the Sprayed Fire Resistive Materials with Gypsum and Vermiculite aged in the Diffe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2, No. 8, pp. 109-116 (2006). 

  2. Y. S. Jang, "Vermiculit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ol. 22, No. 8, pp. 77-82 (2005). 

  3. H. C. Kang, "The Development of Acoustic Adsorption, Adiabatic Interior materials Using Vermiculite", Donga University (2002). 

  4. S. H. Yoo and C. H. Cheong, "Development of Vermiculite Board to Secu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Light-Frame Wood Structural Wal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1, pp. 40-45 (2018). 

  5. Y. K. Lee, J. S. Woo, S. R. Choi and E. S. Shin, "Comparison of Phytoncide (monoterpene) Concentration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Vol. 41, No. 4, pp. 241-248 (2015). 

  6. O. S. Kweon, Y. J. Yoo and H. Y. Kim, "The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 of Polyurethane" Proceedings of 2009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37-4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