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Serious Dental Disease of Korea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267 - 275  

원영순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박아름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저해요인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6기 3차년도(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중대 구강병으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행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로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아우식증 영향요인은 소득(p<.01), 건강검진 수진여부(p<.05), 최근 1년간 치통 경험 여부(p<.05), 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p<.01)로 나타났다. 치주질환 영향요인은 연령(p<.05), 직업(p<.05), 동반질환 여부(p<.0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어 노인기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serious dental disease of elderly and to propose the need to treatments of negative factor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6th 3nd-year(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dep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성인 대상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기존 노인 중대 구강병에 관하여 Jang & Nam[15]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전신질환과 관련된 변수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었고, Park et al[16]의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노인 대상의 구강건강의 영향요인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신질환을 고려한 건강 관련 변수 뿐 아니라 건강 관련 행동 양식의 변수도 추가하여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저해요인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체계적인 추출과정을 통해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였기에 대표성과 신뢰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 자료가 노인의 중대 구강병 관리 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역학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6기 3차년도(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노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과 노인보건사업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 년도(2015)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중대 구강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노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과 노인보건사업의 기초 자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상병이란 무엇인가? 이렇듯 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구강상병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며, 전 생애에 걸쳐 꾸준히 발생하는 다빈도 질환이다[8]. 치아우식증은 구강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9], 치아동요, 치아상실과 더불어 원활한 저작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하는 원인으로서 음식을 제한적으로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식사의 양과 질 문제로 이어져 일상생활의 활동은 물론 전신건강상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치아우식증이 미치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이렇듯 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구강상병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며, 전 생애에 걸쳐 꾸준히 발생하는 다빈도 질환이다[8]. 치아우식증은 구강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9], 치아동요, 치아상실과 더불어 원활한 저작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하는 원인으로서 음식을 제한적으로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식사의 양과 질 문제로 이어져 일상생활의 활동은 물론 전신건강상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또한 치주질환은 전 세계에서 유병률이 높은 만성질환 중 하나로 우리나라 국민의 10대 만성질환으로도 나타나고 있으며 2013년도 65세 이상 건강보험 노인의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을 보면, 고혈압 다음으로 치주질환이 2위를 차지하여 정부의 의료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밝혀졌다[10].
구강병에 의한 치아상실의 원인은 무엇인가? 한편 이러한 구강병에 의한 치아상실의 원인으로 균주가 밀집되어 있는 치면세균막과 치석이 유발인자로 주목되어 왔다[8]. 그러나 최근 연구[11]에서는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강 내에 서식하는 세균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전신질환, 유전적 및 심리적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생활습관, 식이습관, 구강건강생활습관 등이 융합적인 관련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구강병을 감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련 요인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 W. Kang, Y. M. Kang, J. O. Kang, I. Y. Gu, J. S. Gwak & S. J. Kwon. (2016). Public Oral Health. Seoul : Komoonsa. 

  2. S. D. Jeong & S. W. Kim. (2012). Research Trend for 'Aging Society' : Perception and Countermeasures.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7(1), 275-311. DOI : 10.16935/ejss.2012.27..009 

  3. H. G. Koo. (2016). A Study on Proposal to Develop Senior related Policies : Convergence Approach of both Age Norm and Hoping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537-544. DOI : 10.14400/JDC.2016.14.4.101 

  4. Statistics Korea. (2014). Statistics of The Elderly. Seoul : Statistics Korea. 

  5. J. U. Back & E. M. Roh. (2010). The effect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on their social efficacy and personal relations.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7(3), 1-16. 

  6. M. J. Jun & S. Y. Ryu. (2016). Oral Health and Behavior by Tooth :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0(5), 259-268. DOI : 10.21184/jkeia.2016.10.10.5.259 

  7. K. H. Jung, M. H. Oh, E. N. Kang, J. H. Kim, W. D. Sun & M. A. Oh.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67-215. 

  9. H. N. Oh & J. H. Kim. (2016). Influencing Factors for Perceived Oral Health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6(3), 491-498. DOI : 10.13065/jksdh.2016.16.03.491 

  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Service Guide (Oral health). Seoul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83-401. 

  11. Y. S. Shim, S. Y. An & S. Y. Park. (2017). The Effect of Health Risk Factors on the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in Day Care Center. The Korea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1(2), 81-91. DOI : 10.12811/kshsm.2017.11.2.081 

  12. M. J. Cho, E. J. Park & H. E. Shin. (2016). Convergent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n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welfare recip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537-544. DOI : 10.14400/JDC.2016.14.12.537 

  13. R. Lopez. P. C. Smith. G. Gostemeyer & F. Schwendicke. (2017). Ageing,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44(s18), 145-152. DOI : 10.1111/jcpe.12683 

  14. Y. A. Aljehani. (2014).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istry, 2014, 1-9. DOI : 10.1155/2014/182513 

  15. J. Y. Jang & Y. S. Nam. (2012).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8(6), 1173-1182. DOI : 10.13065/jksdh.2012.12.6.1173 

  16. J. S. Park, H. Lee & M. H. Park. (2016).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Status in Vulnerable Eld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206-220. DOI : 10.5932/JKPHN.2016.30.2.206 

  17. Y. S. Won. C. H. Choi & H. N. Oh. (2014). Risk Fctors of Priodontal Dsease in Korean A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8(3), 176-183. DOI : 10.11149/jkaoh.2014.38.3.176 

  18. J. I. Kim. (2017). The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Urban Working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85-394. DOI : 10.14400/JDC.2017.15.11.385 

  19. M. S. Park. (2010).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72-80. 

  20. E. S. Jung. (2017). Research on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Living Alone Compared to Elderly Living with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1), 99-110. DOI : 10.13065/jksdh.2017.17.01.99 

  21. Y. H. Kim. (2013).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al Health Status between Korean Adults Living in Korea and the 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4), 597-604. DOI : 10.13065/iksdh.2013.13.4.597 

  22. J. Y. Jang & D. H. Lee. (2017). Effects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Oral Function in the Elderly. The Korea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4), 141-51. DOI : 10.12811/kshsm.2016.10.4.141 

  23. J. H. Kim. (2016).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and the Association with Osteoporosi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24. W. J. Loesche. (1994). Periodontal disease as a risk factor for heart disease. Compendium of Continuing Education in Dentistry. 15(8), 976-991. 

  25. S. Y. Yoon. (2017). A literauure review of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6. S. Y. Kim & I. S. Kim. (2017). A Fusion Survey on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Health.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67-73.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5.067 

  27. H. S. Na & J. Chung. (2016).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Diabetes.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46(1), 52-56. DOI : http://doi.org/10.4167/jbv.2016.46.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