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지재배 복숭아 중 Bistrifluron과 Cyenopyrafen의 생산단계 잔류특성에 따른 감소추이
Residue Dissipation Behavior of Bistrifluron and Cyenopyrafen in Peach for the Cultivation Periods under Field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7 no.1, 2018년, pp.41 - 48  

황은진 (호서대학교 제약공학.바이오응용독성학과) ,  박정은 (호서대학교 제약공학.바이오응용독성학과) ,  권찬혁 (식품의약품안전처 유해물질기준과) ,  김진숙 (식품의약품안전처 유해물질기준과) ,  장희라 (호서대학교 제약공학.바이오응용독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biological half-lives and regression coefficient of bistrifluron and cyenopyrafen dissipation in peach and to estimate the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METHODS AND RESULTS: The bistrifluron and cyenopyrafen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g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지재배 복숭아에 대하여 살충제 bistrifluron과 cyenopyrafen의 일자별 잔류량을 확인하고, 수확시 개체중량 차이에 따른 잔류양상 비교하여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잔류량이 우려되는 식품순위는 어떠한가? , 2010). 소비자 인식조사에서 농약잔류량이 우려되는 식품순위로 채소, 과일 및 곡류로, 조사대상자의 약 35%가 과일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으며, 이는 국내산 과일에서 잔류농약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례가 많은 것에 기인하여 건강상에 위해가 높을 것으로 우려하게 된다(Kim and Kim, 2001; Kim and Kim, 2011).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농약은? 복숭아 재배시 사용되는 농약 145개에 대하여 농약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이 설정되어 유통단계에서 관리하고 있으나,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은 49개 농약에 대해서만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다(MFDS, 2017a, 2017b). 복숭아유리나방 방제에 사용되는 bistrifluron은 곤충생장조절제(IGR)이고, cyenopyrafen은 응애 전문 약제로 점박이응애 방제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KCPA, 2014; RDA 2018).
국내외 소비자들은 식품에서 우려하고 있는 위험요인 1위는 무엇인가? 국내외 소비자들은 식품에서 우려하고 있는 위험요인에서 농약이 1순위로 인식하고 있으며, 안전관리 기준인 잔류허용기준 이하라도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Kim, 2007; Woo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a, H. Y., Ra, D. S., Shin, W. C., Im, G. J., & Park, J. E. (2012).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4), 395-400. 

  2. Han, S. S., Lo, S. C., & Ma, S. Y. (2004). Effect of some variation factors on dissipation of tebuconazole in grap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3(3), 142-147. 

  3. Jeon, H. Y., Kim, D. S., Cho, M. R., Yiem, M. S., & Chang, Y. D. (2000). Recent status of major fruit tree pest occurren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iticultural Science, 41(6), 607-612. 

  4. Kim, H. C., & Kim, M. R. (2001).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16(4), 296-309. 

  5. Kim, Y. S., Park, J. H., Park, J. W., Lee, Y. D., Lee, K. S., & Kim, J. E. (2002). Persistence and dislodgea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2), 149-155. 

  6. Kim, S. S. (2007). A study on consumer's attitude for food safety and purchas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15-32. 

  7. Kim, S. W., Lee, E. M., Lin, Y., Park, H. W., Lee, H. R., Riu, M. J., Na, Y. R., Noh, J. E., Keum, Y. S., Song, H. H., & Kim, J. H. (2009).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insecticide bifenthrin during cultivation of grape.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3(4), 241-248. 

  8. Kim, H. J., & Kim, M. R. (2011). Concerns about hazardous elements on foods and recognition of the roles of goverment, food producers, and consumers in securing food safety.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1(3), 401-417. 

  9. Lee, H. D., Kyung, K. S., Kwon, H. Y., Ihm, Y. B., Kim, J. B., Park, S. S., & Kim, J. E. (2004). 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8(2), 107-111. 

  10. Lee, J. H., Park, H. W., Keum, Y. S., Kwon, C. H., Lee, Y. D., & Kim, J. H.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1), 67-73. 

  11. Lee, D. Y., Kim, Y. J., Park, M. H., Lee, S. H., Kim, S. G., Kang, N. J., & Kang, K. Y. (2013).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fungicides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on prunus mume fruit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4), 307-313. 

  12. Lee, D. K., In, J., & Lee, S. (2015).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error of the mean.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68(3), 220-223. 

  13. Moser, H., & Rombke, J. (2009). Ecotoxi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waste: results and experiences of an international ring test. pp. 73-75,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Germany. 

  14. Park, J. E., Hwang, E. J., & Chang, H. R. (2017). Sediment toxicity assessment of pesticides using Chironomus riparius acute and chronic effec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6(2), 80-86. 

  15. Park, J. S., Yang, S. H., & Choi, H. (2017). Residue patterns and biological half-lives of pyridalyl and fluopicolide in watermel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6(1), 50-56. 

  16. Turner, J. A (2015). The Pesticide Manual. pp.117-261, 17th edition,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17. Woo, J. H., & Park, S. H. (2001).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in a fruit-grwoing farming community and the role of a community-based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 the case of nulmi-ri, chungdo-kun, kyoung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7(4), 1-16. 

  18. Woo, H. D., Lee, J. K., Hang, G. D. (2010). Consumer awareness survey on safety management of pesticide residue. Food Science and Industry, 43(2), 2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