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Working at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2, 2018년, pp.109 - 126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도서관에서 공중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서는 감정노동의 종사자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종사자의 감정과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 간의 차이로 인하여 지각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구성하게 되어,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 등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와 감정노동과의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조직만족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수도권소재 33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238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된 설문내용은 SPSS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처리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brarians, who provide the public with library services at public libraries, are employees whose jobs are often require emotional labor. The emotional labor of librarians working at public libraries can result in stresses ca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ibrary's emotional requirements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와 감정노동과의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조직만족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공공 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이해증진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 그 중 235명의 설문 내용을 SPSS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처리하여 각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공공도서관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감정노동의 내면 행동적 측면에서만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감정노동의 표면 행동을 포함한 다른 관련 경영요인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계속해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공중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며,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등의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Nunnally(1978)가 제시한 측정 타당화 과정을 바탕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정화 절차를 실시하여 제거하였을 때 신뢰도가 상승하는 항목을 제거하였고, 제거되지 않은 측정항목들이 측정도구로서 어느 정도의 일관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밝혀내기 위해 내적 일관성을 측정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감정노동은 .
  •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와 감정노동과의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과 조직만족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 조직유효성이란 조직이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으며 효과 적인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조직구성원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생산성, 사기, 적합성, 제도화, 생산성, 성장성 등을 중심으로 측정되고 평가된다(정윤길, 이규만 2007; 최항석, 조찬식 2014; Davis 2002; Morris and Feldman 1996).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 유효성 중 심리적 성과 지표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지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직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에 대한 경영 또는 관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도서관 경영 요소들 간의 관계가 더욱 뚜렷해질 수 있도록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조직경영에서 감정노동 대한 이해 범위의 확장이란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은 정서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속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나 부(-)의 결과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의 개념은? 인류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 해 온 도서관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문화적 기관으로, 도서관의 개념은 전문적인 정보 유통의 기능을 수행하며 특정 개인이나 사회에 대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구란 당위성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며,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를 위한 유․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 종사자이다(조찬식, 조미아 2011).
Rafaeli and Sutton(1987; 1989)는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가 증가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Rafaeli and Sutton(1987; 1989)은 구성원들이 감정표현규범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면 자신의 내적 감정도 이와 동일하게 바뀌고 그에 따라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의도한 감정대로 유도할 수 있는 효능감을 가지게 되고 아울러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가 증가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감정노동 유형 중 자신의 실제 감정을 통제하려는 노력이나 바람직해 보이는 특정한 감정을 표현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나는 내면 행동을 하게 될 경우 표면 행동을 하게 될 때와는 달리 감정의 부조화가 발생하지 않아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감정노동의 표면 행동을 포함한 다른 관련 경영요인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계속해서 이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공공도서관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감정노동의 내면 행동적 측면에서만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감정노동의 표면 행동을 포함한 다른 관련 경영요인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계속해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른 지역이나 문화에서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때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가 증진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im, Min-Joo. 2006.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between Korea and U. S. A.: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and Their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5(1): 35-57. 

  2. Kim, Su-Jin and Soon-Ae Kang. 2018.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Level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Library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in Public Library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153-184. 

  3. Min, Sook Hee. 2014 "The Librarians Emotional Labor at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345-376. 

  4. Shin, Seon-Hui, Hyul-Ra Choi, and Seon-Myung Kim. 2016. "Impact on the Degree of Labor Turnover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otional Labo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375-387. 

  5. Sim, Hyo Jung. 2006 A Study on the Affecting Variabl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Librarians. Ph. D. diss. Sungkunkwan University. 

  6. Lee, Jong Soo. 2009. Dictionary of Administration. Seoul: Daeyoung. 

  7. Lee, Whan Jung. 2014.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Ph. D. diss. Hansung University.. 

  8. Jeong, Dong-Yeol and Chan-Sik Cho. 2016.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9. Jeong, Mu Goan, H. C. Lim, and H. S. Choi. 2008. "Study of Consequences of Employees' Emotional Labor in Call Centers."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9(2): 320-345. 

  10. Jung, Yun Gil and K. M. Lee.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ective Efficacy and Team Effectivenes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9(4): 1053-1073. 

  11. Cho, Chan-Sik and Mi-A Cho. 2011. Understanding and Analyses of the Public Library. Seoul: Educontents. 

  12. Cha, Hyun Ju.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anf Self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cademic Librarians. Ph. D. diss. Sungkunkwan University. 

  13. Chaiy, Seo Il. 1998. Research Methods in Social Science. Seoul: Hackhyunsa. 

  14. Choi, Hang Sok and C. S. Cho. 2014 "The Influence of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Staff's Job-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ional Industry Research, 37(4): 155-176. 

  15. Allen, N. J. and J. P. Meyer. 1996.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ur, 48(3): 252-276. 

  16. Ashkanasy, N. M., C. E. J. Hartel, and C. S. Daus. 2002. "Diversity and Emotion: The New Frontiers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8(3): 307-338. 

  17. Becker, T. E. 1992.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1): 232-244. 

  18. Bishop, J. W. and K. D. Scott. 2000. "Organizational and Team Commitment in a Team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 439-450. 

  19. Bowen, D. E., S. W. Gilliland, and R. Folger. 1999. "HRM and Service Fairness." Organizational Dynamics, 27(3): 7-23. 

  20. Brotheridge, C. M. and A. A. Grandey.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21. Brotheridge, C. M. and R. E. Lee, 1998. "On the Dimensionality of Emotional Labou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conference on Emotions in Organizational Life. San Diego. 

  22. Buchanan II, B.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 533-546. 

  23. Chu, K. H.-L. and S. K. Murrmann.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spitility Emotional Labor Scale." Tourism Management, 27: 1181-1191. 

  24. Curry, J. P., D. S. Wakefield, J. L. Price, and C. W. Mueller. 1986. "On the causal Ordering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9(4): 847-858. 

  25. Davies, S. A. 2002. Emotional labor in Academia: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New Measure. Ph.D. diss., Ohio State University. 

  26. Grandey, A. A.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27. Hochschild, A. R. 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4. 

  28.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 Johnston, Mark. W. and Creg W. Marshall. 2008. Churchill, Ford, Walker's Sales Force Management. New York: McGraw-Hill. 

  30. Julien, H. and S. K. Genuis. 2009. "Emotional Labour in Librarians' Instructional Work." Journal of Documentation, 65(6): 926-937. 

  31.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32. Matteson, M. L. and S. S. Miller. 2012. "A Study of Emotional Labor in Librarianship."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5(1): 54-62. 

  33. Meyer, J. P. and N. J. Allen. 1997.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CA: Sage. 

  34. Meyer, J. P., N. J. Allen, and Catherine A. Smith. 1993.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4): 538-551. 

  35. Morris, J. A. and D. C. Feldman.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3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37. Rafaeli Anot and Robert I. Sutton. 1987.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ul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23-37. 

  38. Rafaeli Anot and Robert. I. Sutton. 1989. "The Expression Emotion In Organizational Life."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1: 1-42. 

  39. Rutter, Derek and P. J. Fielding. 1988.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An Examination of British Prison Officers." Work and Stress, 2(4): 291-299. 

  40. Shuler, S. and N. Morgan. 2013. "Emotional Labor in the Academic Library: When Being Friendly Feels like Work." The Reference Librarian, 54(2): 118-133. 

  41. Stueart, R. D. and B. B. Moran. 1987. Library Management, Littleton, COLO: Libraries Un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