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209 - 218  

최윤정 (경남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우울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기존의 개인적 차원 요인 뿐 아니라 사회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인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해 논의해 봄으로써 노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만족도,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5차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22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노인 우울 역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고 삶의 만족도는 높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고 우울 수준을 낮추거나 예방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주거 지원 정책과 여가활용지원을 통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고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노인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see how depression affects this relationship. This includes a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causes of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not only for individual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 5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대상은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의 일반가구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준고령자 및 고령자들로서 앞으로 도래하게 될 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 당시 65세 이상의 노인 4,22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우울은 노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수들에 매개효과가 있음도 밝혀졌다[10][13][32][34-35]. 그러나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 식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효과를 알아 볼 수 있다.
  • 다음은 노인의 삶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개입에 관해 살펴 보고자 한다. 노인의 우울과 정신건강에 관련한 많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입은 대부분 노인 돌봄이나 방문요양서비스 위주로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어 어려움에 직면해 있고,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46].
  •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첫째,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모색이 필요한데 이는 정책적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노인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이는 실천적 제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에 초점을 두고자 하며,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그 관계 속에서 우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 2014년 제5차 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 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우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 를 위하여 설정한 경로 모형의 분석결과는 다음의 Table 4와 같다.
  • 구조방정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변수들의 정규성 가정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왜도는 절대값 3을 초과하면 안되고, 첨도는 10을 초과하면 변수에 문제성이 있는 것으로 여긴다 [17]. 본 연구에서는 모든 변수들이 이 기준을 충족하여 변수들의 정규성을 확보했다고 판단된다.
  • 이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우울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주관적 계층 의식을 독립변수, 우울을 매개변수, 삶의 만족을 종속변수로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첫째,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모색이 필요한데 이는 정책적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노인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이는 실천적 제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사회적인 관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자본 강화에 초점을 맞춘 지역사회 기반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지역사회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 기법을 적용한 다양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49]. 여기에는 지역사회 기관의 네트워크 구축과 당사자의 참여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이 포함되며, 우울 고위험군에 대한 개입 뿐 아니라, 우울 예방을 위한 다양한 집단 프로그램, 동료상담 프로그램, 비전문가 교육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50].

가설 설정

  • 둘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우울은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우울은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사회적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최 근 이러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많은 학자들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의 요인에 주목하고 있다[22-23]. 즉,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비교’ 를 통해 파악되는 ‘평가’가 중요하고, 사회적으로 ‘상대적 우위’에 있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가진 ‘지위(status) 경쟁’을 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말하는 ‘사회계층’이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특히 객관적, 절대적 조건이 그 자체로 의미 있다기보다, 조건에 대한 해석, 특히 사회 내에서 스스로를 어떻게 평가하고 인식하는가와 관련한 주관적 계층의식이 행복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24].
OECD 회원국 중 대한민국의 기대수명 순위는 몇 위인가? 최근 OECD 회원국 기대수명을 분석한 논문 결과 한 국인의 기대수명이 세계 1위에 올라서게 되면서 우리나 라는 세계 최장수 국가가 될 전망이다[1]. 기대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년기의 삶은 시간의 양이라는 단순한 부분만 놓고 보더라도 생애주기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노인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교육수준, 경제적 수준 및 소득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 조사되었다[7-12]. 둘째, 건강 관련 요인들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10][13]와 일상생활동작 등의 기능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7][8][14]. 셋째, 심리․정서적 요인에는 인지기능 및 우울 등과 같은 정서상태가 노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10][15-16]. 넷째, 사회활동(사회참여활동) 역시 노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확인되었다[10][17-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V. Kontis, J. E. Bennett, C.D. Mathers, G. Li, K. Foreman, M. Ezzati,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Lancet, vol. 389, pp. 1323-35, 2017.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6)32381-9 

  2. M. S. Yoon, M. S. Lee, "A Study on th Effects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f Elderly Wome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6, pp. 89-115, March, 2011. 

  3. M. D. Sparks, B. Painter,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Perceptions of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 23, pp. 47-53, 2004. DOI: https://doi.org/10.3928/0098-9134-20040801-09 

  4. J. H. Moon, D. H. Kim,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8. no. 1, pp. 44-54, 2018. 

  5. Farquhar, "Elderly People's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41, no. 10, pp. 1439-1446, 1995.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117-p 

  6. Efklides, M. Kalaitzidou, G. Chankin,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Greece: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emotional state and adaptation to aging", European Psychologist, vol. 8, no. 3, pp. 178-191, 2003. DOI: https://doi.org/10.1027//1016-9040.8.3.178 

  7. D. Kwon, J. Y. Cho, "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no. 3. pp. 61-76. 2000. 

  8. S. Hur, "Life Satisfaction of Community Resident Elderly Perso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24. summer, pp. 127-151. 2004. 

  9. R. Kim,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a, pp. 33-48, 2008. 

  10. S. Gweon,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ported Health",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8, no. 5, pp. 995-1008, 2009. DOI: https://doi.org/10.5934/kjhe.2009.18.5.995 

  11. S. Markides, W. Martin,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vol. 34, no. 1, pp. 86-93, 1979. DOI: https://doi.org/10.1093/geronj/34.1.86 

  12. M. S. Kim, J. W. Ko, "Study on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An Integrative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6, pp. 246-259, 2013. DOI: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13. D. M. Yeum, J. S. Jung, "Research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ing",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30, no. 4, pp. 27-50, 2014. 

  14. R. I. Hwang, J. Y. Lim, Y. W. Lee, "A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impairment Lev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69, no. 5, pp. 622-631, 2009. DOI: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22 

  15. M. J. Park,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upport Network Types on Life Satisfactio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40, no. 1, pp. 207-233, 2012. 

  16. J. S. Lee, H. A. Kim, "The Impact Family Relationship on Life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Wellness, vol. 12, no. 2, pp. 27-36, 2017. 

  17. J. S. Hur, S. H. Cho,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ersons: Focused on Med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1, pp. 674-691, 2017.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673 

  18. E. E. Yim, B. J. Koo, S. H. Lim,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Networkin on Life Satisfaction on the Rural Elderly People: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5, no. 2, pp. 567-590, 2014. DOI: https://doi.org/10.16881/jss.2014.04.25.2.567 

  19. K. M. Nam,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People's Activiti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Self Esteem as Mediat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30, Spring, pp. 303-328, 2006. 

  20. R. Jenkins, M. Pienta, L. Horgas,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Research on Aging, vol. 24, no. 1, pp. 124-149, 2002. DOI: https://doi.org/10.1177/0164027503024001008 

  21. Y. K. Lee, S. J.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Status on Happiness: A Focus o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55, no. 1, pp. 1-30. 2017. 

  22. E. Diener, M. E. Seligman,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vol. 5, no. 1, pp. 1-31. 2004. DOI: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4.00501001.x 

  23. R. Layard, Happiness: Lesson from a New Science. New York: The Penguin Press. 2005. 

  24. Y. K. Lee, S. J.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Status on Happiness: A Focus o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55, no. 1, pp. 1-30. 2017. 

  25. J. Y. Hwang, S. K. Chung,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Its Influence on Alcohol Problem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44, no. 3, pp. 269-298, 2016. 

  26. M .H. Kim, "A Study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uccessful Aging among Korean Elderly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2, no. 2, pp. 697-715, 2010. 

  27. M. S. Lee,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 Socio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39, no. 6, 2005. 

  28. R. Wilkinson, "Health, Hierarchy, and social anxiety", Annu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 896, Vo. 1, pp. 48-63, 1999. DOI: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9.tb08104.x 

  29. M. Marmot, "Status syndrome: A challenge to medicine", JAMA, vol. 295, no. 5, pp. 1304-1307, 2006. DOI: https://doi.org/10.1001/jama.295.11.1304 

  30. J. S. House, J. M. Lepkowski, A. M. Kinney, R.P. Mero, R. C. Kessle, A. R. Herzog,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35, September, pp. 213-234, 1994. DOI: https://doi.org/10.2307/2137277 

  31. W. C. Jeong, M. O. Ta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Elder Who Lives Alone on the Influence of Those People's Stratum Consciousness on Thei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12, pp. 426-436, 2017. 

  32. J. S. Lee, H. A. Kim, "The Impact Family Relationship on Life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Wellness, vol. 12, no. 2, pp. 27-36, 2017. 

  33. W. C. Jeong, M. O. Tae,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Elder Who Lives Alone on the Influence of Those People's Stratum Consciousness on Thei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12, pp. 426-436, 2017. 

  34. J. H. Yeom, "The Effect of Relig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vol. 19, no. 3, pp. 285-317, 2016. DOI: https://doi.org/10.17207/jstc.2016.09.19.3.285 

  35. J. H. Lee, G. Y. Jo, "The Influence of economic Capability and Physical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19, pp. 151-176, 2017. 

  36.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1, no. 3, 1977. DOI: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7. P. E. Shrout,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no. 4, pp. 422-445, 2002. DOI: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38. J. L. Arbuckle, Amos 18 user's guide, Grawfordville, FL: Amos Development Corporation, 2007. 

  39. B. H. Lee, J. H. Yoon, "The Change of Social Status Consciousness", Economy and Society, pp. 111-140, 2006. 6. 

  40. I. J. Yoon, S. D. Kim,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n Life Satisfaction - With a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High-class Leisure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1, no. 2, pp. 153-185, 2008. 

  41. S. C. Segerstrom, S. E. Taylor, M. E. Kemerry, J. L. Fahey, "Optimism is associated with mood, coping, and immune change in response to 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4, no. 8, pp. 663-673, 1998.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74.6.1646 

  42. N. E. Adler, "Health disparities through Psychological lens", American Psychologist, vol. 64, no. 8, pp. 663-673, 2009. DOI: https://doi.org/10.1037/0003-066x.64.8.663 

  43. M. S.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Death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49, pp. 241-266, 2010. 

  44. O. S. Shim, "Moder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economic activity",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 17, pp. 161-180, 2015. 

  45. H. S. Lee, H. S. Nam, "The Effect of Daily Living Activities, Depression, Sdlf-respect,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Rural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Casd Study on the Yeoju Country",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 17, no. 4, pp. 957-984, 2010. 

  46. Y. H. Chon, C. N. Kim, "A Study on Home Support Service for Order People in terms of Necessity and Establishment of Rol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Service Users and Provid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1, pp. 275-304, 2016. 

  47. H. G. Kim, "The Effect of the Stres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Urban Areas on the Quality of Life: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2, pp. 443-451,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443 

  48. H. J. Lee, "The Impact of Isolation and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42, pp. 157-177, 2012. DOI: https://doi.org/10.15300/jcw.2012.09.42.157 

  49. M. P. Johnson, "Community-Based Operations Research: Introduction, Theory, and Applications", Michael P. Johnson(ed). Community-Based Operations Research: Decision Modeling for Local Impact and Diverse Populations, pp. 3-36, 2011. DOI: https://doi.org/10.1007/978-1-4614-0806-2_1 

  50. E. J. Kim, S. P. Yook, "Study on the Multilevel Effects of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Focusing on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7, no. 1, pp. 173-2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