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뇌성마비 환자에서의 장애인보조기구 지원현황
Current Situation of Assistive Devices and Appliances Provision for Persons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2, 2018년, pp.145 - 150  

김성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  전하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  신지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 재활의학연구소) ,  차준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  육태미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  김지용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재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assistive devices and appliances provision system for cerebral palsy patients registered with brain disability. Methods: From 2003 to 2013, we analyzed the records of cerebral palsy patients who had assistive devices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상황에서 뇌성마비 환자에서 장애인보조기구의 지원현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NHID를 이용하지 않고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HID를 바탕으로 소아기에 발생하는 중증의 신경발달질환 중 대표적인 질환인 뇌성마비 환자에게 지원된 장애인보조기구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보다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NHID를 바탕으로 지난 11년 간 뇌성마비 환자에게 지원된 장애인보조기구, 특별히 발목관절보조기와 짧은 다리 플라스틱보조기 및 휠체어 지원현황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연령 군에 따라 보조기구 지원패턴의 차이가 있었으며 영아 및 유아기, 학령 및 청소년기 환자에서는 기준 내구연한보다 짧은 기간 내에 보조기구를 재지원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뇌성마비는 신경발달질환 중 하나로 미성숙한 뇌의 비진행성 손상으로 인해 운동과 자세의 이상을 초래하며 이는 일생동안 영향을 미치게 된다[1]. 뇌성마비는 소아기에 진단되는데, 이후 성장과 발달을 거쳐 청소년기, 성인기로 이행되면서 연령에 따라 다양한 중증도의 근력약화, 보행장애, 관절구축, 척추측만증을 포함한 여러 근골격계 문제를 동반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능적인 퇴보가 발생할 수 있다[2].
뇌성마비 환자들이 사용하는 보조기구는 어떤법에 의하여 정의되어있는가? 국내에서는 현행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의거하여 ‘장애인보조 기구’를 장애인의 장애의 예방, 보완과 기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지, 보조기 및 그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사용하는 생활용품으로 정의하고 있다[5]. 여기에서 명시된 의지 및 보조기에는 척추 및 머리 보조기, 배보조기, 팔보조기, 다리보조기, 팔의지, 다리의지, 교정용신발 류 등이 있으며 개인 이동용 보조기구에는 수동휠체어와 전동휠체어가 포함되어 있다.
뇌성마비의 진단은 언제 이루어 지는가? 뇌성마비는 신경발달질환 중 하나로 미성숙한 뇌의 비진행성 손상으로 인해 운동과 자세의 이상을 초래하며 이는 일생동안 영향을 미치게 된다[1]. 뇌성마비는 소아기에 진단되는데, 이후 성장과 발달을 거쳐 청소년기, 성인기로 이행되면서 연령에 따라 다양한 중증도의 근력약화, 보행장애, 관절구축, 척추측만증을 포함한 여러 근골격계 문제를 동반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능적인 퇴보가 발생할 수 있다[2]. 이러한 문제는 뇌성마비 환자로 하여금 일상생활 수행의 어려움을 포함한 여러 측면에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알맞은 보조기구의 사용은 이러한 제약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Park MS, Kim SJ, Chung CY, Kwon DG, Choi IH, Lee KM. Prevalence and lifetime healthcare cost of cerebral palsy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2011;100(2-3):234-238. DOI: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10.09.010. 

  2. Gajdosik CG, Cicirello N. Secondary condition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cerebral palsy. Phys Occup Ther Pediatr 2001;21(4):49-68. DOI: https://doi.org/10.1300/j006v21n04_04. 

  3. Andersson C, Mattsson E. Adults with cerebral palsy: a survey describing problems, needs, and resourc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comotion. Dev Med Child Neurol 2001;43(2):76-82. DOI: https://doi.org/10.1111/j.1469-8749.2001.tb00719.x. 

  4. McGinley JL, Dobson F, Ganeshalingam R, Shore BJ, Rutz E, Graham HK. Single-event multilevel surger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Dev Med Child Neurol 2012;54(2):117-128. DOI: https://doi.org/10.1111/j.1469-8749.2011.04143.x. 

  5.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No. 14892 (Sep 19, 2017). 

  6. Enforcement Rul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 550 (Jan 2, 2018). 

  7. Associ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Act Programs. Assistive Technology Act of 1998 as amended 2004 [Internet]. Springfield (IL): Associ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Act Programs (ATAP) Office [cited 2018 Jan 2]. Available from: https://web.archive.org/web/20141017095950/http://ataporg.org/legislative.html. 

  8. Ministry of Children and Youth Services. Assistance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ternet]. Toronto (ON): Ministry of Children and Youth Services [cited 2018 Jan 2]. Available from: http://www.children.gov.on.ca/htdocs/English/specialneeds/disabilities.aspx. 

  9. Aboutorabi A, Arazpour M, Ahmadi Bani M, Saeedi H, Head JS. Efficacy of ankle foot orthoses types on walk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n Phys Rehabil Med 2017;60(6):393-402. DOI: https://doi.org/10.1016/j.rehab.2017.05.004. 

  10. Dalvand H, Dehghan L, Feizi A, Hosseini SA, Amirsalari S. The impacts of hinged and solid ankle-foot orthoses on standing and walking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Iran J Child Neurol 2013;7(4):12-19. 

  11. Bleyenheuft C, Caty G, Lejeune T, Detrembleur C. Assessment of the Chignon dynamic ankle-foot orthosis using instrumented gait analysis in hemiparetic adults. Ann Readapt Med Phys 2008;51(3):154-160. DOI: https://doi.org/10.1016/j.annrmp.2007.12.005. 

  12. Yim SY, Yang CY, Park JH, Kim MY, Shin YB, Kang EY, et al. Korean database of cerebral palsy: a report on characteristics of cerebral palsy in South Korea. Ann Rehabil Med 2017;41(4):638-649. DOI: https://doi.org/10.5535/arm.2017.41.4.63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