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돌프 로스와 안토니 가우디의 장식론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eory of Ornament of Adolf Loos and Antonio Gaudí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7 no.3 = no.128, 2018년, pp.41 - 48  

한상훈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장용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is a paper comparing Adolf Loos and Antoni Gaudí's 'theory of ornament', based on their text. Adolf Loos and Antoni Gaudí are architects who had worked from late 19c, just before advent of Modernism architecture, to early 20c. When 'ornament' had started to be excluded from a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는 장식의 전통적, 규범적 맥락을 배제하고 철저히 물리적인 형태와 신체에 입각한 시각의 관점에서 장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장식을 합리적으로 설명할만한 것으로 이해하기 위함이었다.20) 더하여 가우디는 지역적 여건으로 인해 많은 양식들-유럽 전통의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신고전주의 뿐만 아니라 무데하르, 아르누보, 자연주의 등을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규범적 차원이 아닌 감각적 차원으로 분석해 근대화된 합리적 장식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우디의 이러한 합리적 정신은 후기작품으로 갈수록 장식과 재료, 구조가 하나로 통합되는 일반 형태(la forma general21))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 가우디는 새로운 방법으로 장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는 장식의 전통적, 규범적 맥락을 배제하고 철저히 물리적인 형태와 신체에 입각한 시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 하우스에서는 가구나 내부 대리석 인테리어는 재료의 질감만으로 화려함을 표현하고 그 형태는 점점 단순함을 취하고 있다. 동시에 모든 수평재는 수직에 위에 받혀진 형식을 따르며, 이는 구조체에 해당하는 기둥과 보뿐만 아니라 실내의 문틀과 가구에도 적용되어 하중의 흐름을 명쾌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로스에게는 장식 재료에 있어서도 정직함이 중요했던 것이다.
  • 두 번째로, 가우디 중기의 대표작인 카사밀라를 보자. 카사밀라는 카탈루냐 지역 최초로 철강과 돌기둥을 이용한 도미노식 구조로 디자인되었다.
  • 또한 로스는 건축가가 건축물로 하여금 사람들로부터 특정한 정서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지도록 디자인해야 한다고 하였고, 이러한 정서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장식을 사용하였다. 로스는 건축물이 필요로 하는 정서에 대한 예를 들며, 법원은 부도덕한 자들에게 대해 위압감을, 은행은 고객들에게 대해 안전함을, 주택은 거주자에게 대해 평안함을 외관에서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 본 논문은 장식에 대해 반대의 입장을 지닐 것으로 여겨지는 두 건축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장식의 건축적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환기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들의 작품(그림 1)이나 앞서 역사가들의 평가에 비추어 보았을 때, 두 건축가는 장식에 대해 정반대의 입장을 취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실은 두 건축가의 장식론이 상당부분 유사한 점이 있다는 것을 그들의 텍스트와 작품을 분석해 밝히고자 한다.
  • 로스와 가우디는 장식에 ‘형식성’을 해체하고 ‘합리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장식에 대해 반대의 입장을 지닐 것으로 여겨지는 두 건축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장식의 건축적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환기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들의 작품(그림 1)이나 앞서 역사가들의 평가에 비추어 보았을 때, 두 건축가는 장식에 대해 정반대의 입장을 취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실은 두 건축가의 장식론이 상당부분 유사한 점이 있다는 것을 그들의 텍스트와 작품을 분석해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돌프 로스와 안토니 가우디의 장식론을 중심으로 두 건축가의 작품과 텍스트를 살펴보고 비교하였다. 단순히 반장식주의자와 장식주의자로 오해되어왔던 두 건축가가, 장식론에 있어서 개략적으로 많은 부분 일치된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내었고, 두 건축가의 작품이 표면적으로 대조적인 모습을 갖게 하는 몇 가지 세세한 차이점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현대 건축에서 장식이 치장(decoration)의 영역이 아닌, 보다 건축적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을, 역설적이게도 장식을 배제했던 모더니즘의 논리로 장식론을 펼쳤던 두 건축가를 통해서 보여준다
  • 우선, 가우디 초기의 대표작인 구엘 궁전을 살펴보자. 구엘 궁전의 기둥은 그 두꺼운 볼륨을 감추기 위해 세 개의 기둥으로 분리된 구조로 설계되었다.

가설 설정

  • 그는 사크레쾨르 성당이 무리하게 과거의 양식을 채용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미완의 건물’이 되어버렸다고 말한다.22) 실제로 가우디의 작품에는 장식이 절제된 공간이 많다. 테레사 수녀원 건물이나 카사 바트요(Casa Batlo)의 복도에 늘어선 열주는 구조체의 형태만이 존재한다.
  • 그리고 단순하고 좋은 구조를 가진 형태는 자연스럽게 그 자체로 하나의 장식이 된다고 생각하였다.27) 과학적이고 단순한 구조로 얻어낸 형태는 그 자체로 특정 성격과 고유성을 지닌 장식이 된다는 것이다. 가우디가 설계한 성가족 성당의 기둥은 시공의 편의와 구조적 명쾌함을 반영하여 디자인되었다.
  • 하지만 아르누보적 표현에 심취했던 그들의 건축은 화려한 조형디자인에만 치중했고, 로스는 이를 실생활과 동떨어진 미적 허식이라 비판하게 된다.7) 로스의 이러한 비판은 미국에서 접했던 실용주의, 합리주의 정신에 입각하고 있다. 더 나아가 로스는 이러한 합리주의 정신을 발전시켜, 건축에 있어서 있는 그대로의 재질이나 형태를 정직하고 명료하게 드러내는 순수형태를 추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토니 가우디란 누구인가? 안토니 가우디(1852-1926)는 스페인 카탈로니아 지방의 레우스에서 태어나 바르셀로나에서 활동한 건축가이다. 그는 바르셀로나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1978년부터 1926년 사망할 때까지 건축가로 활동하였다.
로스가 말하는 장식론이란 무엇인가? 로스는 예술의 영역에서의 장식을 사람 개개인의 단독성을 드러내는 사적인 요소로 보았다. 따라서 예술적 장식에서는 건축가나 디자이너가 일방적으로 장식을 계획하는 것을 독재로 여기고 반대하였으며, 건축물을 사용하는 ‘각자가 자기 집의 장식가가 되어야 한다.10)’라고 하였다.
가우디의 합리적 정신은 후기작품으로 갈수록 어떤 경향을 나타내는가? 20) 더하여 가우디는 지역적 여건으로 인해 많은 양식들-유럽 전통의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신고전주의 뿐만 아니라 무데하르, 아르누보, 자연주의 등을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규범적 차원이 아닌 감각적 차원으로 분석해 근대화된 합리적 장식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우디의 이러한 합리적 정신은 후기작품으로 갈수록 장식과 재료, 구조가 하나로 통합되는 일반 형태(la forma general21))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Gaudi, A, 장식(이병기 옮김), 서울:아키트윈스, 2014 

  2. Le Corbusier, 오늘날의 장식예술(이관석 옮김), 파주:동녘, 2007 

  3. Loos, A, 아돌프 로스의 건축예술(오공훈 옮김), 파주:안그라픽스, 2013 

  4. Loos, A, 장식과 범죄(현미정 옮김), 서울:소오건축, 2006 

  5. Masheck. J, Adolf Loos the Art of Architecture, I.B.Tauris, 2013 

  6. Rafael Moneo J, 건축; 형태를 말하다(이병기 옮김), 서울:아키트윈스, 2013 

  7. Rafols, J. F. and Folguera, F, Gaudi 1928(이병기 옮김), 서울: 아키트윈스, 2015 

  8. William J. R. Curtis, Modern Architecture Since 1900(강병근 옮김), 서울:희영사, 2006 

  9. Klassen W, 서양건축사(심우갑.조희철옮김), 서울:대우출판사, 1980 

  10. 김승제, 박열, 근대건축의 흐름, 서울:기문당,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