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에 있어서 과학수업 활동과 학습동기의 역할 -경로모형의 검증-
The Roles of Science Classroom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n Achieving Scientific Competencies: A Test of Path Mode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3, 2018년, pp.407 - 417  

임효진 (서울교육대학교) ,  장진아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송진웅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 국내외에서 강조되면서, 과학 교과에서도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 획득에 있어서 학교 과학수업 활동과 학생의 학습동기가 갖는 역할을 분석하고, 과학적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과학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PISA 2015 결과 자료를 토대로 학교과학수업에서의 교수학습 활동이 학생의 학습동기 변수들을 매개로하여 과학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경로 분석 결과,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이 강조된 활동과 실생활연계가 강조된 활동은 내재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과학효능감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학생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탐구활동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과학에 대한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과학적 역량의 세 영역인 '현상에 대해 설명하기', '과학탐구 과정을 평가하고 설계하기', '증거와 자료를 과학적으로 해석하기' 영역들의 점수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 과학수업의 실행은 학습동기를 통해 과학적 역량 획득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상호작용이 강조된 활동은 내재적 동기를 통해서, 실생활과 연계된 수업 활동은 모든 학습동기 변수들을 통해서 성취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이 학생의 과학적 역량 신장을 위한 학교 과학수업의 설계와 역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s of classroom activities in science lessons and student learning motivation in achieving students' scientific competenc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cience lessons to develop scientific competencies. For this, based on the PISA 2015 data of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ISA에서 상호작용 활동과 관련한 특성은 ‘학생들 에게 과학적 질문에 대해 논의하도록 한다.
  • PISA에서는 과학적 역량과 관련된 요인들로서 과학에 대한 지식 (내용, 절차, 인식론 등)과 태도(흥미, 가치, 환경인식 등)를 들고 있다 (OECD, 2017). 본 연구에서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도 과학에 대해 학생들이 지닌 학습동기와 학교 과학수업을 통해 제공되는 교수학습 활동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먼저, 과학적 역량과 과학수업 활동, 그리고 학생의 학습동기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분석을 위해 위의 수업 활동들을 각각의 요인(factor)으로 간주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지표(문항) 수는 최소한 2개로, 3개 이상이 되면 더 좋다고 보고된 바 있다(Kenny, 1979; Kline, 2011). 본 연구에서는 요인점수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문항들의 평균 통합점수(composite score)를 분석에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활동별로 신뢰도(Cronbach’s alpha)를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활동=.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과학적 역량 획득에 있어서 학교 과학수업 활동과 학생들이 지닌 학습동기의 영향을 탐색 하기 위하여, PISA 2015 결과 자료를 중심으로 관련 변수들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행하였다. 특히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수업 활동들을 ‘상호작용이 강조된 과학수업(상호작용)’, ‘학생의 주도적인 탐구 가 강조된 과학수업(학생주도탐구)’, ‘실생활연계 활동이 강조된 과학 수업(실생활연계)’을 중심으로 유형화하고, 각 과학수업 활동에 따라 학습동기 및 과학적 역량의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이에 더하여 한 교과 내에서도 학습동기를 통해 나타나는 특성과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셋째, 과학수업 활동이 과학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과학적 역량 획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역량 획득과 관련 변수들에 대해 조사한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5 자료를 토대로, 학교 과학수업 활동과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 획득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과학에 대한 태도나 흥미와 같은 과학 학습동기가 과학적 역량 형성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고려하여(Tsai, 2015), 학교 과학수업 활동의 특징이 학생의 과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 획득에 주는 예측력을 분석하고,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을 기르기 위한 과학수업 설계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역량 획득과 관련 변수들에 대해 조사한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5 자료를 토대로, 학교 과학수업 활동과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 획득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과학에 대한 태도나 흥미와 같은 과학 학습동기가 과학적 역량 형성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고려하여(Tsai, 2015), 학교 과학수업 활동의 특징이 학생의 과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 획득에 주는 예측력을 분석하고,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을 기르기 위한 과학수업 설계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Table 1에도 나와있듯이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학적 역량의 하위 요소로서 의사 소통 능력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과학적 역량의 수준과 단계에 구분을 둔다. 가령, 뉴질랜드 교육과정에서는 학년에 따라 학생들이 성취해야할 과학적 역량의 수준을 제시하였다(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설명한 3가지 관심 요인과 각 변수별 하위 요인들을 토대로,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투입(input)-과정 (process)-산출(output)의 관계를 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과학수업에서의 활동들은 학생들이 가지게 되는 정의적, 동기적인 과정을 거쳐 과학적 역량을 예측하는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하면 Figur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 역량이란? , 2010). 핵심 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으로서(Hipkins, 2006; Rychen & Salganik, 2000), 이에 근거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이러한 역량을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조화를 시도하였으며(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013),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6가지 핵심 역량(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한 바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6가지 핵심 역량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핵심 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으로서(Hipkins, 2006; Rychen & Salganik, 2000), 이에 근거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이러한 역량을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조화를 시도하였으며(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013),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6가지 핵심 역량(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한 바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과학적 역량은 삶과 연관된 과학적 사고, 행동을 하는 범주를 포함하는데, 그 예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기존 역량과 관련된 논의들이 공통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서 요구되는 포괄적인 능력을 강조하고 있으므로(Rychen & Salganik, 2000), 과학적 역량 역시 삶의 여러 맥락에서 과학을 통해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범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교과에 특화된 포괄적인 역량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을 핵심 역량으로 제시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e et al., J., Kim, J., Kim, E., & So, K. H. (2015). The effect of elementar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4), 476-485. 

  2.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3. Bybee, R. W., & DeBoer, G. (1994). Research on the goals for science education.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pp. 357-387). New York, NY: Macmillan. 

  4. Cho, J. M., Ok, H. J., Lee, S. H., Lim, H. J., Cha, S. H., Kim, D. W., Lim, J. K., & Son, S. K.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education policy-based on the results of PISA. Korea Instu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CRE 2012_1. 

  5. Dierks, P. O., Hoffler, T. N., Blankenburg, J. S., Peters, H., & Parchmann, I. (2016). Interest in science: A RIASEC-based analysis of students’ interes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2), 238-258. 

  6. Duschl, R. A., & Grandy, R. E. (2008). Reconsidering the character and role of inquiry in school science: Framing the debates. In R. A. Duschl & R. E. Grandy (Eds.),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pp. 1-37). Rotterdam: Sense Publishers. 

  7. Evans, R. (2015). Self-efficacy in learning science. In R. Gunstone (Ed.), Encyclopedia of Science Education (pp. 961-964). Dordrecht: Springer. 

  8. Gardner, R. C. (1983). Learning another language: A true social psychological experiment.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2(2-3-4), 219-239. 

  9. Gibson, H. L., & Chase, C. (2002). Longitudinal impact of an inquiry­based science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Science Education, 86(5), 693-705. 

  10. Guzeller, C. O., Eser, M. T., & Aksu, G. (2016).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urkish students according to data from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12(2), 78-88. 

  11. Hacieminoglu, E. (20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nd related vari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11(2), 35-52. 

  12. Hipkins, R. (2006). The n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A background paper. Wellington: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3. House, J. D. (2011). Effects of computer activities and classroom instructional strategies on science achievement of eighth-grad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Results from the TIMSS 2007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38, 197-208. 

  14. Hudson, P. T. W., Parker, D., Lawton, R., Verschuur, W. L. G., Van der Graaf, G. C., & Kalff, J. (2000, January). The hearts and minds project: Creating intrinsic motivation for HSE. Paper presented in SP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in Oil and Gas Exploration and Production. Stavanger, Norway: Society of Petroleum Engineers. 

  15. Jo, S. (2011).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6). 958-969. 

  16. Kenny, D. A. (1979). Correlation and causality. New York, NY: Wiley. 

  17. Kim, J-Y., Seong, S-K., P, J-Y., Choi, B-S. (2002).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757-767. 

  18.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19. Koh, E. J., & Jeong, D. H. (2014).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35-547. 

  20. Kobarg, M., Prenzel, M., Seidel, T., Walker, M., McCrae, B., Cresswell, J., & Wittwer, J. (2011).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urther results from PISA 2006. Munster: Waxmann Verlag. 

  21. Krapp, A., & Prenzel, M. (2011). Research on interest in science: Theories, methods, and find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 27-50. 

  22. Kwak, Y. (2012).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55-865. 

  23. Kwak, Y. (2017). Exploration of features of Korean eigh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35-142. 

  24. Lau, K. C., Ho, E. S. C., & Lam, T. Y. P. (2015). Effective classroom pedagogy and beyond for promoting scientific literacy: Is there an East Asian model?. In M. S. Khine (Ed.), Science Education in East Asia (pp. 13-40). Cham: Springer. 

  25. Lee, H., Choi, Y., & Ko, Y. (2015).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s citize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31-442. 

  26. Lim, Y. N. (2014). The trends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 Science and its correlation and effect on their science achievement: Utilizing the results of TIMSS 2003, 2007 and 2011.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6), 1-21. 

  27. Lim, H. J., & Lee, J-E. (2016).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on teachers’ teach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6), 71-95. 

  28. Lin, H. S., Lawrenz, F., Lin, S. F., & Hong, Z. R. (2013). Relationships among affective factors and preferred engagement in science-related activities. Understanding of Science, 22, 941-954. 

  29.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30. Mohammadpour, E., Shekarchizadeh, A., & Kalantarrashidi, S. A. (2015). Multilevel modeling of science achievement in the TIMSS participating countri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8, 449-464. 

  31. Murphy, K. R., & Davidshofer, C. O. (1994).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3.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New Zealand primary and secondary (Level 1-8) curriculum. Wellington: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34.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Paris: OECD Publishing. 

  35. OECD (2017).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Science, reading, mathematic, financial liter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aris: OECD Publishing. 

  36. Palmer, D. (2007). What is the best way to motivate students in science?. Teaching Science: The Journal of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53(1). 38-42. 

  37. Park, H-J. (2008). Test of group invariance for the structural model among motivation, self-concept and student achievement: Using PISA 2006 dat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3), 43-67. 

  38. Pekrun, R., Goetz, T., Titz, W., & Perry, R. P. (2002).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91-105. 

  39.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40.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2004). The national curriculum: Handbook for secondary teachers in England.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41. Ratelle, C. F., Guay, F., Vallerand, R. J., Larose, S., & Senecal, C. (2007). Autonomous, controlled, and amotivated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A person-oriented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4), 734-746. 

  42. Rychen, D. S., & Salganik, L. H. (2000).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Paper presented in the Fourth General Assembly of the OCDE Education Indicators Programme (pp. 61-73). Paris: OCDE. 

  43.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013). Science Syllabus Primary 2014. Singapore: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44. So, K.-H., Lee, S.-E., Lee, J.-H., & Heo, H.-I. (2010). Review on curriculum reform in the New Zealand: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0(2), 27-50. 

  45. Sohn, W., & Park, C. (2017).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PISA 2015 data of Korea and Singapor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1(6), 698-707. 

  46. Song, J. (2013). The disparity between achievement and engagement in students' science learning: A case of East-Asian regions. In C. Deborah, R. Gunstone, A. Jones (Eds.), Valuing Assessment in Science Education: Pedagogy, Curriculum, Policy (pp. 285-306). Dordrecht: Springer. 

  47. Stuckey, M., Hofstein, A., Mamlok-Naaman, R., & Eilks, I. (2013). The meaning of ‘relevance’ in science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cience curriculum.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9(1), 1-34. 

  48. Tsai, C. Y. (2015). Improving students’ PISA scientific competencies through online argu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321-339. 

  49. Wolf, S. J., & Fraser, B. J. (2008). Learning environment, attitudes and achievement among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using inquiry-based laboratory activit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321-341. 

  50. Woo, Y., & Kim, S. (2015).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motiva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Domain comparison between mathematics and English. The Korean Journal of Eductional Methodology Studies, 27(2), 253-273. 

  51. Yoon, M-S., & Kim, S-I. (2003). A study on constructs of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271-290. 

  52. Yu, H. (2017). Motivation behind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s and establishment of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26(105), 353-36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