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제의 블루라이트 차단효과에 관한 연구
The Blocking Effect of Sunscreen Materials on Blue Ligh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2, 2018년, pp.183 - 189  

정상욱 ((주)케이씨피부임상연구센터) ,  이시은 ((주)케이씨피부임상연구센터) ,  최선영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  문권기 ((주)웨이나코리아) ,  임소라 ((주)웨이나코리아) ,  김해경 ((주)결고은사람들) ,  박종호 ((주)케이씨피부임상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 중 가장 에너지가 높은 파장으로 피부노화 유발 및 활성산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유해 기작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화장품 분야에서의 블루라이트 차단소재 연구 및 관련 제형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측정과 관련된 시험법 또한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블루라이트 차단 효능 평가 시험법은 해외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 평가 방법을 참고하여 확립하였다. 국내에 고시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제 원료 27종 중 17종에 대하여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징크옥사이드가 14.97%,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 16.32%,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이 35.47%, 티타늄디옥사이드가 65.9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함량의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확인한 결과 Nano-티타늄디옥사이드 보다 Micro-티타늄디옥사이드가 두 배 이상의 차단효과가 높게 나타냈다. 제시된 블루라이트 차단효과 평가 시험법은 블루라이트 차단 소재 탐색 및 화장품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ue light is the highest energy wavelength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induces skin aging and active oxygen. Studies on harmful mechanism of skin are under way. Research on blue light blocking materials in cosmetics and formulation studies are in the early stage, and the test methods rela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는 화장품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나 차단 지표도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효과 평가 방법을 참고하여 블루라이트차단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정하였으며[12-16], 설정된 시험방법을 기초로 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외선 차단제 고시 원료 중 17종에 대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시료 도포량은 sunscreen in vitro test 규격을 참고하여 COLIPA와 ISO 24443에 언급되어 있는 1.3 mg/cm2를 참고하여 PMMA plate 도포량을 1.3mg × 22 cm2 = 28.6 mg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 블루라이트에 관한 유해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며, 공산품의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에 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의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평가하는 평가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각종 가이드라인의 sunscreen in vitro test를 기반으로 하여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 도포량, 기질 및 측정방법, 차단율 계산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험방법을 근거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자외선 차단제 원료 17종에 대한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조사한 결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과 티타늄디옥사이드가 높은 차단율을 나타냈다.
  • 6 mg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투과율 측정 파장 영역은 UV-2000S를 사용하여 290 ~ 450 nm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 티타늄디옥사이드(25% 함량) 도포량에 따른 블루라이트 투과율 측정은 각각의 PMMA Plate에 1 cm2당 0.65 mg, 0.91 mg, 1.30 mg, 1.56 mg, 1.95 mg, 2.60 mg을 도포하고 UV-2000S (Labsphere Inc., USA)를 이용하여 290 ~ 450 nm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 중 블루라이트 영역인 400 ~ 450 nm 투과율 데이터를 블루라이트 차단율 계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 티타늄디옥사이드의 입자 크기에 따른 블루라이트 투과율 측정은 nano-티타늄디옥사이드(particle size 14 ~ 16 nm, Kowa Amerocan Corp. USA)와 Micro-티타늄 디옥사이드(Particle size 0.060 ~ 1.905 µm, EnTOP Material Co., LTD. Korea)를 각각 6% 함유한 제형을 제조하였으며, PMMA Plate에 1.3 mg × 22 cm2 = 28.6 mg으로 도포하고 UV-2000S (Labsphere, INC. USA)를 이용하여 290 ~ 450 nm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UV-2000S를 사용하여 측정된 290 ~ 450 nm 영역의 투과율 데이터 중 블루라이트 영역인 400 ~ 450 nm 투과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블루라이트 차단율 계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외선 차단제 고시원료 27종 중 17종의 상용원료(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95 ~ 100%, BASF, Gernany), 4-메칠벤질리덴캠퍼(98 ~ 102%, DSM, Taiwan),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95 ~ 105%, DSM, China),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97 ~ 100%, BASF, Taiwan), 에칠헥실트리아존(98 ~ 103%, BASF, Gernany), 옥토크릴렌(100%, Symrise, USA), 에칠헥실디메칠파바(100%,Ashland, USA),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95 ~ 105%, BASF, Taiwan),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100%, Merck, Germany),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100%, Symrise, Singapore), 폴리실리콘(100%, DSM, Taiwan), 호모살레이트(100%, Symrise, USA),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100%, BASF, Gernany),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100%, Symrise, USA),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100%, Symrise, USA), 티타늄디옥사이드(65%, Seil International, Korea), 징크옥사이드(97%, NFC, Korea))를 블루라이트 차단효과가 없는 로션 제형에 제형을 제조할 수 있는 최대 허용량으로 첨가하여 시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UV-2000S를 사용하여 측정된 290 ~ 450 nm 영역의 투과율 데이터 중 블루라이트 영역인 400 ~ 450 nm 투과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블루라이트 차단율 계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투과율 측정은 COLIPA(European Cosmetics Association)의 ‘method for the in vitro determination of UVA protection provided by sunscreen products’, ISO 24443:2012 ‘Determination of sunscreen UVA photoprotection in vitro’,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Final rule on sunscreen testing and labeling’의 시험 규격을 참고하여 polymethyl methacrylate (PMMA、HELIO PLATE HD6) plate에 시료를 도포하고 UV-2000S (LABSPHERE,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 USA)를 이용하여 290 ~ 450 nm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 중 블루라이트 영역인 400 ~ 450 nm 투과율 데이터를 블루라이트 차단율 계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라이트란 무엇인가? 빛을 파장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면 400 nm보다 짧은 자외선, 400 ~ 700 nm 사이의 가시광선, 700 nm보다 긴파장의 적외선으로 나뉜다[1]. 이 중 400 ~ 500nm 파장 구간의 푸른색 계열의 빛을 블루라이트라고 하며, 태양 빛 뿐만 아니라 PC나 스마트폰 등의 LED 디스플레이나 LED 조명에서도 방출된다.
빛을 파장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면 어떻게 구분되는가? 빛을 파장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면 400 nm보다 짧은 자외선, 400 ~ 700 nm 사이의 가시광선, 700 nm보다 긴파장의 적외선으로 나뉜다[1]. 이 중 400 ~ 500nm 파장 구간의 푸른색 계열의 빛을 블루라이트라고 하며, 태양 빛 뿐만 아니라 PC나 스마트폰 등의 LED 디스플레이나 LED 조명에서도 방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 Duteil, N. Cardot-Leccia, C. Queille-Roussel, Y. Maubert, Y. Harmelin, F. Boukari, D. Ambrosetti, J. P. Lacour, and T. Passeron, Differences in visible light-induced pigmentation according to wavelengths: a clinical and histological study in comparison with UVB exposure, Pigm Cell Melanoma R, 27, 822 (2014). 

  2. T. Y. Tzung1, K. H. Wu, and M. L. Huang, Blue light phototherapy in the treatment of acne, Photodiagn Photodyn, 20, 266 (2004). 

  3. P. Papageorgiou, A. Katsambas, and A. Chu, Phototherapy with blue (415 nm) and red (660 nm) light in the treatment of acne vulgaris, Brit. J. Dermatol., 142, 973 (2000). 

  4. J. B. Lee, S. H. Kim, S. C. Lee, H. G. Kim, H. G. Ahn, Z. Li, and K. C. Yoon, Blue light-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various medicinal plant mixtures. Invest. Ophth. Vis. Sci., 55(7), 4119-4127 (2014). 

  5. J. R. Sparrow, K. Nakanishi, and C. A. Parish, The lipofuscin fluorophore A2E mediates blue light-induced damage to retinal pigmented epithelial cells, Invest. Ophth. Vis. Sci., 41(7), 1981 (2000). 

  6. Y. Kuse, K. Ogawa, K. Tsuruma, M. Shimazawa, and H. Hara, Damage of photoreceptor-derived cells in culture induced by light emitting diode-derived blue light, Sci. Rep-UK, 4, 5223 (2014). 

  7. J. K. Hwang, H. K. Shin, and S. M. Chang, Development of blue light cut films using a roll-to-roll nano micro coating system, Trans. Electr. Electron. Mater., 17(3), 178 (2016). 

  8. S. Hettwer, E. B. Gyenge, and B. Obermayer, Blue light protecting cosmetic active ingredients: A Case Report, J Dermat Cosmetol, 1(4), 23 (2017). 

  9. H. Moseley, H. Cameron, T. Macleod, C. Clark, R. Dawe, and J. Ferguson, New sunscreens confer improved protection for photosensitive patients in the blue light region, Brit. J. Dermatol., 145, 789 (2001). 

  10. B. L. Dittey and P. M. Farr, Sunscreen protection against UVB, UVA and blue light: an in vivo and in vitro comparison, Brit. J. Dermatol., 124, 258 (1991). 

  11. S. Schalka, F. A. S. A. Addor, C. M. Agelune, and V. M. C. Pereira, Sunscreen protection against visible light: a new proposal for evaluation, Surg. Cosmet. Dermatol., 3(4), 45 (2012). 

  12. D. Moyal, V. Alard, C. Bertin, F. Boyer, M. W. Brown, L. Kolbe, P. Matts, and M. Pissavini, The revised COLIPA in vitro UVA method, IInt. J. Cosmet. Sci., 1, (2012). 

  13. L. Fageon, D. Moyal, J. Coutet, and D. Candau, Importance of sunscreen products spreading protocol and substrate roughness for in vitro sun protection factor assessment, Int. J. Cosmet. Sci., 31, 405 (2009). 

  14. B. L. Diffey, P. R. Tanner, P. J. Matts, and J. F. Nash, In vitro assessment of the broad-spectrum ultraviolet protection of sunscreen products, J. AM. ACAD. DERMATOL., 43(6), 1024 (2000). 

  15. M. Pelizzo, E. Zattra, P. Nicolosi, A. Peserico, D. Garoli, and M. Alaibac, In vitro evaluation of sunscreens: An update for the clinicians,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ISRN Dermatology, 352135, 1 (2012). 

  16. L. Ferrero, M. Pissavini, A. Dehais, S. Marguerie, and L. Zastrow, Importance of substrate roughness for In Vitro sun protection assessment, IFSCC, 9(2), 2 (2006). 

  17. E. T. Kaye, J. A. Levin, I. H. Blank, K. A. Arndt, and R. R. Anderson, Efficiency of opaque photoprotective agents in the visible light range, Arch. Dermatol., 127, 351 (1991). 

  18. A. Salih, O. Hoegh-Guldberg, and G. Cox, Photoprotection of symbiotic dinoflagellates by fluorescent pigments in reef corals, Greenwood JG and NJ Hall (eds) Proc. Australian Coral Reef Soc. 75 th Anniversary Conference, Heron Island, 217 (1998). 

  19. D. G. Silva, F. D. Sarruf, L. C. D. Oliveira, E. P. G. Areas, T. M. Kaneko, V. O. Consiglieri, M. V. R. Velasco, and A. R. Baby, Influence of particle size on appearance and in vitro efficacy of sunscreens, Braz. J. Pharm. Sci., 49(2), 251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