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GUI 가이드라인 제안
Proposal of GUI Guidelin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for New Silver Generation 원문보기

스마트미디어저널 = Smart media journal, v.7 no.2, 2018년, pp.60 - 70  

조성배 (청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이재익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고령 사회로의 진입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를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GUI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뉴실버세대는 일반적인 고령자들보다는 정보취득에 대한 거부감이 약하기는 하지만 40대 이하의 젊은 세대들과 정보습득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GUI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의료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실버세대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은 첫 번째, 문헌연구과 선행연구를 통해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분석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의현황을 파악하였고, 두 번째,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각 분야에서 선호되는 시각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고령자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GUI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도출된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휴리스틱(heuristic)방식을 통하여 57세부터 65세까지의 뉴실버세대 8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뉴실버세대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GUI가이드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동시에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the entrance to the aging society, the demand on health care services is being increased. However, there are still few GUI types of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silver generation progressively preparing for their golden(old) age. As the new-silver generation showe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GUI가이드라인 개발의 연구 개요도이다.
  • 또한, 사용자들은 전문적인 용어를 이해하기가 어려워하였고 이에 보충적인 설명을 필요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해 기존의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혈당, 혈압, 체중, 운동등의 GUI를 분석하여 고령자에 맞는 GUI 가이드 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미래의료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실버세대의 건강한 삶에 대한 요구에 따라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평가 가이드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해 기존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활동, 당뇨, 체중 등의 GUI를 분석하여 뉴실버세대에 맞는 GUI 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GUI를 리서치 하여 뉴실버세대에 맞는 어플리케이션 GUI의 시청각정보 및 기능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뉴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GUI의 디자인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뉴실버세대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GUI평가 가이드 개발을 위해 57세부터 65세까지의 사용자 8명을 대상으로 휴리스틱 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뉴실버세대의 사용성의 문제는 고령층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특성에 따라 정보와 맥락을 어떻게 이해하는 지와 뉴실버세대가 이를 어떻게 조작하고 인지하는가 하는 방향으로 연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롭게 등장한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특성을 먼저 파악하고 기존의 헬스케어 모바일 UI디자인을 분석하여 고령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그래픽을 이용한 사용자의 대화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작정보를 시각화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뉴실버세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뉴실버세대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태어난 베이비붐(BabyBoom)세대(한국은 1955-1963년생)가 고령화 되면서 전통적인 노인의 상이 아닌 모습을 보이고 있는 세대를 일컫는 용어로 기존의 수동적이고 정적인 성향을 보이는 기존 노인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새로운 실버세대를 의미한다.[3]
Robert Istepanian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던 모바일 헬스케어의 정의는 무엇인가? 모바일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분야의 부상하는 모바일 통신과 네트워크 기술”이라고 Robert Istepanian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최진영 外, "헬스케어 3.0 : '건강수명' 시대의 도래," 삼성경제연구소, 3쪽, 2011년 

  2. 정의태, "고령자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헬스케어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12 

  3. 최서희, "뉴실버 세대를 위한 온디맨드 의료 서비스디자인 모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6 

  4. '준비돤 노년' 소비를 바꾸다(2010). http://www.fnnews.com/bigissue (accessed Aug., 24, 2017) 

  5. 강시내,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향상을 위한 UI디자인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2 

  6. 조한길, "고령자를 위한 차세대 스마트 홈 서비스 로드맵 제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12 

  7. The mHealth Summit: Local & Global Converge(2009). http://caroltorgan.com/mhealth-summit (accessed Mar., 12, 2018) 

  8. 이창무, 오승교, 최덕재, "활성산소 측정 데이터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U헬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4호, 52-58쪽, 2012년 12월 

  9. 모바일 헬스 기기 시장, 2023년 42조원...의료기가 소비자 제품 추월(2014). http://www.etnews.com/20140703000325 (accessed Mar., 10, 2018) 

  10. 모바일헬스케어의진화 'AI 주치의' 시대열린다(2017). http://www.fnnews.com/news/201705291945097106 (accessed Mar., 12, 2018) 

  11. 정의태, "고령자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헬스케어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12 

  12. 정의태, "고령자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헬스케어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12 

  13. 이성호, "제품디자인에서 미적표현형식으로서 움직임의 사례-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지각에 근거하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3권, 제3호, 36-45쪽, 2014년 9월 

  14. 김진우,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안그라픽스, 497-505쪽, 2005년 

  15. 이가영, "모바일 앱의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1호, 620-621쪽, 2014년 

  16. 편정민.신동은, "사용성 평가를 위한 모바일폰 GUI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디자인포럼, 제15권, 609쪽, 2007년 

  17. 이동수, "스마트 폰 GUI 디자인 연구,"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년 

  18. 오병근.강성중, "정보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497-505쪽, 2008년 

  19. 정승은.석중휘, "사용성과 관련된 UI 디자인 원칙 구현을 위한 그래픽 디자인 방법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포럼, 제37권, 167쪽, 2013년 

  20. 김수현, "사용성 향상을 위한 그래픽유저 인터페이스(GUI)디자인에 관한 연구:대학병원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7. 

  21. 조뢰.김희현, "모바일 캐주얼 게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364쪽, 2013년 10월 

  22. mHIMSS App Usability Work Group, "Selecting a Mobile App: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edical Applications," HIMSS, pp. 5-6, Jul.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