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공유공간 연구의 흐름에 관한 연구 -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Trend of Common Space in Multi-unit Dwelling Through Domestic Research - Focused on the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7 no.3 = no.128, 2018년, pp.126 - 135  

이학성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안소미 (백석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1960s,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created the social atmosphere of individualism in Korea. Individualism has weakened social ties, led to the breakdown of communities, and caused various social problems. So, the paradigm is shifting to a shared society and there are moves to s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공동체 와해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공동주택 공유공간의 가치와 중요성에 따라, 학계에서 축적되어 온 지식의 현황을 파악하여 추후진행될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제공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통해 보았을 때, 이후의 공동주택 공유공간관련 연구를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유공간 관련 선행연구를 면밀히 살펴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종합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이는 사회문제 해결 방안의 일환으로 제시되고 있는 공유공간이 그 역할과 발전의 과도기에 놓여 있는 시점에 있어, 더욱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공유공간 관련 국내 선행연구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유공간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후속 연구를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며, 이는 새로운 공유공간을 모색함에 있어 시행착오를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그러나 현재 공유공간은 그 개념이 아직 분명하지 않고, 관련 법제도도 미미하여 발전하고 있는 단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5). 이에 본 연구는 학계에서 진행된 연구의 흐름을 통해 공동주택 공유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를 진단해 이후의 공유공간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배경적지식 축적의 차원에서 간략히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으로써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유공간을 활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의 일환으로 한국의 대표적 주거형태인 공동주택 내 공유공간의 가치와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공유공간은 공동주택 거주자들 간 사회적 교류의 기회를 높이고, 나아가 사회 전반의 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서울시에서는 2013년 말부터 ‘공동체주택·사회주택’을 명칭으로 한 공동주택 관련 정책을 제시해오고 있다.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현상을 해결하고자 주거의 양적 공급을 강조한 고밀도 주거형태를 다량으로 제공한 결과 어떠한 문제를 초래하였는가? 한국은 1960년대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현상을 해결하고자 주거의 양적 공급을 강조한 고밀도 주거형태를 다량으로 제공하였다. 이는 1980년대에 이르러 주거환경의 획일화, 폐쇄적인 특성으로 거주민들 간 교류 상실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기 시작했다6). 1990년대에는 아파트건축이 활기를 띄어7)8), 본격적인 질적 개선을 위한 정책전환기를 맞았다9).
공유공간의 현재 상황은 어떠한가?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유공간에 대한 관심이 공동체주택 관련 정책으로 도입되기까지 국내 학계에서는 공동주택 공유공간에 관한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는 공유공간과 함께 관련 연구주제도 발전해왔다. 그러나 현재 공유공간은 그 개념이 아직 분명하지 않고, 관련 법제도도 미미하여 발전하고 있는 단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5).이에 본 연구는 학계에서 진행된 연구의 흐름을 통해 공동주택 공유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를 진단해 이후의 공유공간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대한주택공사, 대한주택공사 30년사, 대한주택공사, 1992 

  2. 주거학연구회,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2005 

  3. 한국성인교육학회, 교육평가 용어사전, 학지사, 서울, 1998 

  4. Altman, Irwin,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y, and Crowding, Wadsworth Pub. Co., USA, 1975 

  5. Newman, Oscar, Creating Defensible Space, DIANE Publishing, USA, 1997 

  6. 김미희, 문희정,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용공간에 대한 연구, 대한주거학회논문집, 8(3), 1997 

  7. 김우성, 심재현, 박승, 초고층 주거 복합 건축물의 사례에서 나타난 공용시설의 현황과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1(12), 2005 

  8. 류현주, 양세화, 노인주거 연구 경향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5), 2010 

  9. 박재현, 이연숙, 안소미, 최근 지원주택 연구의 흐름과 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2), 2017 

  10. 박정은, 이효원,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6), 2010 

  11. 박지선, 이연숙, 장미선, 주택개조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경향,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6(1), 2017 

  12. 변은영, 김주연, 하은경, 소통하는 주거공간 디자인을 위한 경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7권, 3호, 통권 21호, 2012 

  13. 서귀숙, 도시 집합주택 공용공간의 구성형태와 활성화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19(12), 2003 

  14. 서수정, 백혜선, 공동주택단지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0(11), 2004 

  15. 서희숙, 아파트 주동 공용공간 구성요소의 선호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3), 2011 

  16. 오정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및 향후 과제, 한국지적학회지, 제33권, 제2호, 2017 

  17. 우소연,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2), 2013 

  18. 이남식, 서귀숙, 1960-2007년 수도권 아파트단지의 공동생활공간 변화 과정,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3), 2008 

  19. 정헌목,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 수도권 브랜드 단지에서의 공동체 형성의 조건과 실천, 비교문화연구, 22(1), 2016 

  20. 조성희, 강혜경, 아파트 공유공간에 대한 거주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9(3), 1998 

  21. 조성희, 강혜경, 아파트 단지내 공동생활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1), 2004 

  22. 주서령, 박연심, 장성수, 박경옥, 공동주택 커뮤니티 센터의 공간프로그램 개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3(3), 2002 

  23. 최병두, 도시공동체를 위한 아파트 단지 공유공간의 활성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8권, 3호, 2005 

  24. 최인영, 생활공간적 측면의 아파트 공용공간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9(12), 2013 

  25. 최혜진,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8 

  26. 황미영, 공유문화의 장으로서의 도서관 공간의 설계요소 및 인프라 체계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2), 2018 

  27. 남원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의 현황과 과제, 건축 60(6), 2016 

  28. 최병두,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 공동체운동, 도시연구 6(0), 2000 

  29. CERIK, 건설동향브리핑 295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 브리핑 2011-1,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