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rends of Library Development Plan by Using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2, 2018년, pp.85 - 108  

김동석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언론보도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시기별 동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를 통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 과정을 통해 정제된 단어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시행되는 동안 도서관 정책의 흐름이 외연적 성장에서 도서관 운영의 내실화 고도화의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도서관 시설 확충과 같은 특정 정책에 국한되어 언론보도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으로 대변되는 도서관 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비전을 모색하는데 활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media reports of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using big data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rends and implications by period. To do so, related data from 2009 to 2017 were collected from major domestic web portal sites. Words in the collected data were re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영석(2017)은 체르노프 페이스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운영 및 이용을 분석하였다. 광역자치단체별로 공공도서관 운영을 위해 투입하는 사서를 포함한 인력, 장서 예산 등에서 어떤 차이가 있고, 이러한 운영의 결과로 나타나는 주요 이용 현황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도서관통계 시스템을 통해 2015년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별 공공도서관 운영 및 이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체르노프 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시각화 하였다.
  • 덧붙여 시기별로 중복 사용된 주제어와 중복하여 사용되지 않은 주제어의 출현 빈도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두 시기 모두 중복 사용된 주제어의 출현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에, 중복 사용되지 않은 주제어의 출현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 이 후, 앞서 도출된 주제어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시기별로 도출된 주제어가 문장 혹은 전체 글의 맥락에서 어떤 역할과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어의 구조적 등위성이 시기별로 어떻게 형성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각 주제어간의 위치와 집단을 확인하여 나타나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 및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해 사회적 인식과 의미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주제어를 도출하고 이를 시기별로 비교하여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 정책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특징을 시기별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서관 정책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설계하고, 나아가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의 시기별 주요 주제어 도출 및 시기별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언론보도 동향을 파악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쟁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반응을 확인할 수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사회적으로 어떻게 의미화 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및 동시출현단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언론보도의 시기별 동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론보도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정하고 의미 구조를 도출하였다.
  • 이를 위해 언론보도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단어의 출현빈도를 분석하여 제1․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시기별로 주요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이 후, 앞서 도출된 주제어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시기별로 도출된 주제어가 문장 혹은 전체 글의 맥락에서 어떤 역할과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어의 구조적 등위성이 시기별로 어떻게 형성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 그동안 도서관 정책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이론적, 정책적 해석이나 정책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언론이 도서관발전종합계획으로 대변되는 도서관 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인식하고 이해하는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각 주제어의 영향력 또는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한 중심성을 도출하는데 있어 주제어 간의 연결 여부만 고려되었고, 이진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를 측정 하는데 국한되어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 정책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특징을 시기별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서관 정책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설계하고, 나아가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의 시기별 주요 주제어 도출 및 시기별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한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홍지숙, 오익근(2016)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K항공 데이터를 뉴스와 블로그, 카페를 통해 수집하여 항공사의 위기 상황 전․후에 나타난 대중들의 인식 변화와 항공사의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중요 사건에대한 대중의 의견을 바탕으로 항공사의 위기관리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항공사 이미지에 대한 대중 인식이 특정 사건 발생 후 이전 네트워크에서 나타난 텍스트의 군집과 차이를 보이며 사건을 중심으로 연관어들이 군집을 이루어 항공사 이미지 변화가 나타났다는 결론을 얻었다.
  • 이 후 수립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정보와 콘텐츠 창조를 통해 내면적 구조의 외연을 확장하고 국가의 경제·사회제도의 외형적 요소와 문화·지식정보의 내면적 요소를 균형 있게 발전시키기 위해 수립되었다. 특히 도서관 운영 체제 정비와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과제와 사업 발굴을 통해 도서관 내실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주제어 분석을 통한 의미연결망 및 구조적 등위성 관계에서도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양적 성장에 대한 주제어가 다수인 반면,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외연과 내면을 동시에 아우르는 주제어가 고르게 분포되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가 도서관 발전의 종합적인 방향을 제시하게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가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도서관 정책 수립을 통해 본격적으로 도서관 발전의 종합적인 방향을 제시하게 된 것은 2009년부터 시행된 도서관발전종합계획부터라 할 수 있다.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2006년 도서관법 개정과 2007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발족을 기반으로 수립되었고, 5년마다 수립되는 우리나라 최초의 법정계획이자 국가적 차원의 중장기 도서관 종합계획이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가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도서관 정책 수립을 통해 본격적으로 도서관 발전의 종합적인 방향을 제시하게 된 것은 2009년부터 시행된 도서관발전종합계획부터라 할 수 있다.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2006년 도서관법 개정과 2007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발족을 기반으로 수립되었고, 5년마다 수립되는 우리나라 최초의 법정계획이자 국가적 차원의 중장기 도서관 종합계획이다.
사회적 인식과 지지가 언론에 많은 영향을 받는 이유는? 이러한 사회적 인식과 지지는 언론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언론이 특정 이슈에 대해 어떻게 의제를 설정하느냐에 따라 이슈에 대한 이해와 판단, 이슈에 대한 사회의 수용 방향과 범위, 이슈의 사회적 의미화 경향이 달라진다(차민경 2015).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마무리되고, 도서관의 새로운 비전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서 지난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언론을 통해 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향후 수립될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효과적인 정책수행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ang, Keun Bok. 2002. A theory of policy analysis. Seoul: Daeyoung Co. 

  2. Kim, Young Seok. 2017.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Uses of 16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of Korea by Using the Chermoff Face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1): 271-287. 

  3. Kim, Yong Hak. 2007.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oul: Pakyoungsa. 

  4. Kim, Tae Gu, Nam Wook Cho, and Jung Sik Hong. 2014.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 Market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14(6): 93-107. 

  5. Kim, Jee Eun. 2017. Keyword and topic analysis 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using bid da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6. Kim, Jong Sun. 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shion Streaming Service Using Text Mining Analysis: Focused on Project An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1): 107-118. 

  7. Noh, Dong Jo. 2007. "A Study on Propriety Evaluation on Library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ith SMAR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165-179. 

  8.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8.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09-2013.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9.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4-2018.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10.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07. Preliminary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Seoul: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11. Park, Ja Hyun and Min Song.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12. Ahn, Hyo Sun. 2017. A study on the sentiment analysis in fashion design using big data: focused on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Ehwa University. 

  13. Yu, Ye Rim. 2017. Analysis of media coverage on 2015 revised curriculum policy using big data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4. Yu, Hoon. 2008. A theory on policy implementation. Seoul: Daeyoung Co. 

  15. Yoon, Hee Yoon. 2007. "Policy Issues and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31-54. 

  16. Lee, Man Soo. 2001. "A Study on National Library Policy in an Information Socie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1): 201-221. 

  17. Lee, Myoung Ok and Tae Woo Nam. 2004. "A Study on Public Library Policy of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125-132. 

  18. Lee, Eun Jee and Wan Jong Kim. 2014. "A Study on the Library Big Data Service Model: Focusing on Library Service Demand Analysis."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131-134. 

  19. Lee, Eun Jee and Wan Jong Kim. 2016. "A Study on Perceptions of Big Data Analysis Service in Libraries."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67-70. 

  20. Lee, Eun Jee, Wan Jong Kim, and Hye Sun Kim. 2015a. "Big Data Platform Implementation and Service Plans in Libraries: Focusing on Cases of Big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System in Libraries." Digital Library, 79: 3-14. 

  21. Lee, Eun Jee, Wan Jong Kim, and Hye Sun Kim. 2015b.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Library Services Based on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Services of Big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System in Libraries." Digital Library, 80: 17-40. 

  22. Lee, Jeong Mee. 2013. "Understanding Big Data and Utilizing its Analysis in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53-73. 

  23. Lee, Jae Whoan. 2008.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5-32. 

  24. Lee, Jae Whoan. 2012.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Academic Library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317-346. 

  25. Lee, Jae Whoan. 2016.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Public Library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1-46. 

  26. Cho, Seong Woo. 2011. Technology in the age of big data. Seoul: KT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27. Cha, Min Kyung. 2015.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Arts Management" in Newspaper Articles from 1990 to 2014." Journal of Cultural Policy, 29(2): 168-200. 

  28. Cha, Sung Jong. 2010.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09-2013)."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303-331. 

  29. Cha, Sung Jong. 2014. "An Analysis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First and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241-266. 

  30. Pyo, Soon Hee, Yun Hyung Kim, Hye Sun Kim, and Wan Jong Kim.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63-86.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3. 2012 Technology Impact Assessment: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and utilization.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32. Hong Yoon Mi and Seong Hee Kim. 2014. "A Study on Users' Behavior of Medical Library Website Using Big Data." Proceedings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197-205. 

  33. Hong, Ji Suk and Ick Keun Oh. 2016. "Image Difference of Airline Before and After an Incident Us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30(6): 119-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