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자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차이
Differences on Satisfac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s by Smartphone Users'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410 - 419  

심훈 ((재)원주의료기기케크노밸리 전략기획실) ,  김유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박미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및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인지도, 정보품질, 용이성 측면에서의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이 있는 19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에 따라, 스마트폰 및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 특성 중 스마트폰 운영체계, 스마트폰 사용기간, 설치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 및 주요 정보 출처, 사용 빈도와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따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효과적 확산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배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를 확인하고 이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개발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용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awareness, information quality, and availability in healthcare applications according to smartphone user's characteristic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7th and September 21st 2014 on the 193 people who had used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및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특성과 만족도를 분석하고, 사용자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만족도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강관리 컨텐츠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와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한 질적인 개발 전략이 도움이 되리라 본다.
  • 이렇듯 치열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이용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경험자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여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배포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및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특성 및 만족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사용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서,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015), 그 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보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용이성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F=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행동추적, 신체 정보 모니터링, 다이어트와 체중감량, 운동법 제공, 의료/건강 정보 및 캠페인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의료부분에서 의료 관계자용, 환자용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3], 사용자들은 정보 제공형, 건강정보 기록형, 웨어러블 기기 연동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다[4,5].
헬스케어 애플리케션의 활용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헬스케어 애플리케션의 활용성이 낮은 이유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이 개발되어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사용 방법이 쉽지 않고 건강관리를 지속하게 하는 강한 동기 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건강에 긍정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입장에서는 치열한 모바일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근거가 부족해서라고 볼 수 있다[3].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건강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3년 3월말 10만개 이상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3], 이용 측면에서도 2013년 12월에서 2014년 6월까지 6개월간 Apple의 앱스토어에서 전체 애플리케이션 이용률은 33% 증가한 반면 헬스와 피트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은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6],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와 이용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대부분 피트니스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진단이나 치료, 경과관리 등과 관련된 의학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부족한 상황으로 나타나[7],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이 건강관리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추측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 Kim,"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Vol.12, No.9, pp. 369-379, 2012.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9.369 

  2. Y. H. Choi, H. R. Jung,"Future smart mobile world attention to health care views", e-KIET Industrial Economic Information, Vol.609, pp. 1-12, 2015. 

  3. S. H. Lee, S. S. Yoo,"The status and outlook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ICT & Media Policy, Vol.26, No.7, pp. 1-23, 2014. 

  4. H. Shim, J. H. Lee, S. O. Hwang, H. R. Yoon, Y. R. Yoon,"Development of heart rate monitoring for mobile telemedicine using smartphon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pp. 1116-1119, 2009. DOI: http://dx.doi.org/10.1007/978-3-540-92841-6_274 

  5. H. Shim, H. M. Kim, S. H. Song, J. H. Lee, H. R. Yoon, Y. R. Yoon,"Personalized healthcare comment service for hypertension patients using mobile device", 30th Annual International IEEE EMBS Conference, pp. 1521-1524, 2008. DOI: http://dx.doi.org/10.1109/IEMBS.2008.4649458 

  6. S. Khalaf. Flurry Insights [Internet]. Health and fitness apps finally take off, fueled by fitness fanatics [cited 2014 June 19], Available From: http://flurrymobile.tumblr.com/post/115192181465/health--and-fitness-apps-finally-take-off-fueled (accessed Feb., 2, 2015) 

  7. D. Ledger, D. McCaffrey. Inside wearables: How the science of human behavior change offers the secret to long-term engagement. pp. 1-17, Endeavour Partners, 2014. 

  8. Y. S. Yang, C. H. Shin,"Effects of mobile phone user interface technology and social factors on new UI acceptance in consumer use pattern: from the TAM perspective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18, No.2, pp. 1-20, 2011. 

  9. T. Y. Kim, D. H. Shin,"The usage and the gratifications about smartphone models and applications", Korean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Vol.20, No.4, pp. 105-130, 2013. 

  10. J. H. Cho,"The investigation of factors of determining continuous use of health apps on smartphones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18, No.1, pp. 212-241, 2014. 

  11. M. Y. Kim, Y. H. Kang, D. Y. Jung, G. J. Lee,"Older adults' smart phone use and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14, No.1, pp. 13-22, 2013. 

  12. L. Dennison, L. Morrison, G. Conway, L. Yardle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smartphone applications in supporting health behavior change: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5, No.4, e86, 2013. DOI: http://dx.doi.org/10.2196/jmir.2583 

  13. D. Mann, L. Riddell, K. Lim, L. K. Byrne, C. Nowson, et al.,"Mobile phone app aimed at improving iron intake and bioavailability in premenopausal women: A qualitative evaluation", JMIR mHealth uHealth, Vol.3, No.3, e92, 2015. DOI: http://dx.doi.org/10.2196/mhealth.4300 

  14. K. H. Ly, E. Janni, R. Wrede, M. Sedem, T. Donker et al.,"Experiences of a guided smartphone-based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for depression: A qualitative study", Internet Interventions, Vol.2, No.1, pp. 60-98, 2015. DOI: http://dx.doi.org/10.1016/j.invent.2014.12.002 

  15. J. Torous, R. Friedman, M. Keshavan,"Smartphone ownership and interest in mobile applications to monitor symptoms of mental health conditions", JMIR mHealth uHealth, Vol.2, No.1, e2, 2015 DOI: http://dx.doi.org/10.2196/mhealth.2994 

  16. N. Farooqui, G. Phillips, C. Barrett, D. Stukus, "Acceptability of an interactive asthma management mobile health appli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Vol.114, No.6, pp. 527-529, 2015. DOI: http://dx.doi.org/10.1016/j.anai.2015.03.006 

  17. E. Arsand, D. H. Froisland, S. O. Skrovseth, T. Chomutare, N. Tatara et al.,"Mobile health applications to assist patients with diabetes: Lessons learned and design implications", Journal of Diabe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6, No.5, pp. 1197-1206, 2015. DOI: http://dx.doi.org/10.1177/193229681200600525 

  18. Y. Wang,"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tention to use of smart phone applic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2013. 

  19. H. S. Chu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mobile healthcare trends and implications. pp. 14-25, Institut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2015. 

  20. J. Proudfoot, G. Parker, D. H. Pavlovic, V. Manicavasagar, E. Adler et al.,"Community attitudes to the appropriation of mobile phone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2, No.5, e64, 2010. DOI: http://dx.doi.org/10.2196/jmir.1475 

  21. Y. Fukuoka, E. Kamitani, K. Bonnet, T. Lindgren, "Real-time social support through a mobile virtual community to improve healthy behavior in overweight and sedentary adults: A focus group analysi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3, No.3, e49, 2011. DOI: http://dx.doi.org/10.2196/jmir.1770 

  22. P. Klasnja, S. Consolvo, D. W. McDonald, J. A. Landay, W. Pratt, et al.,"Using mobile & personal sensing technologies to support health behavior change in everyday life: lessons learned", AMIA Annual Symposium Proceeding, Vol.14, pp. 338-342, 2009. 

  23. H. Yoo, H. Han, H. M. Oh, M. Park."The effects of fama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on elderly women'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pp. 469-48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