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동주택에서의 화재경보음 전달
Fire Alarm Sound Transmission in Apartment Uni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3, 2018년, pp.67 - 75  

정정호 (방재시험연구원 화재환경시스템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동주택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 최소화 및 재실자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는 화재 발생 사실이 경보음을 통해 전체 세대로 전달되어야 한다. 공동주택의 경우 엘리베이터 실과 같은 공용공간에 경종이 설치되어 있으나, 세대내 공간으로 경보음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동주택에서의 주,야간 소음을 측정하여 공동주택 세대 내 소음 발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대내 공간으로의 경보음 전달 정도를 분석하였다. 엘리베이터 실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이 공동주택 내부로 전달되는 경우 방화문 및 방문의 차음성능으로 인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 레벨을 고려하면 공동주택 외부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을 청취하여 피난행동을 시작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동주택 거실의 월패드와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기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음향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기를 설치한 경우에서만 배경소음 + 15 dB 기준과 75 dB (A)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duce the number of casualties in the case of fire, an alarm sound needs to be delivered to the people who remain in the apartment unit. On the other hand, it was reported that the fire alarm sound generated in the elevator hall was not delivered sufficiently to the people staying in the apartm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59m2, 84m2, 157m2 넓이의 공동주택 세대를 대상으로 세대 외부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이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예측하여 심야시간에 세대내 거주자가 경보음 인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거실에 설치된 월패드 및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용 스피커를 설치한 경우의 경보음 전달 음압 레벨을 비교, 분석하였다.
  • 세대 내부의 건축음향 특성은 별도의 흡음 및 가구 등이 배치되지 않은 조건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내부 마감재 등에 의한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3가지 공동주택의 음향모델에 동일한 마감재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이 건설되고 있는 59 m2, 84 m2, 157 m2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세대 외부 엘리베이터 실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이 세대 내 각 공간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예측, 분석하였다. 세대 외부 공간의 경우 충분한 크기의 경보음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Case 2는 각 공동주택의 거실에 설치되는 월패드를 이용하여 경보음을 전달하는 경우에 대하여 NFPA 72의 75 dB(A) 기준을 만족하는 조건을 도출하여 예측한 결과이다. 경보음의 특성은 광대역 소음을 사용하여 거실의 월패드에서 발생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각 방에서도 75 dB(A)기준을 만족시키는 음원의 크기를 계산하여 설정하였다. 거실 월패드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 거실의 경보음 레벨은 83.
  • 경보음의 발생은 세대 외부 엘리베이터실에 설치된 소화전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택 내부 소음은 어디에 영향을 받는가 측정 대상 공동주택은 도로에서 약 50 m 떨어진 7층 세대였다. 공동주택 내부 소음은 외부 교통소음 등에 영향을 받는다.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 등의 경보 및 피난 경로 안내 시스템의 보완이 시급한 이유는? 2%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 화재 및 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야간 및 취침하고 있는 재실자에게 집중되어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 등의 경보 및 피난 경로 안내 시스템의 보완이 시급하다.
월패드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 문제점은? 월패드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113 dB크기의 광대역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 거실과 모든 방에서 75 dB(A) 기준과 배경소음 +15 dB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월패드에서 경보음을 크게 발생시키는 경우 거주자의 청력손실 및 고출력 스피커를 사용해야 하는 보완상항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고주파수 대역의 경보음은 세대안의 방문의 차음성능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공간별로 경보음 전달을 위한 스피커를 설치하여 활용하는 경우(Case 3), 80 dB ∼ 85 dB(거실) 크기의 광대역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 NFPA 72의 모든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ational Fire Agency, 2000-2010, Fire Statistical Yearbook. 

  2. P. Brennan, "Victims and Survivors in Fatal Residential Building Fires", In: Shields J, Editor. Human Behaviour in Fire-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Fire SERT Centre, University of Ulster, pp. 157-66 (1996). 

  3. D. Bruck, S. Reid, J. Kouzma and M. Ball,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Alarms in Waking Sleeping Children", In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Human Behaviour in Fire, Interscience Communications, Sept 2004, Belfast, Northern Ireland, London, pp. 279-290 (2004). 

  4. D. Bruck and P. Brennan, "Recognition of Fire Cues During Sleep", Proceeding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Human Behavior in Fire, London, Interscience Communications, pp. 241-252 (2001). 

  5. D. Withington, "The use of Directional Sound to Improve the Sagety of Auditory Warnings", XIVth Trienni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 44th Annual Meeting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San Diego-August 1st (2000). 

  6. J. K. Michael, "Human Awakening and Subsequent Identification of Fire-related Cues", Fire Technology, Vol. 20, No. 1, pp. 20 (1984). 

  7. A. Lee, J. Midgett and S. White, "A Review of the Residential Smoke Alarms"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Washington, D.C. (2004). 

  8. G. Proulx, C. Laroche, F. Jaspers and R. Lavallee, "Fire Alarm Signal Recognition", Internal Report No. 828, NRC-CNRC. 

  9. ISO 8201, 1987, Acoustics - Audible Emergency Evacuation Signal,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87). 

  10. M. M. Myles, May, "Analysis of Acoustic Signals Produced by Residential Fire Alarms", Proc. 83rd Meeting of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St. Louis (1979). 

  11. E. Nober. H. Peirce, A. Well, CC Johnson, and C. Flifton, "Waking Effectiveness of Household Smoke and Fire Detection Devices", Fire Safety Journal, Vol. 74, No. 4, pp. 86-91 (1981). 

  12. R. Harris, July 13-15, "The selection and specification of audible alarm signals", Pro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oise Control Engineering, Edinburgh, U.K., Noise Control Foundation, Poughkeepsie, NY, pp. 803-806 (1983). 

  13. R. W. Huey, D. S. Buckley, N. D. Lerner, "Audible Performance of Smoke Alarm Sound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8 pp. 61-69 (1996). 

  14. BS 5839 : Part 1 2002 :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 for Buildings. London, UK,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2002). 

  15. D. A. Robinson, "Sound Transmission Loss from Corridors to Rooms: Implications for Locating Fire Alarm Sounders", Fire Technology, Vol. 22, No. 2, pp. 122-135 (1986). 

  16. M. J. Lee, "An Improved Design for Audibility of Fire Alarm Sound in Residential Building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2012). 

  17. NFPA 72, National fire alarm code. Quincy, MA, US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