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우울과 자아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the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8 no.1, 2018년, pp.23 - 31  

곽성원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전공) ,  심경보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전공) ,  노효련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동현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우울과 자아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병원 입원노인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GDS-K), 자아효능감척도,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가 첨가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ver.18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자아효능감, 삶의 질의 차이와 자아효능감, 우울, 삶의 질 간 상관계수 그리고 우울, 자아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과 자아효능감은 입원기간과 종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삶의 질은 종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원노인의 우울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p<.001)가 나타났고, 자아효능감 하위변인과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p<.001)가 나타났다. 입원노인의 우울과 자아효능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우울정도(${\beta}=-.328$)이고, 사회적 효능감(${\beta}=.248$), 신체적 효능감(${\beta}=.193$)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입원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요양의료서비스의 제공 및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 - efficac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hospitalized in a nursing hospital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Methods : The target was 212 senior citizens w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장기요양시설 서비스의 질이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보고한 Jung(2012)과 Prak(2015)의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여가활동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그리고 요양병원 입원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과 자아효능감이 입원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한 Lee(2016)의 연구를 제외한다면 더욱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우울과 자아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아효능감이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주어진 환경에서 활동에 대한 스스로의 믿음을 의미한다. 즉 활동을 조직화하고 실행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 기대감을 뜻한다(Barua, Ghosh, Kar, & Basilio, 2011). 따라서 자아효능감은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건강행위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이며 심리적 안녕 상태와 긍정적인 삶의 질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Jang.
통계청의 고령자 인구추계에 따르면 초 고령사회가 도래하는 시점은 언제인가? 7%를 차지하며 OECD 국가 중 유례없는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17년 통계청의 고령자 인구추계에 따르면 2026년 고령인구 비중이 20%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되어 인구 5명 중 1명이 고령자인 초 고령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보고하였다(The Statistics Korea, 2017).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국내 요양의료서비스 기관의 수는 어떻게 되었는가? 고령인구의 증가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환자의 증가로 이어지고 대부분의 노인환자는 의료서비스와 장기요양을 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요양의료서비스 기관의 경우 2002년 54개에 불과했던 요양병원은 2015년 12월 기준 1,229개소로 20배 이상 증가하였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ua, A., Ghosh, M. K., Kar, N., & Basilio, M. A. (2011).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in the elderly. Annals of Saudi Medicine, 31(6), 620-624. 

  2. Cheon, H. J. (2011). Depression of Patients by Decision Maker of Admission and Length of Stay at a Geriatric Hospital.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onnam, Gwangju. 

  3. Cho, B. H., Ko, M. H., & Kim, S. Y. (2003). A Study on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1), 51-60. 

  4. Han, Y, M. (2000). Spiritual Need of Hospice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3(1), 39-48.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Medical expenses statistical indicators. Retrieved march 21, 2015, from http://www.hira.or.kr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Scale of the Korean Long Term Care Hospital Elderly Inpatient. Retrieved February 16, 2006, from http://www.hira.or.kr 

  7. Hills, P., & Argyle, M. (2001). Emotional Stability as a major dimension of happiness. Personality and Indicidual Differences, 31, 1357-1364. 

  8. Jang, S. Y. (2011).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inrural area. Unpublished. 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9. Jung, D. I. (2012). Impact of the Quality of Servi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oung, Seoul. 

  10. Kang, Y. J. (2016). The Effect on Group Intervention Program on COPM-performan ce, COPM-satisfaction, Self-efficacy, Depr 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Work-Related Injury: A Case Study.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5(2), 17-34. 

  11. Kee, B. S., & Lee, C. W. (1995).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e Depression Scale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4(6), 1875-1885. 

  12. Kim, D. H., & Kim S. B. (2017). A Study on Health Status Factors Affecting HRQOL in the Elderly Stroke Patients With ot Without Sequel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7(1), 37-47 

  13. Kim, J. M. (2016).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among inpatient Elderly.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je, Gimhae. 

  14. Lee, K. M. (2016). The Effects of Satisfaction, Slef Esteem and Depression on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sin. Busan. 

  15. Min, S. K., Lee, C. L., & Kim, K. L.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6. Moon, M. J. (1998). The Relationships among Quality of Life, ADL, Depression and Self- Efficacy in People with Chronic Arthriti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0(2), 259-267. 

  17. Oh, C. U., & Park, Y. J. (2017). Influences of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Middle-Aged Long-Term Car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363-372. 

  18. Park, B. N., & Park, H. J. (2014).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1(1), 52-59. 

  19. Park, J. H. (1990). Self-esteem and Fear of Death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20. Park, J. J. (2015). Effects of Leisure Activity and Depression of Convalescent Hospital Elderly Patients on Quality of Life.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iduk, Gyeonju. 

  21. Park, K. M. (1993). A Study on Depression in Old Age According to Self-Effcar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22. Ryckman, R. M., Robbins, M. A., Thornton, B., & Cantrell, P. (1982). Development and valo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hycholigy, 42(5), 891-900. 

  23. Sherer, M., Maddux, J. E., Mercanante, B., Prentice, D, S., Jacobs, B., & Rogers, R. V.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4. The Statistics Korea (2014). Estimated future population.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