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용액 점안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ns Care Solution Instillation on Tear Film Stability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with Dry Ey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3 no.2, 2018년, pp.85 - 95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가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새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렌즈 관리용액이 점안에 사용되는 실태와 관리용액 점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관리용액의 점안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렌즈 관련 전문지식이 없는 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렌즈 관리용액의 점안제로서의 사용 실태와 점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에 인공눈물과 렌즈 관리용액(2종의 다목적용액과 1종의 습윤액)을 점안한 후 NIBUT, 순목 횟수를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점안에 따른 자각증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적지 않은 렌즈 착용자가 관리용액을 본래의 용도가 아닌 점안에 사용하거나 관리용액 점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많은 수의 응답자가 관리용액의 정확한 사용법을 모른다고 답하였다. 인공눈물 및 렌즈 관리용액 점안 후 NIBUT는 점안 초기에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렌즈 관리용액은 점안 15 ~ 20분 후부터 NIBUT가 감소되었다. 4종의 용액 모두 점안 후 순목 횟수의 변화는 미미했다. 인공눈물 점안 후에는 대부분의 자각증상은 개선되었지만 2종의 다목적용액을 점안 후에는 대부분의 증상이 악화되었다. 결론: 관리용액은 인공눈물에 비해 눈물막 안정성 유지 효과가 떨어지고 자각증상의 악화를 유발하므로 건성안에는 인공눈물의 점안이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렌즈 관리용액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of lens care solution as an eye drop, the perception of lens care solution instillation, and the effects of lens care solution instillation on tear film stability and subjective symptom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with dry eyes. Methods: To investigate th...

주제어

참고문헌 (19)

  1. Brewitt H, Sistani F. Dry eye disease: the scale of the problem. Surv Ophthalmol. 2001;45(2):S199-S202. 

  2. Yun CM, Kang SY, Kim HM, Song JS.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4):505-509. 

  3. Jung DI, Lee HS, Kim SR, Park M. The difference of tear break-up time by the fitting states of soft contact lens in normal and dry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15(4):339-346. 

  4. Seo SG. The effect of artificial tear application on central corneal thickness in dry eye.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0):1483-1488. 

  5. Shin HM, Park M. Kim SR. The effect of difference in main components of artificial tears on tear film stability of soft contact lenses wear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6;21(4):351-360. 

  6. Tong L, Petznick A, Lee S, Tan J. Choice of artificial tear formulation for patients with dry eye: where do we start?. Cornea. 2012;31(1):S32-S36. 

  7. Kim SR, Lim JA, Jung JH, Byun HY, Park M. The effect of artificial tear components on tear film stability of dry eyes in the early stage of soft contact lenses wea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6;21(3):191-201. 

  8. Kim PS, Kim SD, Kim JD, Choi CW. A survey on contact lens care in young adolescent stud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54-58. 

  9. Choi TH, Kim HM, Cha HW, Kim JC, Kim MS, Lee HB.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contact lenses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04;45(11):1833-1841. 

  10. Choi JY, Song YY, Byun JC.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management and eye health awarenes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r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6;21(3):203-214. 

  11. Kim NY, Lee KJ. Cytotoxicity of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on the cultured corneal epithelial cells evaluated by image analysi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1):51-60. 

  12. Price R, Gustafson J, Greish K, Cappello J, McGill L, Ghandehari H. Comparison of silk-elastinlike protein polymer hydrogel and poloxamer in matrix-mediated gene delivery. Int J Pharm. 2012;427(1):97-104. 

  13. Neal JC, Stolnik S, Garnett MC, Davis SS, Illum L. Modification of the copolymers poloxamer 407 and poloxamine 908 can affect the phys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surface modified nanospheres. Pharm Res. 1998;15(2):318-324. 

  14. Nayak VS, Tan Z, Ihnat PM, Russell RJ, Grace MJ.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bas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sorbate 80 in therapeutic protein formulations. J Chromatogr Sci. 2012;50(1):21-25. 

  15. Moghimi SM, Hunter AC. Poloxamers and poloxamines in nanoparticle engineering and experimental medicine. Trends Biotechnol. 2000;18(10):412-420. 

  16. Al Khateb K, Ozhmukhametova EK, Mussin MN, Seilkhanov SK, Rakhypbekov TK, Lau WM et al. In situ gelling systems based on Pluronic F127/Pluronic F68 formulations for ocular drug delivery. Int J Pharm. 2016;502(1-2):70-79. 

  17. Zhao M, Campolmi N, Thuret G, Piselli S, Acquart S, Peoc'h M et al. Poloxamines for deswelling of organ-cultured corneas. Ophthalmic Res. 2012;48(3):124-133. 

  18. Ho L, Di Carlo S, Moran KL, Bantseev V, Sivak JG. Effect of age on ocular irritancy as measured with in vitro bovine lenses. Toxicol In Vitro. 2008;22(2):450-456. 

  19. Ayaki M, Iwasawa A. Cell viability of four corneoconjunctival cell lines exposed to five preservatives and a surfactant used for infection control in eyedrops. Biocontrol Sci. 2011;16(3):117-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