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40대 중년층의 조절 및 폭주기능 변화
The Functional Change of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in the Mid-Forties by Using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2, 2016년, pp.127 - 135  

권기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현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40대 중년층의 자각증상과 조절 및 폭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단안과 양안의 시력이 각각 0.8 및 1.0 이상인 40대 중년층 40명(남자 10명, 여자 30명, 평균나이 $43{\pm}7.2$세)을 노안과 비노안으로 나누고 30분 동안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전과 후에 최대조절력, 조절용이성 및 상대조절을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융합버전스와 근거리 사위도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자각적 증상의 변화는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40대 노안은 스마트폰 사용으로 안정피로, 흐림 현상 및 건조감의 순으로 불편감을 호소하였으며, 조절기능과 비사시성 양안시 기능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즉, 단안 조절용이성, 상대조절 등의 조절관련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폭주 및 개산력 역시 저하되어 사위도의 변화가 나타났고, 음성융합버전스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40대 비노안의 경우는 안정피로, 건조감, 흐림 현상의 순으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조절기능 중에서는 최대조절력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음성융합버전스 값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따라서 40대 중년층이 근거리 작업 후 자각적으로 느끼는 불편감의 원인은 노안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단순히 조절기능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사위, 융합력 등을 포함한 시기능의 전반적인 저하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40대 중년층이 근거리 작업으로 불편한 증상을 느낄 경우에는 연령증가로 인한 조절력 감소뿐만 아니라 사위, 융합력 검사 등 전반적인 시기능 검사를 통하여 그 원인을 정확히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cessive near work by using a smartphone on subjective symptoms and accommodative and convergent function in their 40s. Methods: A total of 40 subjects(male, 10; female, 30; age, $43{\pm}7.2year$) in their 40s who have 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 스마트기기를 통한 근거리 작업 시 조절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근거리 사위는 외사위 방향 및 폭주근점이 멀어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현재 이러한 스마트기기 사용과 시기능이 연관된 연구는 주로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11-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절력이 감소되는 40대 중년층을 노안과 노안이 아닌 경우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조절기능 저하는 물론 폭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노안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40대 중년층을 노안과 비노안으로 분류한 후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조절 및 폭주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즉, 35~40 cm의 근거리에서 30분 동안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자각적 증상과 시기능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이 등장하면서 모바일 혁명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나? 정보화 시대로의 급격한 변화 속에 스마트폰, 태블릿PC등의 스마트기기들이 등장하면서 모바일 인터넷 대중화와 함께 ‘모바일 혁명’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1] 스마트기기들은 이동통신 수단의 의미를 넘어 경제, 문화, 사회, 전자상거래, 오락 및 내비게이션 등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사용시간과 이용횟수가 증가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의심해 보아야 할 정도로 그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연령층 또한 어린아이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에 확대되고 있다.
노안의 비수술적 교정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이에 노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노안교정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어 이중초점 및 누진 안경렌즈, 누진 콘택트렌즈 등 비수술적 교정방법 이외에 레이저 열각막성형술, 굴절교정레이저 각막절제술, 레이저 각막절삭 가공성형술, 노안교정 고주파 각막 성형술, 카메라 인 레이 등의 수술적 노안교정 방법의 개발로시생활 개선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3]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40대 이후 연령층의 비율은 어떠한가? [3]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구의 연령비율에 큰 변화가 초래되면서 고령화시대로 접어들게 되었으며, 노안이 시작되는 40대 이후 연령층이 인구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다. 즉, 미국의 경우 40대 이후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46%를 차지하고 있으며,[4] 우리나라의 경우는 2015년 기준 주민등록연앙인구 약 5100만 명 중 40대 이후가 약 28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5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ang WS, Kim MS, Go JU.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 Korean Gerontological Soc. 2013; 33(1):199-214. 

  2. KISA(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Survey on the Smart Phone Usage, 2013.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60200&bbsId3&itemId799&page-Index2(20 May 2016). 

  3. Kim TJ. Presbyopia and contact lenses. J Korean Med Assoc. 2013;56(4):303-309. 

  4. US Census Bureau. Population by Age and Sex, 2013. https://www.census.gov/population/age/data/2013comp.html (17 May 2016). 

  5.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sident midyear population, 2015.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M5&vw_cdMT_ZTITLE&list_idA6&seqNo&lang_modeko&language 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17 May 2016). 

  6. Thomson WD. Eye problems and visual display terminals the facts and the fallacies. Ophthalmic Physiol Opt 1998; 18(2):111-119. 

  7. Seomoon GA, Kim EY. Factors of video display terminal syndrom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use digital textbook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2;18(1):141-148. 

  8. Kwon KI, Woo JY, Park M, Kim SR.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by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s during computer gam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2):177-184. 

  9. Kim SI, Kwon KI, Lee J, Lee HJ, Park M, Kim SR. The change of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fusional reserves after computer gaming with different direction of eye movement.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1):37-43. 

  10. Tosha C, Borsting E, Ridder WH, Chase C. Accommodation response and visual discomfort. Ophthalmic Physiol Opt. 2009;29(6):625-633. 

  11. Kang YJ, Leem HS. Effects of smartphone usage with cont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accommodative function. Korean J Vis Sci. 2015;17(3):289-297. 

  12. Park KJ, Lee WJ, Lee NG, Lee JY, Son JS, Yu DS. Changes in near lateral phoria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fter viewing smartphon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2):171-176. 

  13. Kim BH, Han SH, Shin YG, Kim DY, Park JY, Sin WC, Yoon JH.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3):305-309. 

  14. Park M, Ahn YJ, Kim SJ, You J, Park KE, Kim SR.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of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following smartphone us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253-260. 

  15. Kim HM, Son JS, Lee WJ, Lee JY, Cho HG. Comparison of relative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and addition based on occupation of initial presbyopi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4):59-63. 

  16. Anderson HA, Stuebing KK. Subjective versus objective accommodative amplitude: preschool to presbyopia. Optom Vis Sci. 2014;91(11):1290-301. 

  17. Pan CW, Cheung CY, Aung T, Cheung CM, Zheng YF, Wu RY et al.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myopia with major age-related eye diseases: the Singapore Indian Eye Study. Ophthalmology, 2013;120(2):284-291. 

  18. MOEL(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Guidance for employee using visual display terminal, 2015. http://www.moel.go.kr/view.jsp?cate3&sec1&smenu2&modeview&bbs_cd116&stateA&seq1442564393512(20 May 2016). 

  19. Rosenfield M, Cohen AS. Repeatabilit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1996;16(3):247-249. 

  20. Yang SN, Tai YC, Hayes JR, Sheedy J. Superior smartphone display quality enhances viewing performance and comfort. Faculty Scholarship(COO). 2011;17. 

  21. Kim DJ, Cha JW, Park MC, Lee WJ.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variation on the dry eye for using smart phone. Korean J Vis Sci. 2014;16(3):397-407. 

  22. Yothers T, Wick B, Morse SE. Clinical testing of accommodative facility: development of amplitude-scaled test. Optometry. 2002;73(2):91-102. 

  23.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heterophoric, accommodative, and eye movement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22-65. 

  24. Sreenivasan V, Irving EL, Bobier WR. Effect of heterophoria type and myopia on accommodative and vergence responses during sustained near activity in children. Vision Res. 2012;15(57):9-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