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on the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549 - 558  

강경아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박성희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0명이었으며,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31부가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 자기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 및 극복력은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극복력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Duncan test로 분석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 극복력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는 극복력과 모두 긍정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감이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간호사의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on the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240 hospital nurses in Jeonbuk and 23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sion of nine due to insufficient data.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7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성을 살피는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성이 있을 경우 시도할 수 있으므로[23]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와 종속변수인 극복력 간의 상관성을 살피는 연구를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는 미흡하였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변수 간의 상관성 또는 인과성을 살피는 연구만 시도되었다[24-27].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자기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모두 극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대처보다 자기 효능감이 간호사의 극복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간호사의 나이, 근무 기간, 근무 부서, 희망부서 배치 유무, 직무 만족도 및 스트레스 수준도 극복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최근 개발된 직무관련 극복력 모델인 ICW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Workforce Resilience)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ICWR 모델은 간호사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결과를 함께 살펴본 모델이며[6], 간호사의 신경증(neuroticism), 마음챙김(mindfulness),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job stress coping)가 극복력을 매개하여 스트레스, 소진, 우울 등의 간호사의 정신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직무관련 극복력 모델을 기반으로 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복력에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향후 임상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이 필요한 이유는? 극복력은 역경 상황을 지속적으로 극복해가면서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증진될 수 있으며, 간호사 스스로 노력하여 강화될 수도 있고, 주변의 도움과 지지에 의해서도 증진될 수 있으므로[13,15,16]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에 지속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소진, 이직 의도 감소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7,8,17] 궁극적으로 양질의 간호인력 확보 및 간호의 질과 서비스 만족도에도 긍정적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간호사의 극복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극복력은 무엇인가? 이러한 차이에 주목하면서 간호사의 극복력(resilience) 개념은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11]. 극복력은 스트레스와 역경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개인의 내적 통제력으로 역경 동안에 간호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최근 소진, 이직 의도 등의 개념과 함께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자아 탄력성, 회복탄력성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8,12—14].
임상간호사에게 의료서비스의 질과 만족도 향상에 무엇이 중요한가? 임상간호사는 병원에서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간호하므로 간호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질은 의료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1-3]. 따라서 간호 및 의료서비스의 질과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양질의 간호 인력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4]. 그러나 환자 간호와 안전을 책임지는 간호사는 직무를 수행하는 환경에서 매일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타 직종에 비해 높은 편으로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burnout), 이직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E. Kol, F. Arikan, E. Ilaslan, M. A. Akinci, M. C. Kocak, "A Quality Indicator for the Evaluation of Nursing Care: Determination of Patient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the Mediterranean Region in Turkey", Collegian, vol. 25, no. 1, pp. 51-56, 2018. DOI: https://doi.org/10.1016/j.colegn.2017.03.006 

  2. E. H. Oh, B. Y. Chung,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391-401,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391 

  3. E. J. Choi, I. S. Jang, J. H. Hwang, Y. A. Kang, S. R. Kim, J. H. Nho, J. H. Kim, "Patient Satisfaction with Advanced Practice Nurs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1, no. 3, pp. 335-346, 2015. 

  4. T. J. Park, M. H. Cheon, K. S. Suh, "Impact of Workplace Stress and Occupational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Employees: Comparing Two Group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6, no. 9, pp. 2501-2521, 2013. 

  5. O. Arrogante, E. Aparicio-Zaldivar, "Burnout and Health among Critical Care Professionals: The Mediational Role of Resilienc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 42, pp. 110-115, October, 2017. DOI: https://doi.org/10.1016/j.iccn.2017.04.010 

  6. C. S. Rees, L. J. Breen, L. Cusack, D. Hegney, "Understanding Individual Resilience in the Workplace: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Workplace Resilience Model", Frontiers in Psychology, vol. 6, pp. 1-7, February, 2015. DOI: https://doi.org/10.3389/fpsyg.2015.00073 

  7. G. Zou, X. Shen, X. Tian, C. Liu, G. Li, L. Kong, P. Li, "Correlates of Psychological Distress, Burnout, and Resilience among Chinese Female Nurses", Industrial Health, vol. 54, no. 5, pp. 389-395, 2016. DOI: https://doi.org/10.2486/indhealth.2015-0103 

  8. T. A. Hudgin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Anticipated Turnover in Nurse Leade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4, no. 1, pp. E62-E69, 2015. DOI: https://doi.org/10.1111/jonm.12289 

  9. S. Lacher, S. D. Geest, K. Denhaerynck, I. Trede, D. Ausserhofer, "The Quality of Nurses' Work Environment and Workforce Out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Swiss Allied Healthcare Assistants and Registered Nurses: A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7, no. 5, pp. 458-467, 2015. DOI: https://doi.org/10.1111/jnu.12151 

  10. K. Liu, L. M. You, S. X. Chen, Y. T. Hao, X. W. Zhu, L. F. Zhang, L. H. Aike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Work Environment and Nurse Outcomes in Guangdong, China: A Nurse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1, no. 9, pp. 1476-1485, 2012.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3991.x 

  11.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P. Grimbeek,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9, no. 4, pp. 427-438,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40.x 

  12. R. L. Hart, J. D. Brannan, M. D. Chesnay, "Resilience in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2, no. 6, pp. 720-734, 2012. DOI: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2.01485.x 

  13. D. Jackson, A. Firtko, M. Edenborough,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0, no. 1, pp. 1-9,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14. J. S. Kang, J. Y. Lim,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1, pp. 263-273,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63 

  15. F. Cameron, S. Brownie, "Enhancing Resilience in Registered Aged Care Nurses", Australasian Journal of Ageing, vol. 29, no. 2, pp. 66-71, 2010. DOI: https://doi.org/10.1111/j.1741-6612.2009.00416.x 

  16. M. Zander, A. Hutton, L. King, "Exploring Resilience in Paediatric Oncology Nursing Staff", Collegian, vol. 20, no. 1, pp. 17-25, 2013. DOI: https://doi.org/10.1016/j.colegn.2012.02.002 

  17. B. Hayes, C. Douglas, A. Bonner,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Stress and Burnout among Hemodialysis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3, no. 5, pp. 588-598, 2015. DOI: https://doi.org/10.1111/jonm.12184 

  18. M. J. Kim, Y. S. Park, Y. H. Kwon,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on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2, pp. 1284-1291,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2.1284 

  19. I. O. Moon, S. K. Park, J. M. Jung,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9, no. 4, pp. 525-535,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525 

  20. K. H. Hwang, Y. S. Yoo, O. H. Cho, "The Impact of Career-Focused Nurses' Ego-Resilience and Career Planning on Turnover Inten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vol. 24, no. 3, pp. 284-291, 2017. 

  21. A.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 Hall Publisher, 1986. 

  22. W. K. Sim, S. M. Che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Nurse Job Stress Coping Scale", Social Science Studies, vol. 40, no. 1, pp. 219-239, 2016. 

  23. I. Y. Lee, "Easyflow Regression Analysis", Seoul, Hannaarae Publishing Company, 2016. 

  24. S. H. Jang, M. Y. Le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9, no. 2, pp. 255-265, 2015.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15.06.9.2.255 

  25. D. J. Kim, J. S. Le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244-254,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44 

  26. M. S. Ko,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0, pp. 280-291,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80 

  27. C. S. Rees, B. Heritage, R. Oseiran-Moisson, D. Chamberlain, L. Cusack, J. Anderson, V. Terry, C. Rogers, D. Hemsworth, W. Cross, D. G. Hegney, "Can We Predict Burnout among Student Nurses? An Exploration of the ICWR Model of Individual Psychological Resilience", Frontiers in Psychology, vol. 7, pp. 1-11, 2016. DOI: https://doi.org/10.3389/fpsyg.2016.01072 

  28.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vol. 51, no. 2, pp. 663-671, 1982. DOI: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9. H. Y. Hong,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Mater's thesis, 1995. 

  30. M. M. Park, J. W. Park,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3, no. 1, pp. 32-41, 2016.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6.23.1.32 

  31. S. H. Kim, S. H. Park,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8, no. 4B, pp. 2257-2269, 2016. 

  32. H. S. Baek, K. U. Lee, E. J. Joo, M. Y. Lee, K. S. Cho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vol. 7, no. 2, pp. 109-115, 2010. DOI: https://doi.org/10.4306/pi.2010.7.2.109 

  33. K. M. Connor, J. R. Davidson,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vol. 18, vol. 2, pp. 76-82, 2003. DOI: https://doi.org/10.1002/da.10113 

  34. Y. J. Son, H. H. Gong, M. A. You, S. S. Kong,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1B, pp. 515-530, 2015. 

  35. B. N. Kim, H. S. Oh, Y. S. Park,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 14-23, 2011.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1.20.1.014 

  36. K. Ryu, J. K. Kim,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Stres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7, pp. 439-450, 2016. DOI: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439 

  37. D. H. Moon,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8, pp. 646-653,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8.646 

  38. P. S. Matos, L. A. Neushotz, M. T. Q. Griffin, J. J. Fitzpatrick, "An Exploratory Study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sychiatirc Nurses Working in Inpatient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vol. 19, no. 5, pp. 307-312, 2010. DOI: https://doi.org/10.1111/j.1447-0349.2010.00690.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