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케일링 기법 기반의 지역화를 통한 미계측 유역의 설계 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design floods for ungauged watersheds using a scaling-based regionalization approach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9, 2018년, pp.769 - 782  

김진국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진영 ((주)이산 수자원부) ,  최홍근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계홍수량 산정은 일반적으로 수자원설계 목적을 위해 요구되며 수자원 관련 계획, 안정성 그리고 수공구조물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추정된다. 그러나 설계목적을 위한 국내의 유량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강우자료와 비교해 봤을 때 상대적으로 관측년수가 상당히 적은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 수립된 하천의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홍수량 및 유역특성인자(면적, 유역경사)로부터, 설계홍수량을 멱함수 형태로 지역화하여 미계측 유역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이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설계홍수량 지역화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과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계층적 Bayesia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차검증 관점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모형 적용 결과, 기존 면적기반의 홍수량 산정식에 비해 약 0.3 이상 높은 상관성을 가지며 홍수량을 추정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은 검증과정과 도출된 결과를 통해 유역특성에 따른 재현기간별 설계홍수량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모형의 매개변수 및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timation of design floods is typically required for hydrologic design purpose. Design floods are routinely estimated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safety and risk of the existing water-related structures. However, the hydrologic data, especially streamflow data for the design purposes in South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면적뿐만 아니라 유역 경사와 설계홍수량의 설계빈도를 통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공식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역면적에 해당하는 평균유량(β log(Area))을 기준으로 유역경사와 설계빈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절편에 해당하는 a(t)를 유역경 사와 설계빈도의 연결함수 형태로 가정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고유량 부분의 홍수량 추정에 있어 극단치 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문제로서 추정된 매개변수의 신뢰성이 그만큼 결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홍수량 지역화 모형은 중 ․ 소규모 유역의 면적, 경사 정보와 설계홍수량의 재현기간 등을 활용하여 미계측유역의 홍수량 추정 시 활용성을 가지는데 목적이 있다. 고유량의 홍수량 추정 시 과소 추정 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유역특성 인자 이외의 홍수량과 연관된 변수에 대한 고려와 고유량 부분의 충분한 자료 구축을 통해 해결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 2016b).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 강우-유출 방법을 통해 산정된 설계홍수량에 대한 지역화 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멱함수 형태의 유역면적과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홍수량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권역별 비홍수 량과 유역면적 사이의 관계는 Fig.
  • , 2017).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로 기 수립된 빈도별 홍수량 자료와 비홍수량을 활용하여 홍수량의 공간적 지역화를 수행하였다. Bayesian GLM 기법을 도입하여 멱함수 형태의 미계측 유역 홍수량 산정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해석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구간을 제시하였다.
  • Markov Chain의 수렴(convergence)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은 Trace plot을 이용한 시각적 분석이나 통계학적 방법(Gelman-Rubin, Geweke, Raftery-Lewis, Heidelberg-Welch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Brooks and Gelman, 1988; Brooks and Roberts, 1998).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수렴을 확증하기 위하여 3개의 Chain을 독립적으로 시행하여 Sampling이 효과 적으로 혼합(mixing) 되도록 하였으며, Trace plot을 이용하여 Chain의 수렴여부를 판단하였다. 최종적으로 Gelman-Rubin 통계량 검정결과를 이용하여 각 회귀모형의 매개변수에 대한 Markov Chain의 수렴여부를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과 유역경사 등 유역의 전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자료를 활용하여 권역별 미계측 유역에서 홍수량 추정이 가능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권역별 기 수립된 설계홍수량 자료의 지역화를 통해 미계측 유역 홍수량 산정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Bayesian 기법을 도입하여 모형의 매개변수와 산정되는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기본계획에서 산정된 재현기간에 따른 홍수량에 대한 지역화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절에 서는 미계측 유역에서 활용되는 홍수량 추정 이론과 본 연구 에서 개발한 계층적 Bayesian 기반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지역화 방법을 요약하였다.
  • 그러나 우리나라 중소규모 유역의 경우 대부분 미계측 유역인 점을 감안했을 때, 비홍수량을 이용한 경험적인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Bayesian GLM (generalized linear model) 기법을 이용한 경험적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단일 설명변수로 면적을 사용했다는 측면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라 할 수 있지만 회귀선을 중심으로 산포도가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면적 이외에 다른 지형학적 인자를 고려한 회귀식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추정을 위한 회귀식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역면적과, 유역경사, 재현기간 등을 고려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모형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 실성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계층적 Bayesian 모형 기반의 미계측 유역 홍수량 산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 , 2013b).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형을 기반으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추정되는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층적 Bayesian 모형은 매개변수 (parameter)를 단계적으로 모형화하여 각각의 매개변수에 사전분포(prior distribution)를 정해주면, 계층모형의 모든 매개변수에 대한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유사한 통계적 특성을 가지는 자료집단들이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추정되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저감하도록 고안된 계층적 Bayesian 모형의 장점을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Kwon et al., 2013b).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형을 기반으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추정되는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우리나라의 국가하천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을 기준으로 하여 5개의 대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섬진강권역은 지형학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권역의 면적이 작아 권역의 유역 특성도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하나의 권역으로 간주하였다. 최종적으로 우리나라를 4개의 권역으로 분리하여 설계홍수량의 지역화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제주도 권역은 제외하였다.
  • 이는 유역면적이 클수록 홍수도달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저류로 인한 지체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유역의 수문응답특성에 대한 분석 시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Yoon, 2007). 본 연구에서는 유역들에 대한 설계홍수량과 유역면적의 관계가 멱함수 법칙을 따른다고 가정하였으며, 유역의 지역화를 통해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홍수량 지역화 모형은 미계측 유역 홍수량 산정식인 Eq.
  • 연결함수의 회귀매개변수와 σ는 각각의 사전분포로 정의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유출량자료는 대수정규분포로 가정하였으며 연결함수로서 Eq. (5)의 유량과 비홍수량과의 멱함수를 활용하여 정리하면 Eq.
  • 이러한 점에서 유역면적에 해당하는 평균유량(β log(Area))을 기준으로 유역경사와 설계빈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절편에 해당하는 a(t)를 유역경 사와 설계빈도의 연결함수 형태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추정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추정 방법에는 지역홍수빈도분석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확률강우량과 강우-유출관계를 이용하는 방법, 강우-유출모의에 의한 동역학적 분석방법 등이 있으며(Kim et al., 2016b), 계측 유역에 대한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을 간접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Kim and Won, 2004).
최근 기상변동성에 따른 피해 추세는 어떠한가? 최근 기상변동성 증가에 따라 국지성 집중호우로부터 동반 하는 돌발홍수에 대한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등 예측하지 못한 기상재난으로 인해 피해 규모가 대형과 되어가는 추세이다(Kim et al., 2010; Kim et al.
미계측 유역 홍수량 추정 모형의 다른 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과 기존에 활용되는 미계측 유역 홍수량 추정 모형의 다른 점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미계측 유역 홍수량 추정 시 단일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량을 추정하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 다수의 설계홍 수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4대 권역 설계홍수량에 대하여 Bayesian GLM 기법을 통해 지역화를 수행하였다. 둘째, 지역화된 모형으로부터 권역을 대표하는 회귀분석에 근거한 홍수량 산정식을 제시함과 동시에, 권역 내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추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유사한 통계적 특성을 가진 자료집단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저감할 수 있는 계층적 Bayesian 모형을 활용하여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구간을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계측 유역 홍수량 추정 시 정량적인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rath, A., Castellarin, A., Franchini, M., and Galeati, G. (2001). "Estimating the index flood using indirect method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46, No. 3, pp. 399-418. 

  2. Brooks, S. P., and Gelman, A. (1998). "General methods for monitoring convergence of iterative simulation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Vol. 7, No. 4, pp. 434-455. 

  3. Brooks, S. P., and Roberts, G. O. (1998). "Assessing convergence of Markov chain Monte Carlo algorithms." Statistics and Computing, Vol. 8, No. 4, pp. 319-335. 

  4. Chae, B. S., Choi, S. J., Ahn, J. H., and Kim, T. W. (2018). "Estimation of flood quantile in ungauged watersheds for flood damage analysis based on flood index of natural flo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8, No. 1, pp. 175-182 (in Korean). 

  5. Choi, H., and Lee, S.-J. (2006). "Verification about threshold discharge computation using GIUH on ungauged small basi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14, No. 1, pp. 15-27. 

  6. Creager, W. P., Justin, J. D. W., and Hinds, J. (1945). Engineering for dams. Vol. 1, General Design, John Wiley, New York. 

  7. Dalrymple, T. (1960). Flood-frequency analyses, manual of hydrology: Part 3 (No. 1543-A). USGPO. 

  8. Fill, H. D., and Stedinger, J. R. (1998). "Using regional regression within index flood procedures and an empirical Bayesian estimator." Journal of Hydrology, Vol. 210, No. 1, pp. 128-145. 

  9. Fleming, G. (1972).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s in hydrology. In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s in Hydrology, Elsevier. 

  10. Gelfand, A. E., and Smith, A. F. (1990). "Sampling-based approaches to calculating marginal dens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85, No. 410, pp. 398-409. 

  11. Gelman, A., Carlin, J. B., Stern, H. S., and Rubin, D. B. (2003). Bayesian data analysis. CRC press, United States of America. 

  12. Gelman, A., Carlin, J. B., Stern, H. S., and Rubin, D. B. (2004). Bayesian data analysis (2nd ed.). Boca Raton: Chapman and Hall/CRC. 

  13. Geman, S., and Geman, D. (1984). "Stochastic relaxation, Gibbs distributions, and the Bayesian restoration of image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PAMI-6, No. 6 pp. 721-741. 

  14. Jakob, M., and Jordan, P. (2001). "Design flood estimates in mountain streams the need for a geomorphic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8, No. 3, pp. 425-439. 

  15. Kim, E. S., Choi, H. I., and Jee, H. K. (2010).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by the probable rainfall data for ungauged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0, No. 4, pp. 81-88. 

  16. Kim, E. S., Jang, H. Y., Kim, S. D., Park, M. J., and Choi, H. I. (2012). "Analysis of rainfall-flood severity relations in small ungauged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199-208. 

  17. Kim, J.-Y., Kim, J.-G., Cho, Y.-H., and Kwon, H.-H. (2017). "A development of Bayesian Copula model for a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1, pp. 745-758. 

  18. Kim, M.-H., Ceon, I.-K., and Chung, M. (2016b). "The regression model's independent variables importance decision for the design flood esti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17, No. 4, pp. 378-391. 

  19. Kim, N. W., and Won, Y. S. (2004). "Estimates of regional flood frequency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7, No. 12, pp. 1019-1032. 

  20. Kim, N. W., Lee, J. E., Lee, J., and Jung, Y. (2016a).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spatial data extension method: II. Flood frequency inference for ungaged watershe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5, pp. 451-458. 

  21. Kwon, H. H., Brown, C., and Lall, U. (2008). "Climate informed flood frequency analysis and prediction in Montana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5, No. 5, L05404. 

  22. Kwon, H.-H., Kim, J.-G., and Park, S.-H. (2013b). "Derivation of flood frequency curve with uncertainty of rainfall and rainfallrunoff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6, No. 1, pp. 59-71. 

  23. Kwon, H.-H., Kim, J.-Y., Kim, O.-K., and Lee, J.-J. (2013a). "A development of regional frequency model based on hierarchical Bayesia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 pp. 13-24. 

  24. Kwon, H.-H., Park, D.-H., and Moon, Y. I. (2004). "Derivation of flood frequency curve using uncertainty analysis of single event rainfall-runoff model-uncertainty analysis of rainfall-runoff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4, No. 3B, pp. 229-239 (in Korean). 

  25. Lee, J., Park J., Song, Y., Jun H., and Lee, J. (2017). "Estimation of design flood discharge by areal ratio for ungauged basi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9, No. 3, pp. 335-344. 

  26. Lee, J.-J., and Kwon, H.-H. (2011). "Analysis on spatio-temporal pattern and regionalization of extreme rainfall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1B, pp. 13-20 (in Korean). 

  27. Malamud, B. D., and Turcotte, D. L. (2006). "The applicability of power-law frequency statistics to floods." Journal of Hydrology, Vol. 322, No. 1-4, pp. 168-180.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Hydraulic/hydrological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analytic method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2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Korea annual hydrological report. 

  30. Onishi, R., Kato, T., Imaizumi, M., and Tanji, H. (2004). "A study to determine an equation of enveloping curve for regional flood peaks by maximum rainfall data." Paddy and Water Environment, Vol. 2, No. 2, pp. 83-90. 

  31. Riggs. H. C. (1973). Regional analysis of stream flow characteristic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2. Rogger, M., Kohl, B., Pirkl, H., Viglione, A., Komma, J., Kirnbauer, R., Merz, R., and Bloschl, G. (2012). "Runoff models and flood frequency statistics for design flood estimation in Austria - Do they tell a consistent story?" Journal of Hydrology, Vol. 456-457, pp. 30-43. 

  33. So, B.-J., Kim, J.-Y., Kwon, H.-H., and Lima, C. H. (2017). "Stochastic extreme downscaling model for an assessment of changes in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over South Korea using multiple regional climate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553, pp. 321-337. 

  34. Stedinger, J. R., Vogel, R. M., and Foufoula-Georgiou, E. (1993).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events." in Handbook of Hydrology. 

  35. Tofiq, F. A., and Guven, A. (2014). "Prediction of design flood discharge by statistical downscaling and general circulation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517, pp. 1145-1153. 

  36. Willmott, C. J. (1981). "On the validation of models." Physical Geography, Vol. 2, No. 2, pp. 184-194. 

  37. Yi, J., and Lee, T. (2013). "Development of design flood estimation system for mountainous river basin using fuzzy regression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6, pp. 343-350. 

  38. Yoon, Y. N. (2007). Hydrology-Basics and application. Cheong-MoonGa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