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주 어래산지역의 지질 및 구성암류와 방사능 값
Geology and Constituent Rocks, and Radioactive Values of the Eoraesan Area, Chungju,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2, 2018년, pp.85 - 96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덕선 (울산광역시 재난관리과) ,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DMR융합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천변성대의 북서부에 위치하는 충주 어래산지역은 신원생대 계명산층과 중생대 화성암류가 분포하고, 계명산층 내에 희토류 광화대가 보고된 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희토류 광체의 기원암과 그 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암상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를 작성하고, 구성암류의 방사능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원생대 계명산층의 주요 암상은 변성이질암, 화강암질편마암, 함철규암, 변성심성산성암(호상형, 세립형, 함염기성형, 조립형), 변성화산산성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는 페그마타이트, 흑운모화강암, 반려암, 섬록암, 염기성 암맥 등으로 구분된다. 계명산층의 구성암류는 주로 동북동 방향의 대상분포를 보이고, 함염기성형 변성심성산성암의 분포는 이전 연구자에 의해 작성된 희토류 광체의 분포와 매우 유사하다. 그리고 중생대 흑운모화강암은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어래산지역의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또한 함염기성형 변성심성산성암은 연구지역의 구성암류 중에 가장 높은 방사능 값의 범위(852~1217 cps)와 평균값(1039 cps)을 보인다. 노두별 방사능 값의 최대 밀도를 보이는 분포영역은 또한 함염기성형 변성심성산성암의 분포 영역과 일치한다. 이는 함염기성형 변성심성산성암이 희토류 광체의 기원암일 가능성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oproterozoic Gyemyeongsan Formation and the Mesozoic igneous rocks are distributed in the Eoraesan area, Chungju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Ogcheon metamorphic zone, Korea, and the rare earth element (REE) mineralized zone has been reported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W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희토류 광화대가 발달하는 충주 어래산지역에서 정밀한 야외지질조사를 수행하여암상단위 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를 작성하고 충주 어래산지역의 구성암류와 그 분포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구성암류에 대한 암상별 방사능 값을 측정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방사능 밀도분포도를 작성하고,이를 바탕으로 희토류 광체의 기원암과 그 분포 및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역엽리의 특징은? 3a, 3b). 광역엽리는 주로 판상광물의정향배열에 의한 편리, 무색광물대와 유색광물대의 호층에 의한 편마구조, 신장된 구성광물의 정향배열 및 입도 세립화에 의해 형성된 압쇄엽리 등에 의해 인지되고, 그 방향성은 동북동 주향에 북쪽으로 중각 내지 고각으로 경사하는 우세한 방향성을 보이나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있다(Fig. 3c, 3d).
변성이질암의 산출내용은? 2). 주로 흑운모, 석영, 장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각섬석,저어콘 등을 포함하며, 흑운모와 신장된 석영 및 장석의 정향배열에 의한 편리가 일반적으로 우세하게 발달한다(Kang et al., 2017의 Fig.
시대미상 계명산층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 가? 충주 어래산지역은 충주 지질도폭의 중서부에 위치한다. 충주도폭 조사자(Kim and Lee, 1965)에 따르면 시대미상 계명산층은 각섬암과 백색~회색 돌로마이트질석회암을 협재하는 흑운모-석영편암, 각섬석-흑운모편마암, 적철석-자철석-석영편암, 견운모-석영편암, 백운모-석영편암, 석영-흑운모편마암, 대상석영-흑운모편마암 등으로 구성된 주로 흑운모-석영 준편마암류로 되어 있고, 이를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는 소규모 암맥상으로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과 각섬석 화강암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연구지역계명산층의 주요 암상은 변성이질암, 화강암질편마암,함철규암, 변성심성산성암(호상형, 세립형, 함염기성형, 조립형), 변성화산산성암 등으로 구분되고, 중생대 화성암류의 주요 암상은 페그마타이트, 흑운모화강암, 반려암, 섬록암, 염기성암맥 등으로 구분되며,연구지역의 구성암류는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eong, C.-S., Kim, N., Yi, K., Jo, H.J., Jeong, Y.-J., Kim, Y., Koh, S.-M. and Iizuka, T., 2015, Recurrent rare earth element mineralization in the nor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SHRIMP U-Th-Pb geochronology, Nd isotope geochemistry, and tectonic implications. Ore Geology Reviews, 71, 99-115. 

  2. Cluzel, D., Cadet, J.P. and Lapierre, H., 1990,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South Korea). Tectonophysics, 183, 41-56. 

  3. Kang, J.-H., 1994a, Tectonic evolution of the Ogcheon zone, South Korea. Ph.D. thesis, Hiroshima University, Japan, 119 p. 

  4. Kang, J.-H., 1994b, Geological structure and tectonics of the Ogcheon zone in the Chungju-Jangseonri area, South Korea. Journal of Science of the Hiroshima University Series C, 10, 11-23. 

  5. Kang, J.-H., Hayasaka, Y., Katube, A., Lee, D.-S., Koh, S.-M., Ryoo, C.-R. and Noh, S.Y., 2012a, SHRIMP zircon age of Gyemyeongsan Formation in the Eoraesan area, Chungju, Korea.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bstracts), Seoul, May 17-19, 73-75. 

  6. Kang, J.-H., Hayasaka, Y. and Ryoo, C.-R., 2012b, Tectonic evolution of Central Ogcheon Bel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29-150. 

  7. Kang, J.-H. and Ryoo, C.-R., 1997, Igneous activity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Kyemyeongsan area, Chungju,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6, 151-165. 

  8. Kang, J.-H., Lee, D.-S., Noh, S.-Y., Jeong, J.-W., and Koh, S.-M., 2017, Geology and constituent rocks of the Chungju-Goesan are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Ogcheon metamorphic zone, Korea: Considering on the history of igneous activities accompanying formation and evolution processes of the Ogcheon rift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3, 51-77. 

  9. Kim, J.-S., Park, M.-E. and Kim, G.-S., 1998, A geochemical study of the alkali granite in the Kyeomyeongsan Formati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1, 349-360. 

  10. Kim, K.W. and Lee, H.K., 1965, Geological report of the Chungju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35p. 

  11. Na, K.C., Kim, H.S., Lee, D.J. and Lee. S.H., 1982,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hungju and Seosan Group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5, 177-188. 

  12. Oh, M.S., 1989, Allanite mineralization in the Mt. Eorae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2, 151-166. 

  13. Oh, M.S., Seo, J.R., Koo, S.B. and Choi, C.H., 1988, Rare-Earth mineralization in Kyemyungsan Formation of Ogcheon Group, Mt. Eorae area near Chungju city, Middle Ko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Research Report, KR-88-8A, 3-112. 

  14. Park, M.-E. and Kim, G.-S., 1995, Genesis of the REE ore deposits, Chungju district, Korea: Occurrence feature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Korea, 28, 599-612. 

  15. Park, M.-E. and Kim, G.-S., 1998, Geochemistry of Uranium and Thorium deposits from the Kyemyeongsan pegmatite.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Korea, 31, 365-374. 

  16. Reedman, A.J., Fletcher, C.J.N., Evans, R.B., Workman, R.B., Yoon, K.S., Rhyu, H.S., Jeong, S.W. and Park, J.N., 1973, Geological, geophysical and geochemical investigations in the Hwanggangni area Chungchong Pukdo. Geological and Mineral Institute of Korea. Report of Geological and Mineralogical Exploration, Part II, 1, 1-118. 

  17. You, B.-W., Lee, G.J. and Koh, S.M., 2012, Mineralogy and mineral-chemistry of REE minerals occurring at mountain Eorae, Chungju.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Korea, 45, 643-6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