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로그 기반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 분석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2, 2018년, pp.357 - 388  

김태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백지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그룹별특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로그는 국립세종도서관에 등록된 이용자 정보, 대출 정보, 서비스 이용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이용자 관련 정보로는 연령 정보 107,369건, 성별 정보 106,918건, 거주지 정보 106,838건이 활용되었다. 대출 관련 정보로는 대출 이용자 정보 536,083건, 대출 횟수 정보 6,509,369건이, 서비스 이용 정보로는 82,813건이 활용되었다. 이용자 그룹별특성 분석은 연령별, 성별, 거주지별 이용자 현황 분석 및 연도별, 월별, 요일별 대출 현황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용 현황 결과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FGI 및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립세종도서관 운영 시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데이터가 적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도서관 운영 시 발생한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the bigdata log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by user group and propose method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ibrary. The logs to be analyzed consist of user information, circulation information, service usage information regist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용자 그룹별특성 분석은 무엇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가? 대출 관련 정보로는 대출 이용자 정보 536,083건, 대출 횟수 정보 6,509,369건이, 서비스 이용 정보로는 82,813건이 활용되었다. 이용자 그룹별특성 분석은 연령별, 성별, 거주지별 이용자 현황 분석 및 연도별, 월별, 요일별 대출 현황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용 현황 결과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FGI 및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도 수행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이란? 제4차 산업혁명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초연결성과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정한 패턴을 파악하는 초지능성을 통해 새로운 융합 산업 출현이 초직되는 초융합, 이 세 가지로 대변되는 미래 핵심 산업으로 차세대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국립중앙도서관 2017b, 5). 이에 제4차 산업혁명의 토대가 되는 빅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도서관 분야에서도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도서관 정보 나루1)’, ‘도서관 빅데이터 사업2)’, ‘경기도 도서관 빅데이터3)’ 등 다양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립세종도서관의 시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립세종도서관의 내부 환경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도서관 규모 및 공간, 수용 인원, 예산, 장서 수, 이용 현황, 문화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내용은 <표 1>과 같다. 추가적으로 시설 현황 중 도서관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요 시설로는 서고 및 자료실(일반자료실, 어린이자료실, 정책자료실), 체험형동화구연실, 이야기방, 그림책나라, 세미나실, 멀티미디어 코너, 전시실, 식당 및 카페 등이 있다. 또한 국립세종도서관은 현재 총 833개(2018년 1월 5일 기준)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종류는 세종아카데미<움>, 독서문화프로그램, 특별프로그램, 체험형동화구연, 열린강좌, 마중물 부모강좌, 영화 상영, 가족프로그램으로 총 8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me Page. [cite 2018. 4. 20]. 

  2.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2015. Study of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Sejong: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3.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Home Page. [cite 2018. 4. 15]. 

  4.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7a. Business Planning Report in 2017.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5.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7b. A Study on the Future Strategy and Service Model of Librar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6. Kim, Sun-Ae. 2013. "A Study on the Collection Use of an Academic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Statistics of the A-Academic Library User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115-131. 

  7. Kim, Esther and Nam, Young Joon. 2015. "A User Study for the Collection Management of a Medical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Data of the A-Medic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3): 261-276. 

  8. Kim, Eunja and Toshiro, Minami. 2009. "Library's Space Organization Improvement Based on Patrons'Behavioral Research: At Gwacheon Public Library in Korea and Kyushu University Library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3): 395-415. 

  9. Kim, Tea-Seung and Kim, Eun-Ja. 2008. "A Study on the Space Design of Public library Based on User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11-328. 

  10. Data for Library Home Page. [cite 2018. 5. 14].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Summary report of 2017 Public Library Statistics Survey Result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2. Park, Soyeon, Cho, Kihun and Choi, Kirin. 2015.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Shopping Site Users: A Log Analysis of Popshoes, a Korean Shopping Search Eng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4): 289-305. 

  13. Park, Young-Ae and Lee, Jae Yun.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Small Library Collection Evaluation Utilizing Circulation Statistics and Interlibrary Loa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333-356. 

  14. Sejong City, Statistics of Sejong. [cite 2018. 4. 25]. 

  15. Yang, Ji-Ann. 2017. "A Study on Use Behaviors of Books through Circulation Data Analysis in an Academ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263-293. 

  16. Yoo, Kyeong-Jong and Park, Il-Jong. 2008. "A Study about the Use Survey by the Circulation Record Analysis of an Academic Library."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1): 109-129. 

  17. Yoon, Hee-Yoon and Chang, Durk Hyun. 2016. "A Pilot Study on a Strategic Development Plan for a National Branch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2): 197-213. 

  18. Lee, Sang-jun and Lee, Dong-hoon. 2015. "Real Time Predictive Analytic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using Bigdata-lo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5(6): 1399-1410. 

  19. Lee, Soo-Sang and Wei, Cheng-Guang. 2009. "A Study on the Search Behavior of Digital Library Users: Focus on the Network Analysis of Search Log Dat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139-158. 

  20. Choi, Doo-Won et al. 2018. "An Analysis of Library Culture Program Managementbased on Users' Participation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Sejo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1): 293-320. 

  21. Pyo, Soon Hee et al. 2015.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63-86. 

  22. Heo, Sun and Chung, Yeon Kyoung. 2014. "A Study on Public Libraries'User Behaviors Based upon Circulation Data in Gangseo and Yangcheo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187-207. 

  23. Hyeong, Eunyoung and Kim, Soojung. 2016. "A Study on Resource Organization in Infants & Young Children's Section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the Arrangement of Library Materials in J City's Municip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85-106. 

  24. eMFORCE Home Page. [cite 2018. 5. 10]. 

  25. Han, Hye-Jung, Joo, Soohyung and Wolfram, Dietmar. 2014. "Using Transaction Logs to Better Understand User Search Session Patterns in an Image-based Digital Library."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19-37. 

  26. 도서관법. 2016. 법률 제13960호. 

  27. 신행정수도후속대책을위한연기.공주지역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을위한특별법. 2018. 법률 제14948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