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주요사업 계량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rical indicator of the major projects of public organizations -Focused on the case of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1, 2018년, pp.93 - 109  

정종대 (청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적학과) ,  김영학 (청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공공기관의 효율적이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사업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매년 기획재정부주관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경영관리범주와 주요사업범주로 구분되는데 경영관리범주는 평가 대상 기관 공통으로 적용되고 주요사업과 주요사업 계량지표는 기관의 설립목적과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정하여 평가를 받고 있다. 공공기관의 주요사업은 기관의 설립목적을 대표하므로 수행성과가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를 로직모델을 통해 살펴보고 지표의 특성을 알아보고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인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주요사업으로 한정하고 범위는 2017년도 경영평가 편람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국토정보공사 주요사업 계량지표는 투입, 과정, 산출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째, 공공기관에서 제시한 주요사업 계량지표는 적정성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로직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를 투입, 과정, 산출지표가 아닌 결과지표로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의 선정과 검증에 필요한 방법론 즉 로직모델을 통해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가 결과지표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of South Korea accesses public organizations annually for increasing outcomes with effective and clear managements. The management assessment is categorized into the business management applied all organizations and the main business assessed by purposes and 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과 목표가 정해지면 이를 달성정도를 측정하는 도구가 필요한데 성과를 측정하는 모델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로직모델과 BSC모델이다. 따라서 로직모델과 BSC모델을 소개하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주요사업별 성과목표를 검토하여 주요사업별로 제시된 계량지표를 살펴보고 로직모델을 통하여 공공기관 주요사업 계량지표의 수준을 확인하고 주요사업별 적정한 계량지표 개발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달성과 원활한 연구진행을 위한 대상 및 범위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인 한국국토정보공사의 2017년도 경영평가 편람에 제시된 주요사업 계량지표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인터넷 조사방법을 통하여 공공기관의 설립목적, 주요사업별 계량지표 등의 주요내용을 수집하고자 한다.
  •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한국조세연구원에서 제시한 재정사업 자율평가 성과지표 개발 절차를 활용하여 아래 Figure 3과 같이 접근의 틀을 설정하였다. 먼저, 공공기관 주요사업 계량지표 설정에 근간이 되는 설립목적, 주요사업, 성과목표를 파악하고 그다음 공공기관 특성 상 재무적 성과보다 실적과 성과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를 살펴보는 로직모델을 적용하여 주요사업의 투입, 과정, 산출, 결과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공공기관이 제시한 주요사업 계량지표의 성격이 산출지표인지 결과지표인지를 검토하고 공공기관이 선정해야 할 주요사업 계량지표 설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있어 기관이 자율적으로 설정하고 평가받는 주요사업 계량지표에 대해 로직모델을 적용하여 적절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한국국토정보공사에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론은 공공기관의 설립목적과 주요사업을 살펴보고 이와 연계한 성과목표와 계량지표를 로직모델에 적용해 주요사업별 계량지표의 수준을 알아보고 해당 주요사업에 적합한 결과지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기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지표간의 상관관계나 연계성, 지표의 구성요건, 타당성, 만들어진 지표의 효용성 등 평가기관(기재부) 관점에서 개발하여야 하는 지표의 관점에서 경영평가 지표가 공공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피평가기관인 공공기관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제시하는 설립목적에 따른 주요사업과 주요사업 계량지표의 구성의 적절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공공기관 주요사업의 계량지표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주요사업별 성과목표를 검토하여 주요사업별로 제시된 계량지표를 살펴보고 로직모델을 통하여 공공기관 주요사업 계량지표의 수준을 확인하고 주요사업별 적정한 계량지표 개발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달성과 원활한 연구진행을 위한 대상 및 범위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인 한국국토정보공사의 2017년도 경영평가 편람에 제시된 주요사업 계량지표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인터넷 조사방법을 통하여 공공기관의 설립목적, 주요사업별 계량지표 등의 주요내용을 수집하고자 한다. 접근방법은 연구 방법에 따라 기술적 접근방법과 연구의 유용성에 따라 체계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기관이란 무엇인가? 공공기관은 국가의 전체적인 공적 이익을 목적으로 정부의 투자·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설립·운영되는 기관으로 대국민서비스를 활성화하기 특정한 목적사업을 수행한다. 정부는 공공기관이 효율적인이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사업성과 달성을 견인하기 위하여 일정기간을 정해 공공기관에 대한 여러 가지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공공기관의 대표적인 평가방법은 기획재정부에서 주관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이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공공기관의 자율․책임경영체계확립을 위하여 매년 경영 노력과 성과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평가결과가 공공기관의 경영에 환류되어 경영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로직모델이 평가지표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이유는 무엇인가? 많은 평가 전문가들은 로직모델이 평가지표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 이유는 성과관리체계 상에서 로직모델을 사용하는 것은 평가지표의 기획과 관리, 그리고 평가기능을 구성하고 체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로직모델은 이해관계자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하는 기획의 도구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7. 2017 Executive Assessment Manual. 

  2.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2017. 2017 Management Performance Report. 

  3. Kwak CK. 2003. Rol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for controlling inefficiency of government-invested institutions. Public Enterprise Report. 15(1):49-91. 

  4. Kwak CK. 2010. Public Institutional Issue: Evalu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KIPF Public Institution Trend. 2:22-53. 

  5. Park SH. 2009. Recent Issues and Tasks of Public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p. 1547-1564. 

  6. Park YK, Song YR. 2007.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ublic Enterprise Management Indicators. Social Science Research. 13:5-30. 

  7. An SC. 2014. A Study on the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7(6):835-859. 

  8. Yoo H, Bae YS, Lee WH. 2011. Public Enterprise. Bobmunsa. 

  9. Oh YM. 2011.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sed in Public Institutions.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Lee YG. 2007. A Study on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ex of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7(2):23-44. 

  11. Lee HW. 2005. Study on Applicability of BSC as the Performance Appraisal Method of the Government Investment Organiz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11(2):81-88. 

  12. Jang DH, La hm. 2011. The Analysis of The Linkage of Local Enterprises' Management Evaluation Index.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5(2):181-208. 

  13. Ji EK, Jong HS, Jeong HM. 2012. Program Evaluation and Logic Model. Hakjisa. 

  14. Ji EK. 2012. The possibility of the using and limitations of logic model and BSC model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non-profit organizations. Journal of Social Science. 31(1):385-401. 

  15. Jo T. 2008.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Quasi-Governmental Bodies Its Change and Reform Proposal.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15(3): 155-178 

  16. Jo T, Lee CG. 2010. A Study on the Validity of Quantitative Index in the Public Body Management Evalu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17(3):239-270. 

  17. Niven, P. (2003). Balanced Scorecard Step by 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p. 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