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해상도 강수량 수치예보에 대한 편의 보정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bias correction scheme for high resolution precipitation forecas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7, 2018년, pp.575 - 584  

오랑치맥 솜야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김지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권현한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 발생빈도와 이로 인한 국지적인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홍수피해 예방측면에서 수치예보 정보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수치예보모델은 초기 조건 및 지형적 요인으로 인해 시공간적 편의가 존재하며 실시간 예측정보로 활용하기 전에 모형결과에 대한 편의보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지점 기준으로 편의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모든 관측소간의 상관성을 거리의 함수로 고려하여 미계측지점의 편의 보정계수를 공간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Bayesian Kriging 기반 MFBC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은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도 보정계수를 효과적으로 추정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비교적 고해상도로 72시간(3일) 정도까지 예측강우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crease in heavy rainfall and floods have been observed over South Korea due to recent abnormal weather. In this perspective, the high-resolution weather forecasts have been widely used to facilitate flood management. However, these models are known to be biased due to initial conditions and top...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 모델이 대표 현업모델로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M3.0의 예측 정보의 활용성을 개선하고자 편의 보정 기법 개발 및 불확실성 추정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UM 3 km 예보모델에 대한 수문기상학적 활용성도 개선하고자 한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 기간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년 31일까지 2년간의 예보 모델 강수량과 기상청 관할의 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UM3.0 모델 기반 강수량의 편의 보정 및 불확실성 추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문기상학적 자료들에 대한 편의 보정 방법으로 일반적인 선형회귀분석, 다항식회귀분석, Quantile Mapping 등의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보정하고자 하는 UM 3 km 예보모델의 예보 기간이 2년, 공간해상도가 3 km라는 특성과 편의 보정 방법의 적용성 및 계산속도 등을 고려하여 Mean Field Bias Correction (MFBC) 방법을 기본적으로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의 수치예보 강수량 자료의 편의 보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시공간적 고해상도 자료의 편의 보정은 시계열 자료의 편의 보정 기법과 달리 상당히 큰 용량의 자료를 다루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편의 보정 기법으로 MFBC 기법을 채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UM3.0 수치예보 자료에 대한 공간적 편의 보정분석을 위해서 Bayesian Kriging 기반의 MFBC 기법을 도입하였다. UM3.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공간적 상관성이 자료들 간의 거리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가정(등방성, isotropy) 하에 지수 공분산함수(exponential covariance function)를 활용하여 ω(s)를 설정하였다.
  • Fig. 5에서 나타낸 결과는 기존 MFBC 방법을 통해 산정된 결과로서 기지의 관측강수량과 수치예보자료 기반의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는 참값으로 가정하였으며, Bayesian Kriging 기반 편의보정 계수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yesian Kriging은 어느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가? Kriging은 일반화최소제곱법(Generalized Least Squares, GLS), 최우추정법(MLE)과 같은 고전적 접근법으로도 추정이 가능하지만, Bayesian 접근법으로도 추정이 가능하다. Bayesian Kriging은 비교적 새로운 접근법으로, 역학(epidemiology), 보건지리(medical geography)분야에서 질병의 발생 패턴을 분석(Lai et al., 2013; Slater and Michael, 2013; Scholte et al., 2014) 하는 등 자연 ․ 환경 분야에서 최근 들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Eq.
통합모델(UM)이란? 통합모델(UM)은 영국에서 개발된 모델로 현업용 NWP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계절예보 및 기후모델링 등과 같은 여러 모델들의 기능을 하나의 구조 안에서 조합한 기상수치모델이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영국으로부터 도입한 UM 모델 운영을 통하여 전주기 예보모델(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부터 지역 예보모델(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국지 예보모델(LDAPS)까지 다양한 기상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불연속 특성을 가진 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하지만 강수량 같은 시공간적으로 불연속 특성을 가진 변량의 경우 시공간적 불연속 특성 때문에 단순하게 내삽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상청 관할의 관측소 강수량과 관측소 위치에 근접한 격자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편의 보정계수를 추정함과 동시에 이를 Bayesian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였다. 기상청 관할의 442개 관측소에서 100개의 관측소 정보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교차검정 관점에서 입력자료로 사용한 100개 관측소를 제외한 342개 관측소에 대해서 보정계수를 추정한 결과 미계측 지점에 대해서도 보정계수를 효과적으로 보간해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agnostou, E. N., Krajewski, W. F., Seo, D. J., and Johnson, E. R. (1998). "Mean-field rainfall bias studies for WSR-88D."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3, No. 3, pp. 149-159. 

  2. Banerjee, S., Carlin, B. P., and Gelfand, A. E. (2014). Hierarchical modeling and analysis for spatial data. CRC Press. 

  3. Berg, P., Feldmann, H., and Panitz, H. J. (2012). "Bias correction of high resolution regional climate model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448, pp. 80-92. 

  4. Bordoy, R., and Burlando, P. (2013). "Bias correction of regional climate model simulations in a region of complex orograph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Vol. 52, No. 1, pp. 82-101. 

  5. Borga, M. (2002). "Accuracy of radar rainfall estimates for streamflow simul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67, No. 1-2, pp. 26-39. 

  6. Buizza, R. (2010). "Horizontal resolution impact on short-and longrange forecast error."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36, No. 649, pp. 1020-1035. 

  7. Durai, V. R., and Bhradwaj, R. (2014). "Evaluation of statistical bias correction methods for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forecasts of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Natural Hazards, Vol. 73, No. 3, pp. 1229-1254. 

  8. Gelman, A., Carlin, J. B., Stern, H. S., and Rubin, D. B. (2004). Bayesian data analysis. Texts in Statistical Science Series. 

  9. Gelman, A., Carlin, J. B., Stern, H. S., Dunson, D. B., Vehtari, A., and Rubin, D. B. (2014). Bayesian data analysis. Vol. 2. Boca Raton, FL: CRC press. 

  10. Hay, L. E., Wilby, R. L., and Leavesley, G. H. (2000). "A comparison of delta change and downscaled GCM scenarios for three mountainous basin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2, pp. 387-397. 

  11.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2001). "An introduction to applied geostatistics. 1989.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Jones DR, A taxonomy of global optimization methods based on response surfaces." Journal of Global Optimization, Vol. 23, pp. 345-383. 

  12. Jakob Theme $\ss$ l, M., Gobiet, A., and Leuprecht, A. (2011). "Empiricalstatistical downscaling and error correction of daily precipitation from regional climate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No. 10, pp. 1530-1544. 

  13. Jee, J. B., and Kim, S. (2017). "Sensitivity study on high-resolution WRF precipitation forecast for a heavy rainfall event." Atmosphere, Vol. 8, No. 6, p. 96. 

  14. Kim, S. H., Kim, H. M., Kay, J. K., and Lee S. W.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igh resolution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in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tmosphere, Vol. 25, No. 1, pp. 67-83. 

  15. Kwon, H. H., and Moon, Y. I. (2005). "A study of long-memory analysis of rainfall time se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5, No. 4B, pp. 237-246. 

  16. Kwon, H. H., and Moon, Y. I. (2007). "Development of statistical seasonal rainfall model considering climate information and typhoon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1B, pp. 45-52. 

  17. Kwon, H. H., Brown, C., and Lall, U. (2008). "Climate informed flood frequency analysis and prediction in Montana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5, No. 5, pp. L05404. 

  18. Lai, Y. S., Zhou, X. N., Utzinger, J., and Vounatsou, P. (2013). "Bayesian geostatistical modelling of soil-transmitted helminth survey data." Parasites & Vectors, Vol. 6, No. 1, p. 359. 

  19. Lee, D., Lee, J., and Kim, D. (2014). "Applicability of a space-time rainfall downscaling algorithm based on multifractal framework in modeling heavy rainfall ev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9, pp. 839-852. 

  20. Lee, J., Jang, S., and Kim, S. (2015). "Evaluation of the WRF model in reproducing the spatio-temporal pattern of a heavy rainfall ev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5, pp. 255-265. 

  21. Lenderink, G., Buishand, A., and Deursen, W. V. (2007). "Estimates of future discharges of the river Rhine using two scenario methodologies: direct versus delta approach."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1, No. 3, pp. 1145-1159. 

  22. Mittermaier, M., and Roberts, N. (2010). "Intercomparison of spatial forecast verification methods: identifying skillful spatial scales using the fractions skill score." Weather and Forecasting, Vol. 25, No. 1, pp. 343-354. 

  23. Sandwell, D. T. (1987). "Biharmonic spline interpolation of GEOS-3 and SEASAT altimeter dat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14, No. 2, pp. 139-142. 

  24. Scholte, R. G., Gosoniu, L., Malone, J. B., Chammartin, F., Utzinger, J., and Vounatsou, P. (2014). "Predictive risk mapping of schistosomiasis in Brazil using Bayesian geostatistical models." Acta Tropica, Vol. 132, pp. 57-63. 

  25. Seo, D. J., Breidenbach, J. P., and Johnson, E. R. (1999). "Real-time estimation of mean field bias in radar rainfall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223, No. 3-4, pp. 131-147. 

  26. Siddique, R., Mejia, A., Brown, J., Reed, S., and Ahnert, P. (2015). "Verification of precipitation forecasts from two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in the Middle Atlantic Region of the USA: A precursory analysis to hydrologic forecasting." Journal of Hydrology, Vol. 529, pp. 1390-1406. 

  27. Slater, H., and Michael, E. (2013). "Mapping, Bayesian geostatistical analysis and spatial prediction of lymphatic filariasis prevalence in Africa." PloS one, Vol. 8, No. 8, pp. e71574. 

  28. Son, C. Y., Jeong, Y. R., Han, S. H., and Cho, Y. H. (2017). "Assessment of predictability of categorical probabilistic long-term forecasts and its quantification for effici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8, pp. 563-577. 

  29. Tobler, W. 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Vol. 46(sup1), pp. 234-240. 

  30. Woodcock, F., and Engel, C. (2005). "Operational consensus forecasts." Weather and Forecasting, Vol. 20, No. 1, pp. 101-111. 

  31. Wu, M. C., and Lin, G. F. (2017). "The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for a mountainous watershed by means of an ensemble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system in Taiwan." Journal of Hydrology, Vol. 546, pp. 60-70. 

  32. Yu, W. S., Yoon, S. S, Choi, M. K., and Jung, K. S. (2017). "Performance comparison of rainfall and flood forecasts using short-ter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from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50, No. 8, pp. 537-549 

  33. Yucel, I., Onen, A., Yilmaz, K. K., and Gochis, D. J. (2015). "Calibration and evaluation of a flood forecasting system: Utility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data assimilation and satellite-based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ol. 523, pp. 49-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