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영 플러스 사이즈 제품 시장성 평가를 위한 소비자 수요조사
Consumer survey on the marketability of young plus-size clothes in the USA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3, 2018년, pp.313 - 326  

최미영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few years, companies have started moving into specific niches in plus-size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arketability of young plus-size clothes in the USA. Data were collected from female consumers aged from 20 to 39 who have experience of purchasing plus-siz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분 마켓으로 20~30대 미국 여성 소비자들을 위한 영 플러스 사이즈 마켓의 시장성 확인을 목적으로 이들의 비만 인지와 비만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비만태도와 행동에서 심리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쇼핑성향과 사이즈 선택행동 및 맞음새 평가와 현재 플러스 사이즈 마켓과 제품에 대한 태도를 밝힘으로써, 추후 미국의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기업들에게 영 플러스 사이즈 제품의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상품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상과 같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비만 여성의 중요한 욕구라는 사회적 인식변화는 점차 확산되고 있다. 또한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은 맞음새에 대한 불만사항을 개선하여 비만부위에 따른 신체적 결점을 보완하여 외모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플러스 사이즈 여성들은 자신들의 취향에 맞는 옷을 찾기 힘들고 스타일이나 색상도 다양하지 않아서 의복 욕구를 충족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비만 여성들이 옷을 구입하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Yu, Ko, & Kim, 2013).
  • 본 연구는 과거에 비해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수요변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인지적 심리적 부분을 밝히고자 하였다. 하지만 기본적인 수요조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선행연구에 근거한 변수들에 의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인과적으로 규명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 패션에 대한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젊은 플러스 사이즈 착용 소비자들이 최근 여성복 마켓의 새로운 구매력 집단으로 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세분 마켓으로 20~30대 미국 여성 소비자들을 위한 영 플러스 사이즈 마켓의 시장성 확인을 목적으로 이들의 비만 인지와 비만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비만태도와 행동에서 심리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쇼핑성향과 사이즈 선택행동 및 맞음새 평가와 현재 플러스 사이즈 마켓과 제품에 대한 태도를 밝힘으로써, 추후 미국의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기업들에게 영 플러스 사이즈 제품의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상품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영 플러스 사이즈 마켓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수요조사를 통해 비만 여성의 소비심리 및 패션소비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비만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 및 쇼핑성향과 패션 소비행동을 사이즈 선택행동과 맞음새에 대한 평가 및 플러스 사이즈 마켓 및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알아보았다.
  • 비만행동에 직접적인 상관도가 높은 비만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기에 앞서 객관적인 비만도와 응답자가 스스로 자신을 어느 정도로 비만을 지각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응답자의 평균 신장은 163.
  • 연구문제 4. 영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플러스 사이즈 마켓 및 플러스 사이즈 제품에 대한 평가를 알아본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신체적 비만 인지 현황과 비만 스트레스 지각이 체형과 신체적 비만 특징 중 어떤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비만 소비자들의 의복선택 행동이 체중에 의한 객관적 비만 지표가 아닌 다양한 체형과 같은 신체특징에 의해 야기되며, 심리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와 함께 20~30대 젊은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을 규명 하고, 적극적인 소비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이들의 다양한 소비행동 특징들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플러스 사이즈 의류 수요가 가장 높을 것 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영 플러스 사이즈 시장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신체적 비만 인지 현황과 비만 스트레스 지각이 체형과 신체적 비만 특징 중 어떤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비만 소비자들의 의복선택 행동이 체중에 의한 객관적 비만 지표가 아닌 다양한 체형과 같은 신체특징에 의해 야기되며, 심리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와 함께 20~30대 젊은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을 규명 하고, 적극적인 소비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이들의 다양한 소비행동 특징들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플러스 사이즈 의류 수요가 가장 높을 것 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영 플러스 사이즈 시장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4-1. 플러스 사이즈 마켓과 플러스 사이즈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패션계의 변화는? 패션에 대한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젊은 플러스 사이즈 착용 소비자들이 최근 여성복 마켓의 새로운 구매력 집단으로 부상하였다는 기사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의 증가와 함께 눈에 띄는 패션계의 변화는 플러스 사이즈 모델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이다(Syn & Lee, 2014). 플러스 사이즈 모델들의 활발한 활동은 마켓이 존재한다는 반증이며, 플러스 사이즈 착용 소비자들에게 비만 몸매도 아름답고 활동에 지장이 없다는 자신감을 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비만 소비자들에게 플러스 사이즈 모델이 끼치는 영향은?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의 증가와 함께 눈에 띄는 패션계의 변화는 플러스 사이즈 모델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이다(Syn & Lee, 2014). 플러스 사이즈 모델들의 활발한 활동은 마켓이 존재한다는 반증이며, 플러스 사이즈 착용 소비자들에게 비만 몸매도 아름답고 활동에 지장이 없다는 자신감을 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는 플러스 사이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생기고, 마른 체형 만이 패션을 추구할 수 있다는 고정관념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플러스 사이즈 패션이 증가하는 이유? 비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플러스 사이즈 패션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비만율은 확산추세에 있으며 날씬한 여성만을 미적 기준으로 간주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비만 체형의 여성도 패션 소비자로서 주목받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패션에 대한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젊은 플러스 사이즈 착용 소비자들이 최근 여성복 마켓의 새로운 구매력 집단으로 부상하였다는 기사도 자주 등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J. W. (2017, March 15). 美의 기준은 없다. 나이키 여성용 운동복 플러스 사이즈 최초 공개 [There is no standard of beauty. Nike women's sportswear plus size for the first time]. KOTRA, Retrieved December 15, 2017, from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57568 

  2. Choi, M. Y. (2016). A cross-cultural study of plussize consumer's perception of body, attitude of accepting obesity and clothing behaviors in Korea and the 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3), 75-92. doi:10.7233/jksc.2016.66.3.075 

  3. Choi, M. Y., & Lee, J. (2016).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obesity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clothing behavior related appearance by plus siz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4), 615-630. doi:10.5850/JKSCT.2016.40.4.615 

  4. Chung, I.-H. (2001). The study o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4), 629-638. 

  5. Fryar, C. D., Carroll, M. D., & Ogden, C. L. (2014, September).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United States, 1963-1965 through 2011-2012. Retrieved September 24, 2017, from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site: http://www.cdc.gov/nchs/data/hestat/obesity_child_11_12/obesity_child_11_12.pdf 

  6. Garg, P., Fan, K., & O'Rourke, J. S. (2013). American apparel: The plus-sized problem (Case #13-08). Notre Dame, IN: The Eugene D. Fanning Center for Business Communication, Mendoza College of Business, University of Notre Dame. doi:10.4135/9781526403032 

  7. Ha, H.-J. (2008). An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izing system and fitting on formal pants of the on-line shopping mall for plus-siz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1), 133-150. 

  8. Ha, H.-J. (2009). An analysis of the fitting of plussized women's formal jackets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2), 203-215. doi:10.29049/rjcc.2009.17.2.203 

  9. Ha, H.-J., & Kim, A.-R. (2003).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us-sized women, by ag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1), 153-164. 

  10. Jeon, Y. S., & Ahn, H. S. (2006). Influence of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weight management on obesity stress i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1(2), 13-26. 

  11. Kim, D. (2016, June 3). 美 여성의류업계, 플러스 사이즈 여성 주목 [US women's apparel industry, attention to plus size women]. KOTRA, Retrieved December 15, 2017, from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50361 

  12. King, E. B., Shapiro, J. R., Hebl, M. R., Singletary, S. L., & Turner, S. (2006). The stigma of obesity in customer service: A mechanism for remediation and bottom-line consequences of interpersonal discrimin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3), 579-593. doi:10.1037/0021-9010.91.3.579 

  13. Ko, S., Yu, H., & Kim, C. (2015). Comparing factors influencing fashion shopping service satisfaction of plus-size and regular-siz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1), 15-29. doi:10.5850/JKSCT.2015.39.1.15 

  14. Lee,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related stres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South Korean adolescent girl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0(6), 903-918. doi:10.2224/sbp.2012.40.6.903 

  15. Lee, J., & Lee, J. (2010).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preferred design of ready-made pants for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291-302. doi:10.5850/JKSCT.2010.34.2.291 

  16. Lee, S.-H. (2000). American large-sized and mainstream-sized women's shopping experiences in apparel retail stores.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1), 123-138. 

  17. Lim, S. H. (2012, September 22). 美 여성의류 틈새시장, 플러스 사이즈를 공략하라 [US women's apparel niche market, attack plus size]. KOTRA, Retrieved December, 15, 2017, from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16608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20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trieved November 11, 2015,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75/5959 

  19. Park, H.-H., & Ku, Y.-S. (2008).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fashion brand loyalty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shopping orientations, clothing attributes evaluation,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910-923. doi:10.29049/rjcc.2008.16.5.910 

  20. Riley, D. (2014, June 30). Sizing up the plus sized market: Segment up 5 percent, reaching $17.5 billion. The NPD Group, Inc., Retrieved December 20, 2017, from https://www.npd.com/wps/portal/npd/us/news/press-releases/sizing-up-the-plus-sized-market-segment-up-5-percent-reaching-17-billion 

  21. Ryu, J., Syn, H.-Y., Im, J., & Lee, I. (2016). The analysis of fashion styles from global plus-size woman's power blog: Focused on analysis of USA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5), 830-843. doi:10.5850/JKSCT.2016.40.5.830 

  22. Ryu, J.-Y., Syn, H.-Y., & Lee, I. (2014). A study on the comparing about young plus size fashion design application on plus size body types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Focusing on USA market.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3), 163-178. 

  23. Samsung Design Net. (2017, September 8). Plus size fashion. Retrieved December 20, 2017, from, http://www.samsungdesign.net/Fashion/Report/Content.asp?An40391 

  24. Sim, J.-H., & Park, S.-J. (2007). A study of the middle-aged women's clothing attitudes depending on their somato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33-43. doi: 10.5850/JKSCT.2007.31.1.033 

  25. Syn, H., & Lee, I. (2014). Study on development of body types by type of young plus size ladieswear to push into the American marke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4), 243-250. 

  26. Yoon, H. J., An, J. S., & Yoon, J. W. (2013). Characteristics of lower-body shapes in obese women for the improvement of fi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40-246. doi:10.5805/SFTI.2013.15.2.240 

  27. Yu, H., Ko, S., & Kim, C. (2013). Plus-size women and appearance management with a focus on clothing: Grounded theory based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306-319. doi:10.5850/JKSCT.2013.37.3.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