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상태와 청소년 영양지수를 이용한 영양상태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tion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5, 2020년, pp.361 - 373  

김인영 (공주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and eating habits in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453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o ascertain their stress levels, Nutrition Quotients for Korean Adolescents (NQ-A), and str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이들의 식습관 및 식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영양상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고,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한 청소년 영양지수[11]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식습관, 생활습관 및 청소년 영양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북 일부 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정도와 청소년 영양지수 및 스트레스 관련 식행동을 조사하여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식습관, 생활습관 및 청소년 영양지수 점수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고등학생시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식생활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북 일부 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정도와 청소년 영양지수 및 스트레스 관련 식행동을 조사하여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식습관, 생활습관 및 청소년 영양지수 점수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조사대상자의 연령대는 주로 18세로 핵가족유형이 많았으며 하루 평균 부모님과 대화시간은 10분-30분의 비율이 높았고,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짧았다. 본인 학업성적 만족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2. 총 스트레스 점수는 5점 만점에 여학생이 2.7점으로 남학생 2.4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01). 3. 남학생의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식사속도가 빨라지고, 남녀학생 모두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식사하는 양이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당기는 맛은 매운맛이라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4. 남녀학생 모두 스트레스 ‘하’, ‘중’, ‘상’군 순으로 청소년 영양지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 < 0.001). 5. 일반 특성을 보정한 스트레스 점수와 영양점수 점수 간에는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9, P <0.001).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서적 부분에서 많은 변화와 발달이 이루어지며 건강 관련 행위가 결정되는 중요한 발달시기이다. 청소년들의 적절한 영양상태와 건강한 식습관은 그 시기의 성장발달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었을 때의 건강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생활 양식과 식습관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들의 적절한 영양상태와 건강한 식습관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서적 부분에서 많은 변화와 발달이 이루어지며 건강 관련 행위가 결정되는 중요한 발달시기이다. 청소년들의 적절한 영양상태와 건강한 식습관은 그 시기의 성장발달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었을 때의 건강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생활 양식과 식습관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의 에너지 및 여러 영양소의 기준치는 생애주기 중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1] 이 시기에 영양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적절한 식사 섭취를 통하여 신체적 성장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을 도모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2015.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4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2018. KCDC, Osong, Korea; 2018. 

  3. Song JW, Jo HI.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8;25(8):103-129 

  4. Gu HJ.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on obesity in South Korea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9; 36(1):29-41. 

  5. Hong JH, Kim SY.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and stress level in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 2014; 43(3):459-470. 

  6. Park HS, Jung NH. A study on snack intake behavior by the stress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a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8; 30(4):141-164. 

  7. Doo SR, Lee YM, Park HR, Song KH. Relationship among life stress, dietary behaviors and high-fat snack intake in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7;22(4):289-297. 

  8. Lee MY, Choi EM, Chung WG, Son JH, Chang SJ.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J Dent Hyg Sci 2013; 13(4):440-448. 

  9. Kim KH, Cho HS. Snacking behaviors and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2014;29(5):373-379. 

  10. Min SH, Oh HS, Kim JH. Dietary behavior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ook Sci 2004; 19(2):158-169. 

  11. Kim HY, Lee JS, Hwang JY, Kwon SH, Chung HR, Kwak TK, Kang MH, Choi YS. Development of NQ-A,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J Nutr Health 2017; 50(2):142-157 

  12. Seo HH. The comparative study of eating habits by the stress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MS Thesis]. Nambu University; 2007. 

  13. Bae S M, K im B S. D evelopment a nd v alidity of daily s tress response inventory for adolescen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4; 11(1):19-32. 

  14.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 39(4):707-719. 

  15. Park JY. The comparative study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area [MS Thesis]. Gyeonggnam University; 2015. 

  16. Cortina JM. What is coefficient alpha? An examination of theory and applications. J Appl Psychol 1993; 78(1):98-104. 

  17. Yim KS. Effects of obesity,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dietary habits on the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Gyu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656-669. 

  18. Ji MG, Lee MR.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on stress, sugar intake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19; 9(4):118-129. 

  19. Rhie SG, Jun JS. Dietary and health behaviors and nutrition education environ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myeong,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5; 26(2):287-301. 

  20. Han MJ, Cho HA. The food habit and stress scor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000;16(1):84-90. 

  21. Jang SY.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MS Thesis]. Ulsan University; 2012. 

  22. Woo T, Lee HJ, Lee KA, Lee AM, Lee KH.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dietary perceptions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165-177. 

  23. Ahn GYR. The effect of stress experiences on abnormal eat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Str Res 2011;19(3):213-220. 

  24. Kim MR, Kim JD. A s tudy on diet behavior and phy sical health status among high school girls - with priority given to menstruation and digestive health. J Soc Cosmet Sci Korea 2012; 2(2):127-141. 

  25. Oh SY. The association of dietary life, nutrition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JKEIA 2016; 10(5):235-250. 

  26. Petrie TA, Greenleaf C, Reel J, Carter J.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predictors of disordered eating among female collegiate athletes. J Treatment & Prevention 2009; 17(4):302-321. 

  27. Kim HK, Kim JH.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Ulsan. Korean J Nutr 2009; 42(6): 536-546. 

  28. Park Y, Lee JY, Jeong E, Kim BH. A comparative analysis of eating habit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Gangwondo, Korea, according to atress level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5; 26(3):565-5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