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서비스 현황 및 개선 방안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for domestic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2, 2018년, pp.199 - 224  

한희정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두효철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이영지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의 지혜와 재능의 집합체로서, 한 국가의 역사성과 예술적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한 국가의 정체성을 대변해주기 때문에 세대에 걸쳐 계승되어야 할 중요한 기록자원이다.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제도는 보존과 전승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으나 이제는 이에서 벗어나 무형의 문화원천에 문화다양성 및 문화산업을 위해 창조적으로 전승 및 활용하는 자원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무형문화유산의 지속적인 보존 및 전승을 위해서는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무형문화유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련 기관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기관에서 실제 기록정보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서비스의 운영 시 애로사항과 개선 요구사항 등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무형문화유산기관이 제공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문제점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 후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 collection of community wisdom and talents and it has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of the nation. And because it represents an identity of the country, it is an important records information resources that we must be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Korea'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제도는 무엇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는가?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제도는 보존과 전승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다. 이는 무형문화유산의 ‘원형’을 유지하고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가면서 역사성과 예술성을 확보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는 무형문화유산의 ‘원형’을 유지하고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가면서 역사성과 예술성을 확보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호’ 중심의 무형문화유산 제도는 무형문화유산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정부의 지원 없이는 발전하기 어려운 구조를 만들어냄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국민의 무관심, 사회적 수요의 부족 등으로 인한 무형문화유산 전승 단절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관심과 의식 수준을 제고하고 수요를 활성화하여 자생력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오정심 2015, 30).
무형문화유산이란 무엇인가?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의 지혜와 재능의 집합체로서, 한 국가의 역사성과 예술적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한 국가의 정체성을 대변해주기 때문에 세대에 걸쳐 계승되어야 할 중요한 기록자원이다.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제도는 보존과 전승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으나 이제는 이에서 벗어나 무형의 문화원천에 문화다양성 및 문화산업을 위해 창조적으로 전승 및 활용하는 자원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 Standard for the Public Records Service(v1.0). NAK 21:2015 (v1.0). 

  2. Kim, Yong-bum. 2009. "Cultural Use and Commerci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21: 209-225.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 2010. Understan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c. 

  4. Beak, Ju-Hyun and Soon-Hee Kim. 2010. "A Study on the Status of and Improvement Plan for Documentation of City?Provi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1): 77-97. 

  5.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c. 2010.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Trends and Challenges. Daeje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re for Asia and the Pacific. .. 

  6. Oh, Jung-Shim. 2015. "An Empirical Analysis on Citizens" Awareness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9): 29-36. 

  7. Lee, Yoon-Sun. 2009. "A Study on the Use of Contents of Local Cultural Heritage." The Korean Folklore, 49: 333-378. 

  8. Lee, Jae-Pil. 2010. "The Issue and Subject of Documen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umanities Contens, 19: 141-158. 

  9. Lee, Jae-Pil. 2017. "Status and Policy Issues of Archive in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Korean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2: 5-20. 

  10. Lee, Hee-Won and Soon-Hee Kim. 2009. "A study on Standard Developmen Archival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academic papers, 35-60. 

  11. Lim, Jae-Hae. 2007. "A New Understanding and Creative Handing Down of a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Korean Folklore, 45: 237-285. 

  12. Lim, Jae-Hae. 2009. "Og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sian Comparative Forlklore, 39: 439-491. 

  13. Jeonbuk Institute. 2013. A Public Funded Research on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Jeollabuk-do(province). 

  14. Jung, Soo-Jin. 2013.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udy East Asian Culture, 53: 91-116. 

  15.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2016. 3rd Edition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Science of evidence and memory. seongnam: Aseamunhwasa. 

  16. Korea Cultural Heritage Policy Institute. 2016. Study on Establishment of Basic Plan for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2017-2021). Seoul: Korea Cultural Heritage Policy Institute. 

  17. Han, Hui-Jeong. 2016a.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95-134, 

  18. Han, Hui-Jeong. 2016b.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Schema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rchives & Record Management. 

  19.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 [online]. [cited 2018.4.5]. . 

  20.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 [online]. [cited 2018.4.5]. . 

  21. 국립국악원. [online]. [cited 2018.4.5]. . 

  22. 국립극장 공연예술 디지털 아카이브. [online]. [cited 2018.4.5]. . 

  23. 국립극장. [online]. [cited 2018.4.5]. . 

  24. 국립무형유산원 라키비움 책마루. [online]. [cited 2018.4.2]. . 

  25.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online]. [cited 2018.4.2]. . 

  26. 국립무형유산원. [online]. [cited 2018.4.2]. . 

  27.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online]. [cited 2018.4.5]. . 

  28. 국립민속박물관. [online]. [cited 2018.4.5]. . 

  29.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꾸리에. [online]. [cited 2018.4.11]. . 

  30.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온라인전시관. [online]. [cited 2018.4.11]. . 

  31.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online]. [cited 2018.4.11]. . 

  32. 한국문화재재단 독서당. [online]. [cited 2018.4.2]. . 

  33. 한국문화재재단 한국문화의집. [online]. [cited 2018.4.2]. . 

  34. 한국문화재재단 한국의집. [online]. [cited 2018.4.2]. . 

  35. 한국문화재재단. [online]. [cited 2018.4.2]. . 

  36. '국립무형유산원 기록물 등의 생산, 수집 관리 및 기록관 운영에 관한 규정' 

  37. '국립무형유산원 행정규칙' 

  38. '무형문화재법' 

  39. '지식정보자원관리법'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