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153 - 164  

주영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선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원들의 공유가치인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근로자 10,06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조직문화 유형인 혁신문화, 관계문화, 합리문화의 순서로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및 합리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에서 혁신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whether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with SEM using data of the 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문화란? 조직문화는 조직 내 구성원들에 의해 표현되는 공유된 가치관과 신념 그리고 규범을 의미하며, 이는 조직 구성원들의 생각, 감정, 행동 등이 조직에 부합되도록 변경 시키거나 조직 내에서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Duncan, 1989; Brown & Starkey, 1994: [1]에서 재인 용). 또한 조직문화는 해당 조직이 형성된 이후 외부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랜 시간을 통해 형성된 조직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라 할 수 있으며[7], 조직이 내부 통합및 외부 환경에의 적응을 목적으로 조직구성원에게 제시 하고 공유하는 조직 내의 심층적인 신념 등을 말하기도 한다(Schein, 1985: [8]에서 재인용).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5년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근로자 10,06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조직문화 유형인 혁신문화, 관계문화, 합리문화의 순서로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및 합리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에서 혁신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의사소통은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는가? 현대에 와서 더욱 중요시 되고 있는 조직요인 중 하나인 의사소통은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정보 공유 및업무 진행을 위하여 하는 언어로 서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느 냐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조직성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있으며, 이로 인해 의사소통은 조직 운영과 구성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 S. Yoon & M. K. Song. (2016).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Position -. the 6th Academic Conference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347-370. 

  2. E. H. Schein. (1985). Organization Culture and Leadership. SanFrancisco : Jossey-Bass. 

  3. Y. S. Kim. (2011).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the Police Investigation Unit's Communi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13(5), 29-58. 

  4. Y. J. Lee & S. H. Mun. (2013).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perceived by a Social Welfare Ggovernment Officer within the Organization.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3(3), 175-191. 

  5. J. D. Pettit, J. R. Goris & B. C. Vaught. (1997). An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4, 81-98. 

  6. J. D. Pincus. (1986). Communication Satisfaction &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3), 396-419. 

  7. L. Smircich. (1983).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8(3), 339-358. 

  8. C. J. Lee. (2006). Analyz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 The Metropolitan Subway Corporation Cas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9. J. E. Lee & Y. J. Lee. (2008).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Kimberly & Quinn's Model. Korea Policy Journal, 8, 60-80. 

  10. R. Harrison. (1972).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s Character. Harvard Business Review, 50, 25-43. 

  11. T. E. Deal & Kennedy. (1982).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Doubleday. 

  12. R. E. Quinn & J. R. Kimberly. (1984).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2(9), 295-313. 

  13. R. F. Zammuto & J. Y. Krakower. (1991).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sea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5, 83-114. 

  14. R. Parker & L. Bradley. (2000).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Evidence from Six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13(2), 125-141. 

  15. B. K. Cha. (1976).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Seoul: Seyoungsa. 

  16. S. J. Choi & K. M. Nam. (1994).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Gyeonggi: Nanam. 

  17. H. S. Kim. (1996).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Social Welfare Agency and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J. C. Heo. (2010). Effect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0(9), 504-513. 

  19. M. T. Myers & G. E. Myers. (1982). Managing by Communication: An Organizational Approach. Auchland: McGrow-Hill International. 

  20. D. G. Lee.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y Communication Styl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 Master's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1. K. S. Hong. (1985).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Gyeonggi: Nanam. 

  22. E. E. Lawler. (1981). Pay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Boston: Addison-wesley. 

  23. E. A. Locke. (1976).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M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24. H. K. Oh & S. M. Park. (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 and Life Balance Policy on the Job and Life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6(4), 901-930. 

  25. T. Y. Nam, G. H. Lee & B. G. Jee. (2012). Influence of Superiors' Leadership on Trust and Job Satisfaction in Hotel.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11), 412-421. 

  26. Y. G. Shin. (1994). Organizational Behavior. Seoul: Pakyoungsa. 

  27. K. Y. Kim, D. K. Lee & S. M. Lee. (2014).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od Service Enterprise Organizational Culture Influence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9), 179-189. 

  28. H. J. Kim. (2002).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6(4), 87-105. 

  29. Y. J. Jeong & G. S. Lee. (2013).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Healthy Family Specialis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461-484. 

  30. B. Schneider. (1990). Organizational Climate and Culture(ed.). San Francisco: Jossey-Bass. 

  31. M. M. Jiony. G. H. Tanakinjal, D. Gom & R. S. Siganul.. (2015). Understand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Eng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Mediator: A Conceptual Framework.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5(2), 128-134. 

  3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5). User Guide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s from the 1th(2005) to the 6th(2015) years.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33. R. E. Quinn & K. S. Cameron. (1999).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oston: Addison-Wesley. 

  34. P. C. Smith, L. M. Kendall & C. C. Hulin. (1985). The Job Descriptive Index, Psychology Department. Ohio: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35. R. B. Kline.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6. B. R. Bae.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ram. 

  37.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 R. E. Anderson.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38. K. M. Chung. (2012).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Middle Manager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egu,Gyeongbu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