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in 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3, 2018년, pp.441 - 449  

손미현 (서울대학교) ,  정대홍 (서울대학교) ,  손정우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역량 중 하나이며 과학교육과도 매우 연관성이 깊은 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를 찾아보고 중학생들이 이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정의에서 공통된 요소인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활용의 세 가지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 8명의 탐구활동을 5개월간 참여관찰 하여 자료(면담 및 관찰 전사본, 탐구 보고서, 탐구일지, 현장 노트 등)를 수집하였고,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지시정보처리역량 요소와 관련된 어려움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수집 요소는 탐구를 진행하는 내내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정보 분석 요소는 가설설정 단계와 탐구 결과 분석 단계,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정보 활용 요소는 탐구 보고서 작성 및 공유를 위한 포스터 제작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겪은 어려움으로는 정보 수집에서는 정보 수집의 확실성, 체계적인 검색 전략, 정보의 신뢰성 등을 확보하지 못한 점에서 나타났다. 정보 분석에서 겪는 어려움은 분석 프로그램의 사용, 정보 변환, 연계 정보의 해석 등의 미숙함에서 나타났다. 정보 활용에서 겪는 어려움은 정보의 조직화, 효과적 표현 능력의 부족함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식정보처리역량이 과학교육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 그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is one of the essential competencies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ich is high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in view of the know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학생들은 변인의 단위, 스케일, 변화 폭등을 고려하여 그래프를 그리는데 매우 어려움을 겪었다. x, y축에 어떤 변인을 설정할지, 다양한 변인들을 나타내기 위해 y축의 스케일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고민하였다. 게다가 다양한 변인의 연관성을 쉽게 추측하기 위해서 형태적 유사성을 보려고 하나의 그래프에 2개의 변인을 함께 그렸는데(Fig.
  • 또한 과학교사가 탐구 과정을 통해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함양하고자 할 경우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도움을 받을수 있는 자료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 과정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제시하고,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으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역량 중 하나이며 과학교육과도 매우 연관성이 깊은 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를 찾아보고 중학생들이 이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정의에서 공통된 요소인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활용의 세 가지 요소를 추출하였다.
  •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탐구 주제는 ‘교실 공기의 질과 환기와의 연관성’에 관한 것으로 미세 먼지가 심한 날 창문을 이용한 환기를 금지할 때 교실의 공기의 질을 분석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환기 안내지침을 만드는 것이 탐구의 목표 이다.
  • 정보 수집 요소는 탐구를 진행하는 내내 관찰할 수 있었다. 탐구 문제를 선정하기 위해 미세먼지와 관련된 신문기사나 미세먼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등을 인터넷을 이용해 검색하고 찾아온 정보를 공유 하며 가설을 구체화하려고 하였다. 가설 설정 단계에서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측정 기계가 갖는 장점과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A: 그냥 아무거나 클릭해봐.
  • A: 습도는 앞에는 반대로 벌어지는데 뒷 부분은 관련이 없는거 같은데?
  • A: 애들이 가만히 두지도 않을 것 같아요. 옆에서 계속 있을 것 같고 B: 그런데 어차피 미세먼지, 창문을 열었을 때랑 닫았을 때, 시간표 같이 실제 상황을 다 고려해서 데이터 분석할거잖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구에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일상생활과 관련 있는 ‘탐구’의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인지능력 부족, 탐구 능력 부족, 보고서 작성법 교육의 부재,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의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탐구’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Lee, Lee, & park, 2010; Kim, Bae, & Kim, 2002; Jung & Shin, 2015). 학생들이 탐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탐구능력, 인지능력’ 등 전체적 관점에서 살펴보거나, ‘그래프 해석, 그래프 그리기, 보고서 작성하기’ 등 탐구 과정의 부분적 요소와 ‘친구 관계, 열정 부족’ 등 심리적 요소에서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에 의하면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여기서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학습과 삶 등에서 직면 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평가, 선택하고, 적절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식과 정보와 자료를 효과 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한다.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에 의하면 이 역량은 단순히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는 능력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다루는 것을 포함하므로 문제 해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문제 인식, 지식정보의 수집⋅분석⋅활용 등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의 탐색, 해결 방안의 실행 및 평가, 매체 활용 능력 등이 포함된다 (Han, & Lee, 2015). 여기서 ‘지식정보’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다루는 것을 포함하며, ‘처리’는 모든 자료를 수집 분석 평가 선택하여 활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AASL & AECT, 1998).
지식정보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에 의하면 이 역량은 단순히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는 능력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다루는 것을 포함하므로 문제 해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문제 인식, 지식정보의 수집⋅분석⋅활용 등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의 탐색, 해결 방안의 실행 및 평가, 매체 활용 능력 등이 포함된다 (Han, & Lee, 2015). 여기서 ‘지식정보’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다루는 것을 포함하며, ‘처리’는 모든 자료를 수집 분석 평가 선택하여 활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AASL & AECT, 1998). 따라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이란 적절한 매체를 사용하여, 문제를 발견하여 중요성을 인식하며 이에 관한 지식정보의 수집, 분석, 활용을 통해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실행하고 평가 및 피드백 하는 능력으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매우 중요한 역량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 Bae, K. (2014). A Study on the Relevance Judgement of College Students in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189-206. 

  3. Baek S., Yoon, S., Shin, A., Son, J., & Kim, Y. (2107). The Development and the Validation of Six Core Competencies Measurement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30(3), 363-395. 

  4. Bawden, D. (2001).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review of concepts. Journal of documentation, 57(2), 218-259. 

  5. Beck, I. L. (1989), Reading and reasoning. The Reading Teacher, 42(9), 676-682. 

  6. Bernier, A. (2007). Introduction: "Not broken by someone else's schedule: On joy and young adult information seeking", Mary Chelton & Colleen Cool (Eds). You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7. Choi, C., & Lee, S. (2016)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Experiments and Instru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Chemistry Experiments in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0(4), 267-275. 

  8. Coiro, J. (2003). Exploring literacy on the internet: reading comprehension on the internet: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reading comprehension to encompass new literacies, The Reading Teacher, 56(5), 458-464. 

  9. Erstad, O. (2010).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roject. Nordic Journal of Digital Literacy, 4(03-04), 204-211. 

  10. Han, H., Kim, Y., & Lee, J. (2016). A Study of the Arguments Related to General Capacities as an Educational Aim: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y and Subject Competency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4(2), 1-18. 

  11. Jang, S., Lee, J., & Lee, K. (2008). Study of Representation Methodology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Knowledge Visualization.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2008(2), 1242-1248. 

  12. Jung, C., & Shin, D. (2015). The Learning Experience of 7th Graders on NOS (Nature of Science) as a Process in Research-Bas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629-648. 

  13. Kang, J., & Ok, S. (2014). Analysis of Graph Type and Its Utilization Cover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cused on 7th Gra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1), 53-65. 

  14. Kim, D., Park, K., & Park, M. (2015). 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7(1), 99-118. 

  15. Kim, G. (2015). Representation methods of Information Design based on the process of sales for Insurance Application in Smartpad.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6(1), 59-72. 

  16. Kim K,. (2012).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less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key competencies: problem-solving based on empathic activity. Social studies education, 51(3), 87-101. 

  17. Kim, T., Bae, D., & Kim, B. (2002).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725-739. 

  18. Korpan, C. A., Bisanz, G. L., Bisanz, J., & Henderson, J. M. (1997). Assessing literacy in science: Evaluation of scientific news briefs. Science Education, 81(5), 515-532. 

  19. Lee, H (2004). Study of Contents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with Delphi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303-322. 

  20. Lee, G., & Yoo, M.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stat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revised in 2009 and 2015 in terms of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Studies. 8(1), 51-73. 

  21. Lee, I. (2010). A Study of Engineering Experimental Report for Effective Technical Writ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40, 551-578. 

  22. Lee, J. (2004). A Study on Information Organization Methods for Digital Library Focused on Administrative Metadat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1), 319-335. 

  23. Lee, J., Lee, K., & Park, Y. (2010).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4), 378-391. 

  24. Lee, J., Kim, E., & Kim, D. (2017).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Revised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cience in 2015.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2), 1-25. 

  25. Lee, K., Baek, K., & Lee, S. (2017). Key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the Educated Person, Educational Goals, and Subject Competenc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2), 67-94. 

  26. Lee, K. Kawk, Y., Lee, S. & Choi, J. (2017).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Seoul; Jinhan M&B. 

  27. Lee, S., Kim, J., & Lee, W. (2013). Computer-Aided Education : Analysis of ICT literacy leve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kill se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2), 69-78. 

  28. Lim, S., & Lee, H. (2008). A study on the educa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of childre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1(3), 145-168. 

  29. Lim, Y., & Jang, S. (2016).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 749-771. 

  30. Macpherson, K. (2004). Undergraduate information literacy: A teaching framework.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35(3), 226-241. 

  31. McDonough, A. M. (1963). Information economics and management systems. Washington, D.C: AGRIS. 

  32.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a). An announce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Education, 2015.9.23. 

  33.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b).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34. Oh, B., & Kang, S. (2008). Textbook of information design. ahn graphics. 

  35. Pang, J., Yoo, E., & Kim, Y. (2016). An Analysis of Statistics Strand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Resources : Focused on the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16(3), 499-519. 

  36. Park, J. (2010). Vision for the future education syste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7. Roth, W-M., & Lee, S. (2002). Scientific literacy as collective praxi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1, 33-56. 

  38. Song, S. & Shim, K. (2012). Study on Perception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bout Composing Laboratory Reports by Grad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303-312. 

  39. Tyner, K. (2014). Literacy in a digital worl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Routledge. 

  40. Vibert, N., Ros, C., Bigot, L. L., Ramond, M., Gatefin, J., & Rouet, J. F. (2009). Effects of domain knowledge on reference search with the PubMed database: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7), 1423-1447. 

  41. Wallace, C. S., Hand, B., & Prain, V. (2004).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Netherland: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 Wurman, R. S. (2001). Information anxiety (No. 302.234 WUR. CIMMYT.). 

  43. Xiao, C. (2013). Exploring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used by Proficient Korean Readers.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95, 127-1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