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자식물의 바른 한국어(韓國語) 용어 사용에 대한 제언
A Contribution to Appropriate Korean Equivalents to Some International Gymnosperm Terminologie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2, 2018년, pp.126 - 139  

성은숙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식구조를 중심으로 나자식물의 바르지 않은 한국어 용어를 바로 잡고 국제용어에 상응하는 나자식물의 한국어 용어를 제안하여 정리하였다. 즉, 나자식물 용어에 '꽃(花)'이나 '열매(果實)'의 의미가 들어 있는 용어를 중심으로 바로 잡았다. 예를 들어, '열매' 또는 '구과(毬果)'라고 부르는 'cone'은 '종구(種毬)'로 수정하고, '종린(鍾鱗)' 또는 '실편(實片)'이라고 부르는 'cone scale', 'ovuliferous scale'은 '종린(種鱗)' 하나로 정리하고, '화분낭(花粉囊)'으로 부르는 'microsporangium', 'pollen sac'은 '소포자낭(小胞子囊)'으로 부르고, 화분(花粉)이라고 부르는 'pollen'은 '소포자(小胞子)' 또는 '웅성배우자체(雄性配偶者體)'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암꽃', '자화수(雌花穗)', '구화수(毬花穗)', '구상화서(毬狀花序)', '자화서(雌花序)' 또는 '자성구화수(雌性毬花穗)' 등으로 부르는 'female cone', 'ovulate cone'은 '암종구(種毬)', '자종구(雌種毬)', '자성종구(雌性種毬)'로 정리했으며, 나자식물에는 '꽃(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화수(花穗)', '화서(花序)' 등으로 부르는 'strobilus'는 '포자수(胞子穗)' 또는 '포자낭수(胞子囊穗)'로 정리했다. 생식구조와 관련이 없는 용어로 '구과식물(毬果植物)' 또는 심지어 '침엽수(針葉樹)'라고 부르는 'conifers(coniferous plants)'는 '종구식물(種毬植物)' 또는 '송백류(松栢類)'로 정리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rrect some inappropriate Korean gymnosperm terminologies. Rational Korean equivalents to some international terms are suggest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misleading words impling as if gymnosperm plants have flowers and/or fruits like angiosperm plants do as reproductive 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을 구분함에 있어서, 식물의 생물학적 또는 분류학적인 특징 보다는 목재시장에서 ‘상업적인 용이성’을 위해 사용하는 단어인 ‘softwood’와 ‘hardwood’의 한국어 용어를 보자.
  • 따라서 ‘cone’을 ‘종구(種毬)’라고 한 것처럼,‘conifer’를 한국어로 ‘종구식물(種毬植物)’ 또는 ‘송백류(松栢類; Coniferae L.)(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1997)’라고 부르길 제안하는 바이다.
  • 따라서 ‘coniferous forest’를 ‘침엽수림’(Lee et al., 2014;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1997)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종구식물숲’, ‘종구식물림’, ‘송백숲’ 또는 ‘송백림’으로 부르길 제안하는 바이다.
  • 즉, ‘包鱗(네이버 한자사전, 2017; http://hanja.naver.com/)’ 또는 ‘苞鱗(Lee, 2007; Park et al., 2010; 다음 국어사전, 2017; http://dic.daum.net/index.do?dic=kor)’으로 혼용하여 쓰는데, ‘포(苞)’자에서 ‘풀’ 또는 ‘식물’을 의미하는 초두머리(艹)가 ‘꽃(花)’과 관련된 용어로 주로 사용되므로, 단순하게 ‘包’로 써서 ‘包鱗(포린)’으로 쓰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최근에 나자식물에 대한 한국어 용어에 있어 잘못된 관행을 면밀하게 분석함(Lee, 2014)으로써 이에 대한 적절한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잘못된 한국어 용어의 혼란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바른 용어 제안은 없었기에 본 연구는 나자식물에 있어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잘못된 한국어 용어 특히 생식구조에 관한 용어를 바로 잡고 적절한 용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을 통한 제시를 통해 산림과학계에서 묵과해 온 오랫동안의 관행적 오류를 곧바로 고칠 수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하지만,이런 문제의 제기와 바른 용어의 제시는 꼭 필요한 시도라고 사료되며, 이를 통해 산림과학계의 전반에서 나자식물 용어의 바른 사용이 서서히 이뤄지길 고대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1. 나자식물(裸子植物)에는 꽃과 열매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자식물은 꽃이 없는 대신 어떠한 생식구조를 가지는가? 하지만 생식구조로서 꽃이 없는 나자식물은 수기관으로서 소포자낭수(小胞子囊穗; microsporangiate strobilus)를 갖는다. 이를 소포자수(小胞子穗)(Park et al.
나자식물의 한국어 용어가 바르지 않게 정착되어 발생한 문제는 무엇인가? 비전공자들은 물론이고 전공자들이 바르지 않은 용어를 사용한다거나 심지어 대학교 교육현장과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학교 교재에서도 이러한 오류는 흔하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자는 물론이고 피교육자들이 이러한 잘못된 용어 때문에 나자식물 용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해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겪어 왔다.
나자식물이 열매를 맺는 식물이라고 오인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나자식물의 한국어 용어를 보면 마치 나자식물이 피자식물과 마찬가지로 꽃피는 식물이라고 잘못 인식하는 오류를 범하고, 나아가 나자식물이 열매를 맺는 식물이라고 오인하게 해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현화식물(顯花植物,phanerogam)과 종자식물(種子植物, spermatophyte)이 같은 분류군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것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사료되며(Lee, 2014), 이로 인해 나자식물의 많은 한국어 용어가 바르지 않게 정착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비전공자들은 물론이고 전공자들이 바르지 않은 용어를 사용한다거나 심지어 대학교 교육현장과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학교 교재에서도 이러한 오류는 흔하게 찾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laby, M. 2012. A dictionary of Plant Sciences.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565. 

  2. Cronquist, A. 1982. Basic Botany. 2nd ed. Harper & Row Publ. pp. 662. 

  3. Hardin, J.W., Leopold, D.J. and White, F.M. 2001. Harlow & Harrar's Textbook of Dendrology. 9th ed. McGraw Hill. pp. 534. 

  4. Hwang, K.H., Park, J.S. and Park, M.J. 2011.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Coniferous Woods by Classification Leve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103. (in Korean) 

  5. Helms, J.A. 1998. The Dictionary of Forestry. The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 CABI Publishing. pp. 210. 

  6. Judd, W., Campbell, C., Kellogg, E., Stevens, P. and Donoghue, M. 2008.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Sinauer. pp. 611. 

  7. Kim, J.K. 1985. Studies on the rays of hardwoods in Korea. Dissertation (Ph.D.).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 Univ. pp. 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K.H., Aravanopoulos, F.A. and Zsuffa, L. 1995. Identification of Pinus L. Based on Pollen Morphology and Pollen Isozymes. Chonbuk Nat. Univ. Agr. Research Bulletin. 26: 1-16. 

  9. Koo, J.O., Yoon, S.L., Cho, S.T. and Jo, J.M. 1981. Pulping Characteristics of Mixed Hardwoods (IV) - Mixtures of young hardwoods, plywood waste, imported pulpwood and young softwoods. J. of Forest Science 28: 45-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and summary) 

  10. Kwon, O.K. 199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age analysis program for investigation of pore characteristics in transverse surface of hardwoods. Thesis (master). Graduate School of Seoul Nat. Univ. pp. 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J.W. 2016. A Korean Encyclopedia. Chaeg-i-iss-nunma-ul. pp. 304. (in Korean) 

  12. Lee, K.B. 2014. Analysis of the misguided practice of recognizing Gymnosperm as flowering plants. Korean J. Pl. Taxon. 44(4): 288-297. (in Korean) 

  13. Lee, K.J., Kang, J.H., Kwon, T.H., Kim, K.T. Kim, W.K., Kim, J.H., Park, S.J., Park, S.C., Son, Y.H., Shin, M.Y., Shin, W.S., Oh, C.H., Yoon, Y.S., Lee, W.S, Lee, J.S., Chang, S.S., Chang, J.S., Cheon, K.W., Cheon, Y.W., Cheong, J.S., Choi, Y.U., Choi, I.H. and Tepliakov, V.K. 2014. Introduction to Forest Science. Hyangmoonsa. pp. 461. (in Korean) 

  14. Lee, T.B. 2007. Textbook of Dendrology. Hyangmoonsa. pp. 331. (in Korean) 

  15. Lee, Y.H. 2017. The Final Report on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n Coniferous through Eco-friendly Reforming Processing (Forestry Technology R&D Report).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pp. 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Y.S. 2002. Modern Plant Taxonomy. 2nd ed. Wooseong. pp. 576. (in Korean) 

  17. Lee, W.Y. and Lee, S.J. 1996. Micromorphological structures of the vessel wall sculptures in Korean hardwoods. J.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4: 54-67. (in Korean) 

  18. Lim, K.B., Byeon, J.Y., Ha, S.Y. and Shin, H.D. 2000. Introduction to Botany. Hyangmoonsa. pp. 377. (in Korean) 

  19. Park, K.L., Lee, J.H., Lee, J.K., Kim, S.T., Lee, S.T., Kim, M.Y., Hong, S.P. and Jeong, Y.J. 2010.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Third Edition (Korean translation). Sinil Books. pp. 591. (in Korean) 

  20. Rost, T.L., Barbour, M.G., Stocking, C.R. and Murphy, T.M. 1998. Plant Biology. Wadsworth Publighing Co. pp. 537. 

  21. Song, U. 2017. Introduction to Dendrology. Chonbuk Nat. Univ. Press. pp. 429. (in Korean) 

  22. Song, U., Park, J. and Song, M. 2012. Pollen morphology of Pinus (Pinaceae) in northeast Chin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8(4): 179-186. 

  23.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1997. Iwanami's Dictionary of Biology (Korean translation). Academy Publ. Co. pp. 2068. (in Korean) 

  24. Winters, R.K. 1983. Terminology of Forest Science Technology and Products.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pp. 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