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매점을 이용한 청소년 영양관리의 현황과 향후 개선 방안 : 매점 이용자 측면에 대한 질적 연구
Current Statu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of Nutrition Intervention using Healthy School Tuck Shops: the Teenage Perspectiv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3, 2018년, pp.226 - 233  

오수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ealth management of teenagers who use healthy school tuck shops to improve teenagers' eating habits while reducing and preventing obesity. Methods: A total of 29 students (16 middle school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건강 매점의 이용 여부에 따라서 관련원인과 이러한 원인들이 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추가 질문들을 통해서 건강매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매점에 대한 주변 인식과 홍보의 필요성에대한 질문에서도 대상자 관점에서의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무엇인지 도출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추가 질문들을 수행하였다.
  • 건강매점은 기존의 일반 매점과는 달리, 열량이 높은 가공식품 진열은 제한하고 과일 같은 건강식품을 진열·판매함으로써 청소년들에게 건강식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9].
  • 건강매점의 목적에 맞게 실제수요자인 학생이 건강매점을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측면에서의 건강 매점에 대한 개선점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매점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건강매점 이용의 현황 및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예를 들면, 건강매점에 대한 의견에서 “건강매점”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그 이유에 대한 답변을 통해 건강 매점의 인식, 장단점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 매점의 이용 여부에 따라서 관련원인과 이러한 원인들이 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추가 질문들을 통해서 건강매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매점에 대한 주변 인식과 홍보의 필요성에대한 질문에서도 대상자 관점에서의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무엇인지 도출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추가 질문들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매점을 이용해 청소년의 식습관을 개선하고 비만 감소 및 예방이라는 건강 증진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수요자를 대상으로 건강매점 시범사업의 현황을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건강매점을 이용하는 중·고생 29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결과, 건강매점 이용에 대한 현시점의 과제는 개인적 방해요인과 지속적인 관리의 부재로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매점의 시범사업 후 개선 방안에 대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색해 보았다.2012년 건강매점 과일 판매량을 기준으로 남녀 성비가 유사하게 참여 학교로 선정 후 각 학교별로 참여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인터뷰 방법으로는 각 영역별로 중심 질문을 하고 답변에 따라 질문을 확장해가며 점차 심도 있는 자료를 도출하고자하였다. 예를 들면, 건강매점에 대한 의견에서 “건강매점”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그 이유에 대한 답변을 통해 건강 매점의 인식, 장단점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 영양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장과 내적·정서적 성숙이 일어나는 시기로 다양하고 충분한 영양소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충분하고 적절한 영양관리가 중요하다[1]. 또한 청소년기의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므로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역시 중요하다[2].
청소년기의 식습관이 중요한 이유는?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장과 내적·정서적 성숙이 일어나는 시기로 다양하고 충분한 영양소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충분하고 적절한 영양관리가 중요하다[1]. 또한 청소년기의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므로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역시 중요하다[2].
청소년기 학생들이 건강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 학생들은 건강식품에 대해 알고 있지만, 건강식품을 구매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높았다[5]. 학생들의 낮은 건강식품 섭취 이유는 학교 안 매점이나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학원과 PC방 같은 시설 등의 매점에서 건강식품 판매가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건강식품이 맛이 없다는 인식과 건강식품의 높은 가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5]. 이러한 청소년기의 빈번한 패스트푸드 섭취와 다양하고 건강한 식품의 섭취 기회 감소는 영양 불균형의 가능성을 높인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eaver CM. Adolescence: The period of dramatic bone growth. Endocrine 2002; 17(1): 43-48. 

  2. Lake AA, Mathers JC, Rugg-Gunn AJ, Adamson AJ. Longitudinal change in food habits between adolescence (11-12 years) and adulthood (32-33 years): the ASH 30 Study. J Public Health 2006; 28(1): 10-16. 

  3. Son SJ, Kim HJ. A study on the purchasing practice of snacks in school zone and status of food safety education in adolescents. Inst Korea Educ 2009; 27(2): 113-133. 

  4. Park IJ, Park YW. Survey on intake of snacks and self-purchased snacks due to lack of sleep i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 2009; 24(3): 256-266. 

  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reating a healthy food environment, Healthy School Tuck Shop project [internet]. 2008 [cited 2014 Sept 1]. Available from: http://ebook.seoul.go.kr/Viewer/ZCN7BT86QYVK 

  6. Kim HR, Hwang NM, Sim JE, Kim EJN. Analysis on breast feeding and nutritional health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Apr. Report No. 2008-04. 

  7. Cho CM. Trend analysis associated dietary habit factors on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4; 21(1): 97-107. 

  8. Hawkes C, Smith TG, Jewell J, Wardle J, Hammond RA, Friel S et al. Smart food policies for obesity prevention. Lancet 2015; 385(9985): 2410-2421. 

  9. Nam KM, Kang MJ, Kim KR, Kim JY, Do MH, Lee SS. Effect of healthy school tuck shop on snack preference and food purchasing behavior in adolescents. Korean J Food Nutr 2014; 27(6): 1147-1155. 

  10. Shin GR.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ranslated version). 1st ed. original written by Strauss A, Corbin JM. Seoul: Hyunmoonsa; 2001. p. 91-110.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Education.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internet]. 2017 [cited 2017 Nov 7].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main.jsp.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Chungbuk: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13. Lee YJ, Lee SJ, Kim CG. Korean adolescents'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MI (Body Mass Index) and body shape perception-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J Digit Converg 2012; 10(3): 227-232. 

  14. Kim YJ, Suh YS, Chung YJ. Use of school tuck-shop and desire for healthy tuck-shop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snack frequency. Korean J Hum Ecol 2013; 22(5): 507-518. 

  15. Wechsler H, Devereaux RS, Davis M, Collins J. Using the school environme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y eating. Prev Med 2000; 31(2): S121-S137. 

  16. Cullen KW, Hartstein J, Reynolds KD, Vu M, Resnicow K, Greene N et al. Improving the school food environment: results from a pilot study in middle schools. J Am Diet Assoc 2007; 107(3): 484-489. 

  17. PEI Health Eating Alliance. The school healthy eating toolkit. Prince Edward Island: UPEI; 2005. p. 1-259. 

  18. Palliser Health Region Community Nutritionists. School nutrition handbook [internet]. 2005 [cited 2009 Jan 27]. Available from : http://www.palliserhealth.ca/assets/file. 

  19. Department of Health (DH).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DfES) [internet]. 2007 [cited 2014 Sept 1]. Available from: http://www.foodinschools.org. 

  20. NSW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NSW Department of Health, Catholic Education Commission, Association of Independent School. Fresh tastes school NSW healthy School Canteen Strategy. Sydeny: NSW Ministry of Health; 2006. 

  21. Health Promotion Board. The model school tuckshop programme [internet]. 2009 [cited 2017 Feb 28]. Available from: https://www.hpb.gov.sg/. 

  22. Department of Health (DH). The National Archives UK [internet]. 2008 [cited 2015 Oct 6]. Available from: https://www.gov.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