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영양지수를 활용한 동두천시 지역의 유아 및 부모의 식습관과 유아의 비만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ietary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Dongducheon Based on the Nutrition Quotient (NQ)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3, 2018년, pp.216 - 225  

김지명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송혜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안영지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the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NQ) and to further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Q and mini dietary assessment (MDA) of their par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355 children aged 3 to 5 years and thei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의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비만정도에 따른 유아의 영양지수와 부모의 식습관을 살펴보고, 유아의 비만유병률과 부모의 식습관 및 유아의 NQ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비만정도에 따른 유아의 영양지수와 부모의 식습관을 살펴보고, 유아의 비만유병률과 부모의 식습관 및 유아의 NQ와의 관련성을 파악해 보고자, 동두천시 어린이집의 만 3-5세 유아 355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의 비만정도에 따른 유아의 영양지수와 부모의 식습관을 살펴보고, 유아의 비만유병률과 부모의 식습관 및 유아의 NQ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비만의 원인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어린이의 비만율이 성인비만의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유아비만의 원인으로는 식품의 과다섭취와 활동량 부족, 잘못된 식습관, 심리적 요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인 요인과 더불어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영양지수는 어떤 지표인가요? 국내에서는 어린이의 식습관평가지표로서 2012년도에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된 어린이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8, 9]. NQ는 어린이의 영양 및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식사의 질 또는 식습관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8, 9]. 이후 NQ를 활용하여 어린이의 식생활과 영양상태를 평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유아기에 적절한 식사관리와 식습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유전적인 요인과 더불어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유아기에는 식욕감소, 식품기호도, 편식 등이 나타나는 식행동이 변화되며[3], 어릴 때 형성된 식습관은 잘 바뀌지 않으며, 성인 비만 및 생활습관질환으로까지 이어지게 되므로[4-6], 유아기 적절한 식사관리와 식습관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유아기에 습득하는 식습관 은 부모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며, 비만한 부모의 자녀의 경우 비만이 될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Obesity white paper.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2. de Onis M, Blossner M, Borghi E. Global prevalence and trends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preschool children. Am J Clin Nutr 2010; 92(5): 1257-1264. 

  3. Ku JO, Kim JH, Byun KW, Shon JM, Lee JW, Lee JH, Choi YS. Nutrition for lifecycle. Goyang: Powerbook; 2016. p. 188-195. 

  4. Bae JM, Kang MH. Age difference i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nutrition quotient scores of preschoolers and school children. J Nutr Health 2016; 49(6): 447-458. 

  5. Baker JL, Olsen LW, Sorensen TI. Childhood body mass index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adulthood. N Engl J Med 2007; 357(23): 2329-2337. 

  6. Dietz WH.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youth: childhood predictors of adult disease. Pediatrics 1998; 101(S2): 518-525. 

  7. Park HS, Yim KS, Cho SI. Parent-offspring relationship and familial aggregation of obesity-related phenotype and nutrition intake in adolescents family in urban area. J Korean Acad Fam Med 2003; 24(6): 532-540. 

  8.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et al.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9.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10. Yoo JS, Choi YS.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2013; 46(5): 427-439 

  11. Kim JR, Lim H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 Nutr Health 2015; 48(1): 58-70. 

  12. Boo MN, Cho SK, Park K.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J Nutr Health 2015; 48(4): 335-343. 

  13. Lim JY, Kim JH, Min SH, Lee MH, Lee MJ.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Korean J Food Cook Sci 2016; 32(1): 84-95. 

  14. Lee SJ, Kim YN.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40-446. 

  15. Kim JH, Jung YH.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Nowon-gu of Seoul by using nutrition quotient(NQ). Korean J Community Nutr 19(1): 1-11. 

  16. Choi Y, You Y, Go KA, Tserendejid Z, You HJ, Lee JE et al.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level of adherence to the Korean dietary action guides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3; 7(3): 207-215. 

  17. Lee JS, Kang MH, Kwak TK, Chung HR, Kwon SH, Kim HY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6; 49(5): 378-394. 

  18.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Growth chart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6th period 3rd year and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11th period [2015].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1. Jang HB, Park JY, Lee HJ, Kang JH, Park KH, Song J.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level, overweight, and eating habits with diet quality in Korean sixth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011; 44(5): 416-4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