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송군 송강리 석회규산염암류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Limesilicates in the Songgang-ri, Cheongsong-gun,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3, 2018년, pp.139 - 151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분지 영양소분지 남서 경계부의 영남육괴 소백산지구에 위치하는 청송군 송강리지역은 시대미상의 변성암류(호상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석회규산염암류)와 이를 관입하는 시대미상의 화성암류(화강편마암)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송강리 송강마을의 동측에 흐르는 용전천 하안을 따라 약 170 m 노출된 지질노두에서 중첩 변형된 암석구조의 기하학적 운동학적 특성과 이들 변형구조의 선후관계로부터 송강리지역 구성암류의 변형사를 연구하였다. 송강리 지질노두에서 변형 및 관입 시기를 서로 달리하는 3회(Fn, Fn+1, Fn+2)의 습곡작용과 3회(Dk-I, Dk-II, Dk-III)의 산성암맥들의 관입작용 그리고 1회의 단층운동이 인지되고, 이들은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단계(Dn, Dn+1, Dn+2, Dn+3, Dn+4)를 걸쳐 형성되었다. Dn 변형은 광역엽리를 형성시키는 Fn 습곡작용으로 인지된다. Dn+1 변형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응력에 의해 전기단계에 (동)북동 방향의 Dk-I 암맥을 관입시켰으며, 후기단계에 북서 방향의 Fn+1 습곡을 형성시켰다. 주요 변형된 암석구조로는 밀착, 등사, 층간습곡, 부딘구조, 부딘의 ${\sigma}$-형 내지 ${\delta}$-형 구조, 비대칭습곡, C' 전단띠 등이 있다. Dn+2 변형은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응력에 의해 전기단계에 북서 방향의 Dk-II 암맥을 관입시켰으며, 후기단계에 북동 방향의 Fn+2 습곡을 형성시켰다. 주요 변형된 암석구조로는 개방습곡과 습곡된 부딘구조 등이 있다. Dn+3 변형은 Dk-I과 Dk-II의 암맥들과 Fn+2 습곡축면을 절단하는 Dk-III의 암맥을 관입시켰다. Dn+4 변형은 상반이 남남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북북동 방향의 좌수향 역이동성 사교이동 단층을 형성시켰다. 송강리 지질노두에서 인지되는 이러한 다섯 번의 변형작용은 송강리지역 뿐만 아니라 보다 광역지역 구성암류의 분포 및 지질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결과는 영남육괴의 소백산지구와 경상분지의 경계부와 그 주변부의 구성암류가 경험한 지질구조 및 그 발달사를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nggang-ri area, Cheongsong-gun, which is located in the Sobaeksan province of Yeongnam Massif near the southwestern boundary of Yeongyang subbasin of Gyeongsang Basin, consists of age unknown metamorphic rocks (banded gneiss, granitic gneiss, limesilicates) and age unknown igneous rock (gra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들 주요 변형구조의 기하학적·운동학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 등으로부터 송강리 지질노두의 구성암류에 대한 변형작용사를 밝히고, 영남육괴 소백산지구와 경상분지의 경계부 주변에 분포하는 구성암류가 경험한 지질구조 및 그 발달사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강리 송강마을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송강리 송강마을은 청송군청에서 북북서 방향으로 직선거리 약 6.5 km 그리고 31번 국도를 따라서 파천면 사무소와 송강2교를 지나 약 8 km에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Fig. 3).
송강리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노두는 어떤 형태로 되어 있는가? 3). 송강리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노두는 송강마을의 동측에 흐르는 용전천 하안을 따라 약 170 m 노출되어 있다(Fig. 3a, 3b).
송강마을 주변의 산계 지형과 지질은 어떻게 되는가? 3b). 북부의 산계는 북동 방향을 주능선으로 하고 서북서 방향을 부능선으로 한다. 반면에 남부의 산계는 동북동 방향을 주능선으로 하고 남-북 방향을 부능선으로 한다. 북부의 산계는 호상편 마암과 석회규산염암류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Fig. 3), 이들 구성암류에는 엽리가 우세하게 발달한다(Fig. 4a, 4c). 반면에 남부의 산계는 화강암질편마암과 화강편마암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Fig. 3), 이들 구성암류에는 엽리의 발달이 미약하다(Fig. 4b, 4d).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eong, C.-S. and Cho, M., 2014, In situ U-Pb age and Hf isotopic composition of detrital zircons from metasedimentary gneisses in the Andong area,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Abstract).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2 (in Korean). 

  2. Cheong, C.-S., Kim, N., Kim, J., Yi, K., Jeong, Y.-J., Park, C.-S., Li, H.-K., and Cho, M., 2014, Petrogenesis of Late Permian sodic metagranitoids in southeastern Korea: SHRIMP zircon geochronology and elemental and Nd-Hf isotope geochemistry.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95, 228-242. 

  3. Choi, P.Y., Lee, S.R., Choi, H.-I., Hwang, J.-H., Kwon, S.- K., Ko, I.-S. and An, G.-O., 2002, Movement history of the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91-102. 

  4. Hwang, J.-H., Kim, D.-H., Cho, D.-L. and Song, K.-Y., 1996, Geological report of the Andong sheet (1: 2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67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g, G.Y., Cheong, C.-S., Yi, K., Kim, J., Kim, N., Kwon, S.-K., Geng, J.-Z. and Li, H.-K., 2014, Mineral ages and zircon Hf isotopic composition of the Andong ultramafic complex: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Mesozoic subduction system and subcontinental lithospheric mantle beneath SE Korea. Geological Magazine, 151, 765-776. 

  6. Kang, J.-H. and Kim, H.-S., 2000, Structural analysis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Sangun-myeon area, Bonghwa-gun,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9, 254-2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ng, J.-H., Kim, H.-S. and Oh, S.-B., 1997, 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 - 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6, 244-2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ng, J.-H., Kim, N., Park, K.-H., Song, Y.-S. and Ock, S.- S., 2004,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in the Yeongyang-Uljin Area,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3, 179-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J.-H., Kim, N., Song, Y.-S. and Park, K.-H., 2006,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f Sobaegsan Massif in Giseong-myeon area,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49-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J.-H. and Lee, D.-S., 2008, Geological structure around Andong Fault System, Pungcheon-myeon, Andong,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7, 83-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J.-H., Oh, S.-B. and Kim, H.-S., 1998,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metamorphism of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7, 190-2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GAM, 2001, Tectonic map of Korea (1: 1,000,000). Sungji Atlas Co. Ltd. 

  13. Kim, O. J., 1795, Granites and tectonics of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Mining Geology, 8, 223-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H.G. and Hong, S,H., 1973, Geological report of the Cheongsong sheet (1: 50,000). Geological and Mineral Institute of Korea, 2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agong, H., Kwon, S.-T.,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2004TC0017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