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과학탐구연구에서 나타난 어려움 탐색
Exploring the Difficulti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lf-Directed Scientific Inquir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6, 2019년, pp.707 - 715  

김가형 (이화여자대학교) ,  하민수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들의 과학핵심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탐구는 중요한 교수학습법이다. 학생들은 탐구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때로는 원하는 결과물을 산출하지 못하거나, 예상했던 것에 비하여 의미 없는 탐구를 수행하는 등의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과학탐구에서의 어려움과 실패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중점 고등학교에서 과제연구의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중심으로 한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질적 자료 분석은 면담 원자료로부터 참여자들이 경험한 어려움과 실패 상황과 그 원인이 드러낼 수 있는 문단을 찾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실패 원인은 능력 부족, 불완전한 절차, 어려운 과제의 선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과잉확신, 계획오류, 집단사고 등 다양한 인지편향도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학생들이 자기주도 탐구에서 논리적, 반성적, 합리적 문제해결 역량을 발휘하여 실패와 시행착오의 단계를 최대한 줄이도록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lf-directed inquiry to improve students' core scientific competency is an important teaching method. Students experience a variety of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ir inquiry tasks, sometimes fail to produce the desired results, or fail to perform a meaningless inquiry. This study was conduc...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넛지이론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예를 들어서 앞서 설명한 넛지 이론이다. 넛지이론의 철학은 ‘자유주의적 개입주의’로서 인간의 선택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그들이 실패하지 않고 긍정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은연중에 도와주는 작은 형태의 개입이다(Thaler & Sunstein, 2008). 과학적 활동은 끊임없는 의사결정 연속으로, 인간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인지편향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일부는 좋지 않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Kahneman, 2013).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의 핵심은 무엇인가?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생들의 역량 신장이다. 특히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의 5가지 핵심역량을 강조하였다.
자기주도탐구에서 학생들이 얻는 이점은 무엇인가? 학생주도형, 즉 자기주도탐구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문제를 생성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 뒤, 실험을 설계하여 새로운 지식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추론, 탐구, 문제해결, 의사소통 등 다양한 경험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과학적 역량을 형성할 수 있다. 최근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탐구를 강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ehler, R., Griffin, D., & Ross, M. (1994). Exploring the "planning fallacy": Why people underestimate their task completion ti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3), 366-381. 

  2. Domin, D. S. (1999). A review of laboratory instruction styl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4), 543. 

  3. Edmondson, A. C. (2011). Strategies for learning from failure. Harvard Business Review, 89(4), 48-55. 

  4. Granger, E. M., Bevis, T. H., Saka, Y., Southerland, S. A., Sampson, V., & Tate, R. L. (2012). The efficacy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in supporting science learning. Science, 338(6103), 105-108. 

  5. Guba, E. G., & Lincoln, Y. S.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105-117). Thousand Oaks, CA: Sage. 

  6. Ha, M. (2016). Exploring cognitive biases limiting rational problem solving and debiasing methods using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6), 935-946. 

  7. Huberman, A. M., & Miles, M. B. (1994).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428-444).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8. Janis, I. L. (1972). Victims of groupthink: A psychological study of foreign-policy decisions and fiascoes. Boston: Houghton-Mifflin. 

  9. Jung, H. C., Ryuk, C. R., & Chae, Y. J. (2012).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43-264. 

  10. Kahneman, D. (2013). Thinking, fast and slow. NY: Farrar, Straus and Giroux. 

  11. Ketelhut, D. J. (2007). The impact of student self-efficacy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 River City, a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6(1), 99-111. 

  12. Kim, H., Kang, N., Kim, M., Maeng, S., Park, J., Baek, Y., Son, J. W., Shim, K., Oh, P. S., Lee, G., Lee, B., Joung, Y., Han, I. (2017). Basic research for next generatio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Seoul: KOFAC. 

  13. Kirschner, P. A., Sweller, J., & Clark, R. E. (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75-86. 

  14.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15. Mizrahi, M. (2018). Arguments from expert opinion and persistent bias. Argumentation, 32(2), 175-195. 

  16. Oh, H. R., & Kim, H. B. (2011). A study on the extra curricula sciencerelated hands-on experience programs implemented in science-focused high schools. School Science Journal,, 5(2), 73-83. 

  17. Ryu, S. C., Yoon, J., & Lee Y. O. (2014). A case study on curriculum management of science core high school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 305-328. 

  18. Schlosser, T., Dunning, D., Johnson, K. L., & Kruger, J. (2013). How unaware are the unskilled? Empirical tests of the "signal extraction" counterexplanation for the Dunning-Kruger effect in self-evaluation of performanc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39, 85-100. 

  19. Schoffstall, A. M., & Gaddis, B. A. (2007). Incorporating guided-inquiry learning into the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4(5), 848. 

  20. Schunk, D. H. (1985). Self-efficacy and classroom learn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22(2), 208-223. 

  21. Thaler, R. & Sunstein, C. (2008).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London: Penguin Books. 

  22. Volz, K. G., Kessler, T., & von Cramon, D. Y. (2009). In-group as part of the self: In-group favoritism is mediated by medi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Social neuroscience, 4(3), 244-260. 

  23. Winch, G. (2013) Emotional first aid: Healing rejection, guilt, failure and other everyday hurts. NY: Hudson Street Press. 

  24. Xie, Y., Ke, F., & Sharma, P. (2008). The effect of peer feedback for blogging on college students' reflective learning process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1(1), 18-25. 

  25. Zion, M., & Mendelovici, R. (2012). Moving from structured to open inquiry: Challenges and limits.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3(4), 38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