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패싯 기반 디렉토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
Improving the Access Service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cusing on Facet Directory Servic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4, 2019년, pp.217 - 234  

정미옥 (대구가톨릭대학교 기록대학원) ,  최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민간의 기록물을 관리·보존할 수 있게 하고 기록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정기록물 지정 및 국가기록원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첫째,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관한 정보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로 분산되어 있다. 둘째,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기록물에 관한 정보가 컬렉션 수준으로만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컬렉션 이하 수준의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지정기록물의 활용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대한 정보를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서 단일화하여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내용과 주제를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다각적인 주제와 내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국가지정기록물의 주제 디렉토리와 워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안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is designed to protect valuable civilian records from loss or damage. It also intends that government administrates important civilian records to raise public concerns civilian records and to foster archival culture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anganathan의 기본 패싯 범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국가지정기록물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의 철․건별 목록에서 용어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추출한 용어들은 중복데이터를 제거하고 불용어를 제외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1,432개의 용어가 도출되었다.
  • 이와같이 국가지정기록물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제도, 수집, 관리 측면에 대한 연구였으며 실제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기록물에 접근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수행하지 못한 국가지정기록물에 다양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현재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기록정보서비스는 국가지정기록물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도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못하여 국가지정기록물의 웹 기반 정보 서비스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지정기록물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국가기록원에서 이끌어나가는 국가지정기록물 기록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조사 분석된 결과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의 서비스는 컬렉션 단위의 제목에 기반하고 있어 이용자들이 기록물의 내용을 파악하여 접근하고 있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컬렉션 제목 수준의 기록물 접근을 개선하고자, 컬렉션 하위 요소인 철, 건 단위의 기록물을 대표하는 주제어와 컬렉션을 설명한 주제어를 기반으로 패싯 주제 디렉토리와 패싯별 주요어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여 이용자들이 좀더 구체적인 주제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서비스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패싯주제 디렉토리는 Ranganathan의 PMEST 범주를 바탕으로 ‘주제’, ‘매체유형’, ‘활동’, ‘장소․배경’,‘시대’ 등 총 5개로 정의하였다.
  • 이 연구는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웹페이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패싯 분류 체계를 적용하여 이용자에게 풍부한 접근점을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국가지정기록물의 철․건 수준까지 접근하여 국가지정기록물 목록을 수집하고 용어를 추출하여, 현행 컬렉션 단위의 국가지정기록물 정보제공 서비스 수준보다 한층 더 상세하고 직관적으로 기록물의 내용과 주제 파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가지정기록물의 활용을 도와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국가 지정기록물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를 확장하여 기록물의 원문을 제공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하며 원문을 디지털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 이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이 중심적으로 주도하는 국가지정기록물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서비스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국가지정기록물 소장처 12곳과 국가기록원을 대상으로 국가지정기록물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 국가지정기록물 제도상의 지정 기준과 지정 대상의 모호함,지정 후 기록물 관리와 수집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기록물 수집 범위를 기록물 생산 시기로 구체화하고, 민간기록물에 대한 등록 제도를실시하여 국가적 체제 하에 관리할 것을 제시했다. 그러나 구제적인 가치평가 기준이나 사후 관리 활용 측면에서의 논의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란 무엇인가?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민간의 기록물을 관리·보존할 수 있게 하고 기록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정기록물 지정 및 국가기록원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패싯주제 디렉토리는 PMEST 범주를 바탕으로 어떻게 정의되는가?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컬렉션 제목 수준의 기록물 접근을 개선하고자, 컬렉션 하위 요소인 철, 건 단위의 기록물을 대표하는 주제어와 컬렉션을 설명한 주제어를 기반으로 패싯 주제 디렉토리와 패싯별 주요어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여 이용자들이 좀더 구체적인 주제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서비스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패싯주제 디렉토리는 Ranganathan의 PMEST 범주를 바탕으로 ‘주제’, ‘매체유형’, ‘활동’, ‘장소․배경’,‘시대’ 등 총 5개로 정의하였다.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정기록물 지정 및 국가기록원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첫째,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관한 정보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로 분산되어 있다. 둘째,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기록물에 관한 정보가 컬렉션 수준으로만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컬렉션 이하 수준의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지정기록물의 활용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미향. 2007.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기록인, 1: 54-55. 

  2. Kim, Se Kyung. 2007. The Transition of Legislations on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in Korea. M.A. thesi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rchival Studies,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3. Nam, Kyoung-hee. 2008. Acquisitionand Management Strategy of Nationa lRecords Designation System.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4. Lee, Eon-yag. 2016. A Critical Review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The Cases of Foreig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5. Chung, Eun Kyung. 2007. The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M.A. thesi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rchiv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Jo, Hye-Min.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and Specialization. M.A. thesis. Wonkwang University 

  7. Choi, Jae Ho. 2015. A Study on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M.A.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8. 국가기록원 국가지정기록물 개요. [online]. [cited 2019.6.2]. . 

  9. 국가기록원 국가지정기록물 지정현황. [online]. [cited 2019.6.2]. . 

  10.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이하 국가지정기록물 콘텐츠. [online]. [cited 2019.6.2]. . 

  11.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이하 민간기록물 관련 코너. [online]. [cited 2019.6.2]. ; . 

  12. 국가기록원. 2007. 국가지정기록물 관리체계 구축 및 지정대상 조사용역 최종결과보고서. 대전: 국가기록원. 

  13. 국가지정기록물 웹페이지. [online]. [cited 2019.6.2]. . 

  14. 국가지정기록물 제3호 이승만 대통령 기록물 해설. [online]. [cited 2019.6.2]. . 

  15.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5709호). 

  16.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 (법률 제14613호). 

  1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79호). 

  1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7460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