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dult Smartphone Addiction on Memory Impair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299 - 308  

임지영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상담개입과정에서의 함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 300명(남 146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집행기능결함을 측정하기 위한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Short Form(BDEFS-SF), 기억손상을 측정하기 위한 다요인 기억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집행기능결함 및 기억손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집행기능결함은 기억손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집단은 일반사용자집단에 비해 집행기능결함과 기억손상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집행기능결함의 하위요인들이 기억손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조직화/문제해결, 시간에 대한 자기관리, 자제, 금단의 순으로 기억손상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넷째, 집행기능결함은 스마트폰 중독과 기억손상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했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있는 성인을 위한 상담개입과정에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집행기능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impairment and to suggest treatment implications for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For this study, 300 adults(146 males and 154 fema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 주로 이루어졌던 선행연구의 영역을 성인대상의 인지기능 영역으로 확대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집행기능결함, 기억손상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의 스마 트폰 중독경향에 대한 치료적 함의를 찾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 주로 이루어졌던 선행연구의 영역을 성인대상의 인지기능 영역으로 확대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집행기능결함, 기억손상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의 스마 트폰 중독경향에 대한 치료적 함의를 찾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 이러한 연구보고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라 가정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치매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의 부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반면, 최근 연구들은 인지적 측면에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이 뇌기능에 영향을 미쳐 소위 디지털 치매라고 일컬어지는 증상인 기억력 감퇴와 인지기능 저하를 초래함을 보고하고 있다 [5,6]. 디지털 치매란 과도하게 디지털기기에 의존한 나머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의 기억력이 저하되는 증상을 말한다[7]. 즉, 전화번호, 사람의 이름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억하는 대신 디지털 기기에 저장해 놓다보니 디지털 기기 없이는 이런 정보들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거나 계산능력이 저하되는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7].
스마트폰 중독이 집행기능결함과 관련된다는 연구들이 연령별로 어떻게 나타내는가? 스마트폰 중독이 집행기능결함과 관련됨은 성인과 아동,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일관되게 지적되어 왔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이 일반 사용자집단에 비해 억제능력 및 충동성을 측정하는 연속수행과제와 계획능력을 측정하는 위신콘신 카드분류검사에서 더 저조한 성적을 보였고[10], 무관 련한 정보나 중요도가 낮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효율적으로 주의를 이동하고 통제 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24].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집행기 능결함, 특히 주의집중결함과의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11].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있는 유아들은 일반집단의 유아들보다 단어및 도형 기억 수행이 저조하고 집행기능 검사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특히 자기조절능력이 낮고 충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5].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중독 증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중독증상은 시각, 청각, 두통, 소화기 질환 등과 같은 신체건강문제, 우울 및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 학업저하, 직장 부적응 및 업무기 능저하, 대인관계위축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4].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의 부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반면, 최근 연구들은 인지적 측면에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이 뇌기능에 영향을 미쳐 소위 디지털 치매라고 일컬어지는 증상인 기억력 감퇴와 인지기능 저하를 초래함을 보고하고 있다 [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The Surve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in 2017.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 K. H. Kim, S. Y. Byun & S. H. Im. (2016).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Social Science, 27(1), 131-154. 

  3. X. Zheng & M. K. O. Lee. (2016). Excessive use of mobile social networking sites: negative consequences on individual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5, 65-76. 

  4. H. J. Kang.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Focusing on smartphone users' attitud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483-488. 

  5. T. H. Kim & M. S. Kang. (2013). Type Analysis Countermeasures of Side Effects of using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7(12), 2984-2994. 

  6. T. H. Kim & M. S. Kang. (2014).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Degree of Recognition For Smart Phone Syndrome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8(4), 941-948. 

  7. J. S. Ahn, H. Jun & T. S. Kim. (2014). A Study on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to Digital Dementia.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Conference, (pp. 821-825). Seoul: KASBA. 

  8. Korea Bizwire. (July 6, 2013). More People Exhibit "Digital Dementia" Due to Prevalent Use of Smartphone. http://koreabizwire.com/more-people-exhibit-digital-dementia-due-to-prevalent-use-of-smartphone/368. 

  9. M. Y. Lee. (2015). Association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9(4), 361-368. 

  10. S. J. Park, M. S. Chang, H. W. Kwak & S. I. L. (2017). The Difference in Executive Fun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and Empathy Ability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 by their Phone Application Usage Type.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Biological Psychology, 29(1), 1-19. 

  11. S. H. Oh & E. H. Ha. (2014).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7(1), 17-35. 

  12. K. D. Ciceronne, C. Dahlberg, K. Kalmar, D. M. Langenbahn, J. F. Malec, T. F. Bergguist, T. Felicetti, J. T. Giacino, J. P. Jarley, D. E. Harrington, J. Herzog, S. Kneipp, L. Laastsch & P. A. Morse. (2000).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2), 1596-1615. 

  13. S. M. Bae & Y. S. Koh. (2017). A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111-121. 

  1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ifth Edition(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16. H. Y. Kang & C. H. Park.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2), 563-580. 

  17. M. C. Welsh & B. F. Pennington. (1998).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 199-230. 

  18. H. Y. Jeon, M. H. Hyun & Y. M. Chun. (2011). The Characteristic of 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 in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1), 215-229. 

  19. Y. S. Kong & J. Y. Lim. (2011).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 61-75. 

  20. H. B. Lee, M.J. Yang, E. H. Lee, Y. S. Joung, S. T. Hwang, S. H. Hong & J. H. Kim. (201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arkel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K-BDEF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519-539. 

  21. R. A. Barkely, K. R. Murphy & M. Fischer. (2008). ADHD in adults: What the science says. New York: Guilford Press. 

  22. R. C. Petersen. (2004).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56(3), 183-194. 

  23. H. J. Kim, H. G. Park, M. S. Chang & H. W. Kwak, (2017). Inhibition Deficiencies in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Using Reading Span and Inhibition of Return Tasks.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19(1), 41-62. 

  24. J. Chen, Y. Liang, C. Mai, X. Zhong & C. Qu. (14, April, 2016). General deficit in inhibitory control of excessive smartphone users: Evidence from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https://doi.org/10.3389/fpsyg.2016.00511. 

  25. C. W. Jeon. (2014).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Memory and Word of Figure and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6. E. K. Johns, N. A. Phillips, S. Belleville, D. Goupil, L. Babins, N. Kelner & H. Chertkow. (2012). The profile of executive functioning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disproportionate deficits in inhibitory contro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8(3), 541-555. 

  27. H. Kim, J. K. Park & K. J. Lee. (2007). The neurocognitive func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comparison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normal control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4(1), 1-16. 

  28. Y. H. Kim. (2013). Executive Functioning Characteristic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aster's Thesis, Yongmoon Graduate School of Counselling Psychology, Seoul. 

  29. J. F. Jr.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 R. L. Tatham.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30. J. P. Woo. (2012).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31. R. Barkley. (2011).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NY: The Guilford Press. 

  32. A. K. Troyer & J. B. Rich. (2002).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new metamemory questionnaire for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7(1), 19-27. 

  33. J. H. Chin. (2010). Clinical Subtyp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in Older Adults.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4. P. B. Kline.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ress. 

  35.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6. M. W. Browne & R. Cudeck.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Sage. 

  37. P. E. Shrout & N. Bolger.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38. K. H. Kim. (2006). Addiction and Self-Regulation: A Cognitive Neuroscience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1), 63-105. 

  39. K, H. Joe, Y. M. Chun, S. H. Chai & D. J. Kim. (2009). Alcohol and Cognitive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1), 5-14. 

  40. H. Y. Jun, M. H. Hyun & Y. M. Chun. (2011). "The Characteristic of 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 in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1), 215-229. 

  41. H. K. Kim. (2001). Clinical Evaluation of the Frontal Lobe Syndrome Using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The Journal of Korean Rehabilitation Psychology, 8(2), 173-190. 

  42. J. H. Park & H. J. Song. (2016). The Efficacy of the Planning and Organizing Focused Executive Function Program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3(1), 159-171. 

  43. H. G. Baek & J. W. Yun. (2014).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mindedn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7), 389-4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