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의 실무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모듈 교육 전략
Educational Strategy for Practical Convergence using Module Curriculum in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205 - 211  

김기대 (대구가톨릭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  박근서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인재를 필요로 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여 다방면 전공 분야의 핵심적인 내용을 실무 융합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교육 과정에 기존의 전공영역과 교양영역 이외에 융합영역을 새롭게 신설하고, 둘째, 기업실무와 연계하여 타 전공학생들만을 위한 전공교과목인 융합교과목을 개설하고, 셋째, 융합교과목을 4개씩 묶어서 융합모듈의 형태로 하여 하나의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개설한다. 지방사립대학인 D대학에서는 2016년도부터 이러한 융합모듈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평균 수강생 수, 수강률 및 강의만족도 등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융합모듈들을 다양하게 조합하면 지역 기업이 요구하는 기업설계맞춤전공을 저비용으로 수월하게 창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rategy to educate the core contents of various major fields in practical and convergent way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irst, convergence field is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addition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융합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혁신적인 실무융합교육 시스템으로 융합 모듈 교육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학과 테두리 내의 전공영역과 공통 교양영역으로만 구분되었던 대학교육과정에 타 전공 학생들을 위한 실무 전공영역인 융합영역을 새롭게 추가하여 심화 전공교육을 축소하는 대신 실무 융합교육을 확대하는 전략이다.
  •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 연구는 (1)다수 학생들을 위한 실용적이며 현실적인 내용의 융합교육을 지향하며, (2)다양한 전공들의 시너지를 고려한 과목 및 학제 단위의 융합 교육과 (3)기초 수준에서 고급 수준으로 심화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에 기초한 융합교육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에 비해 좀 더 실용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제안된 사례 모델은 융합교육 과정을 도입하고자 하는 많은 대학에 실천적 측면에서 발견적(heuristic)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실무 융합교육을 시킬 수 있는 대학 차원의 융합교육 전략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지방대학과 지역 중소기업 간에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얻고자 한다.
  • 한편 융합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질적 평가를 알아보기 위해 융합교과목 강의만족도 점수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개설된 모든 전공, 교양, 융합교과목의 강의만족도평가 점수의 평균값을 조사한 결과 2016년 1학기의 경우 융합교과목의 강의평가점수는 평균 8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듈 내 교과목의 구성은 무엇인가? 모듈 내 교과목은 특정한 기초직무역량(주로 인문사회계 개설 모듈) 또는 취업역량(주로 이공계 개설 모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통의 교육목표를 가지고 서로 체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모듈단위 교육과정은 Table 1에 나타나 있듯이 원칙적으로 ① 기초교과목 ② 심화교과목 ③ 실무Ⅰ교과목 ④ 실무Ⅱ교과목의 단계로 구성된다. 융합교과목 및 모듈 명칭을 정할 때 비전공자들이 교과목과 모듈의 성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정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인재를 필요로 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여 다방면 전공 분야의 핵심적인 내용을 실무 융합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교육 과정에 기존의 전공영역과 교양영역 이외에 융합영역을 새롭게 신설하고, 둘째, 기업실무와 연계하여 타 전공학생들만을 위한 전공교과목인 융합교과목을 개설하고, 셋째, 융합교과목을 4개씩 묶어서 융합모듈의 형태로 하여 하나의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개설한다.
지방소재 사립대학의 졸업생들이 주로 취업하는 곳은 어디인가? 현재 취업난을 겪고 있는 지방소재 사립대학의 졸업생들은 주로 대학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중소기업으로 취업을 한다.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형 사립대학인 D 대학의 경우 2015학년도 졸업생을 전수 조사한 결과 전체 취업생의 7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W. Kim. (2015). Efficacy Analysis of Developed Course for Promoting Character Education with Women's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481-491. DOI : 10.14400/JDC.2015.13.11.481 

  2. H. J. Hong. (2016). Development achievement criteria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Expressive Activ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519-525. DOI : 10.14400/JDC.2016.14.6.519 

  3. K. H. Chon. (2017). An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Components for Selecting Creative Convergent Tal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197-204. DOI: 10.15207/JKCS.2017.8.2.197 

  4. K. I. Ko. (2015). A 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69-82. DOI : 10.14400/JDC.2015.13.8.69 

  5. H. S. Kim. (2015). A Study on the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79-88. DOI : 10.14400/JDC.2015.13.5.79 

  6. H. H. Kim & Y. H. Choi. (2015). Effects of Creativity Instruction Activities on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 Based on NFTM-TRIZ Creativity Educ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277-286. DOI: 10.14400/JDC.2015.13.9.277 

  7. S. S. Shin, J. I. Kim & J. J. Youn. (2015). Vulnerability Analysis of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Digital Convergence Cur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225-234. DOI : 10.15207/JKCS.2015.6.4.225 

  8. G. D. Kim, C. E. Yang & A. Han. (2017). Multi-dimensional Assessment Educational Strategy for University. Information - An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Journal, 20(10B), 7873-7880. 

  9. G. Liestol. (2006). The Dynamics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Educational Media - Past, Present and Futur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 870-870. DOI: 10.1109/ITHET.2006.339711 

  10. M. H. Han. (2017).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preparation capacity and stress from college lif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1), 81-86. DOI : 10.22156/cs4smb.2017.7.1.081 

  11. S. Y. Kim. (2017). Th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of Youth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to the Small Busines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2), 131-136. DOI : 10.22156/cs4smb.2017.7.2.131 

  12. H. Y. Lee, M. G. Seo & J. D. Kim. (2014)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0(44), 183-222. DOI : 10.17939/hushss.2014..44.007 

  13. M. Y. Park. (2013). Meta Reflection on Creative Methodology for Engineer. Ratio et Oratio, 6(1), 7-61. DOI : 10.19042/kstc.2013.6.1.7 

  14. B. S. Hong. (2011) A Study of Foundation Liberal Education Activation Plan for a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No. 4, 140-161. 

  15. H. Y. Kim. (2013) The Proposition of the Directions about Convergence-Based Courses and Basic-Convergence Subjects for Systemed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2), 1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