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s on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165 - 175  

문무현 (동국대) ,  한진환 (충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언어 및 직업교육 등을 받는 국제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279명을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지지의 정보적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과 상호작용항에서는 정서적지지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적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은 한국가족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댁가족들이 결혼이주여성을 자신의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지지를 해주어야 한국에서의 안정인 정착과 더불어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in the effect rel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o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ttended multi-cult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혼이주여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삶의 질에 기여한다는 가정에 근거한 연구모형이 주류를 이루었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검증함으로써 좀 더 다차원적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기존중감과 가족지지의 평가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는데 함의를 갖는다.
  •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에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족지지체계 구축 및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관계 및 이 과정에서의 가족지지의 조절관계를 검증하였다.
  •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검증함으로써 좀 더 다차원적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기존중감과 가족지지의 평가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는데 함의를 갖는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행동에 대한 올바르고 공정한 평가, 필요하고 가치 있는 존재라고 느끼게 해주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정해주며, 의견을 존중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물질적 풍요는 아닐지라도 경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금전, 시간, 제품들의 지원이 이루어질 때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에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족지지체계 구축 및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Ⅰ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높을 것이다.
  • 가설Ⅱ 가족지지는 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육에 있어서 남편의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양육에 있어 남편의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는 요인이 된다[35]. 자녀양육에 있어 안정적 부부관계는 자녀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남편과의 관계에서 충실감과 행복감을 인지하고 남편과 함께 자녀양육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지한 어머니는 그렇지 않은 어머니 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36]. 배우자의 지지는 어머니로 하여금 자아존중감을 느끼게 하여 자녀와의 관계와 동시에 부부간의 관계에도 좋은 효과를 준다고 한다[31-33].
가족지지란 무엇인가? 가족지지(family support)는 가족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돌보아주고 존중하고, 사랑하며, 가치감을 갖도록 해주는 사랑과 지지의 교환이라는 주요 기능을 의미한다[13]. 가족지지는 가족에게 나타나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를 뜻하고,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사소통 망을 형성한다.
결혼이주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대다수 결혼이주여성들은 원활하지 못한 부부간의 의사소통과 문화 차이 극복 문제 외에도 빈곤, 부부갈등, 고부갈등, 자녀양육에서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부족, 복지서비스 및 정보 접근의 어려움, 국적취득의 어려움과 체류불안정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삶의 질을 높이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 S. Kwon. (2009). The Effects of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o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2), 5-32. 

  2. K. H. Shin & S. Y. Yang. (2006). Marital Conflicts of Intermarried Families in Kore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5), 1-8. 

  3. E. Ju. Koo. (2009). Relevance of stress for cultural adaptation, domestic violenc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post-traumatic stress to psychological health of female migrants throught international marriage, master's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ing psychology major, Dept. of Educ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4. K. S. Song. (2010).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master's degree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onam University, GwangJu. 

  5. B. H. Lee. (2006).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on their quality of life, master's degree Thesis, Rehabilitation Services Korea Nazarene University, Cheonan. 

  6. B. N. Gu. (2010).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in Ulsa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gang University, Seoul. 

  7. E. J. Lee. (2007). Rest-activity rhythm, sleep pattern and quality of life in restless legs syndrome,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Daegu. 

  8. H. P. Heo. (2007). Quality of life married Women who live in Cheonan from abroad, master's degree Thesis, Major i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olic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of Dankook University, Seoul. 

  9. M. S. Kim & A. N. Kim. (2012). The Impact of Korea Immigrant Women's Resourc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 and Life', Family and culture, 24(2), 64-100. 

  10. E. M. Cott & J. E. James. (2008). Role of the family support person during resuscitation. Nursing Standard, 23(9), 43-47. 

  11. S. W. Cruce. (1989). Another Chance. Palo Alto: Science & Behavior. 

  12. H. S. Lee. (1982).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Seoul: Min-Jung. 

  13. J. Manning-Walsh. (2005).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between sympto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breast canc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4(4), 482-493. 

  14. A. Sammarco. (2001). Perceived social supprt.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of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Nursing, 24(3), 212-219. 

  15. Y. R. Oh. (2016). The Influence of Employment Stress on Job Seekers'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Hyo Family Counselling Major of Sungsan Hyo University, Incheon. 

  16. I. S. Lee, T. Y. Um & D. K. Kim. (2007).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and Quality of life, and mediation effect of health control for the recipients of the medical security with a chronic disease, Social Welfare Policy, 31, 239-259. 

  17. K. O. Chang. (2017). Effect of Depression, Sleep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of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401-412. 

  18. K. J. Kim & H. J. Kim. (2016).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on the Elde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ediating Effect of Health Empower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B), 981-994. 

  19. O. S. Shim. (2010). Effects of Str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Patients on Renal Dialysis, J Korean Gerontol Nurs, 12(2), 95-107, August. 

  20. S. J. Lee. (2017). The Effect of Elderly Life Stress and Self-esteem on Satisfaction of Life,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HSS21), 8(3), 1077-1092. 

  21. P. S. Lee. (2008).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Health & Nursing, 20(2), 37-49. 

  22. M. H. Jang. (2008). The Influence of Wearing Wigs on the Quality of Life the Female Cancer Patients Who Started Losing Hair,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Pusan. 

  23. Y. M. Byon. (2008). The Effect of Nursing Facility Services on Protected Old People's Quality of Life,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24. S. H. Kim. (2007). A Prediction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school children,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B. S. Jeong. (2007). The Impact of Rural Women's Leisure Activities upon elf-esteemed Feeling and Living Quality, master's degree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6. Y. H. Kim. & K. S. Kim.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17, 157-189. 

  27. D. H. Ham. (2014). The Effect of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on Psychological Wel-Being, master's degree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of Korea, DaeJeon. 

  28. D. K. Sung & J. Y. Lee. (2010). A Stud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2(3), 749-772. 

  29. S. J. Yang, K. M. Chung & W. K. Kim. (2008).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ay-care grandmothers, The Korean Journal Woman Psychology, 13(4), 415-432. 

  30. J. W. Park.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31. D. M. Teti & D. M. Gelfand.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32. S. M. Reece & G. E. Harkless. (1998). Self-Efficacy. Stress. and Parental Adaptation: Applications to he Care of Childbearing Famil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4(2), 198-215. 

  33. D. H. Kim & K. E. Lee. (2009). The study on path analysis for parenting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at multi-culture fami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4(2), 77-98. 

  34. H. S. Choe. (2002). Effects of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elf -Efficacy,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35. W. Y. Yu, J. A. Choi & S. Lee. (1999).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6(1), 51-61. 

  36. J. S. Lee. (2003). The influence of the sex role and the concept of children among fathers' of infant children : In relation to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7(4), 53-67. 

  37. P. S. Lee. (2009).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Health & Nursing, 209(2), 37-49. 

  38. D. H. Kim, S. Y. Kim & H. J. Shin. (2007). The study on impact of spous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foreign Wives's parenting stress in rural areas, Family and Culture, 19(3), 53-78. 

  39. M. Rosenberg. (197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Inc. 

  40. H. J. Suh. (2008), A Study on the Marital Quality and Marital Stability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 Doctorial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Suwon. 

  41. J. R. Lim, Y. K. Han & H. H. Kim. (2017), The Relationship of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Oral Management Ability of Vietnam Marrige 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09-119. 

  42. C. E. Cutrona. (1996). Social support as determinant of marital quality; The interplay of nagative and supportive behavior. In G.R. Pierce. B. R. Sarason (eds). The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pp. 173-194). New york: Plenum Press. 

  43. S. K. Min, C. I. Lee, K. I. Kim, S. Y. Suh & D. K. Kim.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ournal Korean Neuropsychiatr Asssociation, 39(3), 571-579. 

  44. H. S. Kim & S. S. Kim. (2017), A Converged Study about Influences of Job Stress, Job Security, Depression, Family Bond,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Married Middle-Aged Mal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101-114. 

  45. G. N. Challagalla & T. A. Shervani. (1996). Dimension and types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60, 89-105. 

  46. P. M. Podsaoff, S. B. MacKenzie, J. Y. Lee & N. P. Podsakoff.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9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