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Class Using Data Measured with Digital Inquiry Tool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205 - 213  

정은주 (선학초등학교) ,  손정우 (경상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S시의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실험집단, 3개 학급을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하였고, 실험집단은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을 하였다. 수업 후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환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scientific inquiry class using data measured with digital inquiry tools. To this end, three classes of 5th grade el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인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과학 수업에서 함양하는 방안으로 과학 탐구 과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을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과학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역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2가지 역량에 관해서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탐구 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이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S시의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실험집단, 3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정보처리역량은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에서 데이터는 물질을 대체할 서비스 경제의 필수 자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NIA,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했는데 그 중 지식정보처리역량은 과학 교과와 관련성이 높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지식정보처리역량은 학습과 삶에서 마주하는 문제에 대해 적절한 매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처리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 인식, 해결방안 탐색, 해결방안 실행 및 평가, 매체 활용 능력 등이 있다(MOE, 2015).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한 6가지 핵심역량 중 과학 교과와 관련성이 높은 것은 무엇인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지능정보통신기술은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사회 전반에 걸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MOE, 2016). 이러한 사회에서 데이터는 물질을 대체할 서비스 경제의 필수 자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NIA,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했는데 그 중 지식정보처리역량은 과학 교과와 관련성이 높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지식정보처리역량은 학습과 삶에서 마주하는 문제에 대해 적절한 매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처리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수업 후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eong, E., & Son, J. (2019).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2), 227-238. 

  2. Jeong, E., & Son, J. (2020). Scientific inquiry activit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ele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4(1), 84-91. 

  3. Kwon, J. (2017a).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for improving character competence in science education(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4. Kwon, S. (2017b).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ICT utiliza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3(1), 1-27. 

  5. Lee, G., Park, I., & Ju, E. (2019). Exploring classroom culture for improving children 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3), 708-734. 

  6. Lee, H. (2019). The effects of STEAM program utilizing data visualization tools on elementary students' ability to process knowledge information,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technology(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7. Lee, J. (2019).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spplication to iibrary information d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1), 159-179. 

  8. Lim, C., Lee, E., Kim J., & Kim, N. (2007). An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s and its effects according to levels of inquiry requir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Biology Education, 35(4), 704-719. 

  9.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Sejong: Author. 

  10.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6).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mid-long term education policy and strategy.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 

  11. Ministry of Education [MOE]. (2020). The 4th science education master plan.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 

  1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8). Transition of data sovereignty and data use paradigm(IT&Future Strategy Report).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13. Son, M., Jeong, D., & Son, J. (2018).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in 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3), 441-449. 

  14. Son, M., & Jeong, D. (2018). A stud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5), 693-703. 

  15. Suh, W. (2019). Development and applying of data-related competency for computational think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Information Education, 23(2), 131-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